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uzbek:2_wordclass:27_num:27_num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
doc:uzbek: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31 11:21]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 - | ## 기수사 | + | ### 기수사 |
| - 1 bir | - 1 bir | ||
| 줄 37: | 줄 37: | ||
| - | ## 서수사 | + | ### 서수사 |
| 서수사는 -(i)nchi 접사를 기수사에 붙여서 생성한다. | 서수사는 -(i)nchi 접사를 기수사에 붙여서 생성한다. | ||
| 줄 44: | 줄 44: | ||
| - besh-inchi ‘fifth' | - besh-inchi ‘fifth' | ||
| - | ## 개수 | + | #### 개수 |
| 접사 -ta를 붙여 개수를 표현한다. | 접사 -ta를 붙여 개수를 표현한다. | ||
| 줄 56: | 줄 56: | ||
| }}} | }}} | ||
| - | ## 분배 | + | #### 분배 |
| 접사 -tadan을 붙여 ‘~씩'이라는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 접사 -tadan을 붙여 ‘~씩'이라는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 ||
| 줄 82: | 줄 82: | ||
| }}} | }}} | ||
| - | ## 근사값 | + | #### 어림 |
| - | 접사 -tacha, -larcha는 수사 뒤에 결합하여 근사적인 값임을 표현한다. | + | 접사 -tacha, -larcha는 수사 뒤에 결합하여 어림수를 표현한다. |
| {{{eg>nort2690 (reshetov1966:347) | {{{eg>nort2690 (reshetov1966:347) | ||
| 줄 101: | 줄 101: | ||
| }}} | }}} | ||
| - | ## 집합 수사 | + | #### 집합 수사 |
| 접사 -ov, -ala로 집합 수사를 표현한다. | 접사 -ov, -ala로 집합 수사를 표현한다. | ||
| 줄 109: | 줄 109: | ||
| - toʻrtala ‘four (together)' | - toʻrtala ‘four (together)' | ||
| - | ## 분수 | + | #### 분수 |
| 분수 개념을 표현하는 개별 단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분수 개념을 표현하는 개별 단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