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veps:2_wordclass:22_noun:22_noun [2017/06/03 17:18] 김희연 |
doc:veps: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4 22:56]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22_noun : 명사 (noun) : 10% : | + | # 22_noun : 명사 (noun) |
| - 벱스어는 형태학적으로 응집력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 (형태를 나타내는 접사를 어근에 붙여 단어 형성) | - 벱스어는 형태학적으로 응집력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 (형태를 나타내는 접사를 어근에 붙여 단어 형성) | ||
| 줄 15: | 줄 15: | ||
| - | ### 명사의 복수 | + | ## 명사의 복수 |
| + | - 명사의수는 단수, 복수 두가지를 갖는다. | ||
| + | - 복수는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1번째 그룹은 주격과 대격 에서는 –d 의 표지를 가지며 나머지 격은 –i- 가 어미부분에 들어간다. 어근 + (i)복수표지+격표지 순서로 나타낸다. | ||
| + | 표지 i 는 다음과 같이 붙인다.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4) | + | 1) e + i = i |
| - | käzi (hand) – käded (hands) | + | |
| + | save - +i = savi | ||
| + | |||
| + | 단음절의 단어일 경우 e + i = ei | ||
| + | |||
| + | te + i = tei | ||
| + | |||
| + | |||
| + | 2) i+i = i | ||
| + | |||
| + | kodi + i = kodi | ||
| + | |||
| + | 단음절일 경우 i + i = ii | ||
| + | |||
| + | pi +i = pii | ||
| + | |||
| + | |||
| + | 3) o+i = oi | ||
| + | |||
| + | pino + i = pinoi | ||
| + | |||
| + | |||
| + | 4) u + i = ui | ||
| + | |||
| + | sugu + i = sugui | ||
| + | |||
| + | |||
| + | 5) ä+ i = äi | ||
| + | |||
| + | 단음절일 경우 sä + i = säi 이며, | ||
| + | |||
| + | 단음절이 아닐 경우에는 ä + i 는 i 가 된다. | ||
| + | külä + i = küli | ||
| + | |||
| + | |||
| + | ö + i = öi 예 ) vö + i = vöi | ||
| + | |||
| + | ü + i = üi 예 ) sü + I = süi | ||
| + | |||
| + | a + i = o 또는 i 로 나타난다. | ||
| + | |||
| + | |||
| + | 예) södaba + i = södabi | ||
| + | |||
| + | - käzi : hand -> käded : hands | ||
| + | - gärv : lake -> gärved : lakes | ||
| + | - vell : brother -> velled : brother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명사의 격 | ||
| + | |||
| + | - 벱스어의 격은 학자에 따라 10개의 격에서 24개 격으로 나누어 진다.다른 어떤 핀어중 가장 많은 격을 가지고 있다. | ||
| + | 대부분 핀어족이 갖는 격을 비슷하게 갖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격도 몇 가지 있다. | ||
| + | |||
| + | - 격이 다양하게 나뉘는 것은 경우에 따라 한 방언의 격표지가 다른 방언의 후치사로 분류 되는 경우도 있는데, 후치사로 분류하지 않고 격으로 보는 학자들의 견해와 후치사로 보는 견해로 나뉘게 된다. 예를 들어 ‘te-dme’ 는 중부방언에서 prolative case 로 ‘길을 따라서, 길을거쳐’ 를 말할 때 사용한다. 이를 북부방언에서는 ‘ted möto’로 나타낸다. | ||
| + | |||
| + | - Хямяляйнен(1966)은 11격,Зайцева(2001) 는 18개 격으로 나누며, 이 두 학자의 의견을 일반적인 견해로 본다. | ||
| + | |||
| + | - 23개의 격전체와 표지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SG|PL| | ||
| + | |NOM|-|-d| | ||
| + | |ACC|-n|-d| | ||
| + | |GEN|-n|-iden| | ||
| + | |PTV|-d,-t(-da)|-id| | ||
| + | |||
| + | |||
| + | |||
| + | - interior lacative cases | ||
| + | |||
| + | |||
| + | | |SG|PL| | ||
| + | |INE|-s(-š) |-iš| | ||
| + | |ILL|-hV, -ze(-že)|ihe, -iže| | ||
| + | |ELA|-späi (-špäi)| -išpäi| | ||
| + | |||
| + | |||
| + | |||
| + | - exterior locative cases | ||
| + | |||
| + | | |SG|PL| | ||
| + | |ADE|-l|-il| | ||
| + | |ALL|-le(-lle)|-ile| | ||
| + | |ABL|-lpäi|-ilpäi| | ||
| + | |||
| + | |||
| + | |||
| + | - approximant locative cases | ||
| + | |||
| + | |||
| + | | |SG|PL| | ||
| + | |APPR1|-nno|-idenno| | ||
| + | |APPR2|-nnoks|-idennoks| | ||
| + | |EGR|-nnopäi|-idennopäi| | ||
| + | |||
| + | |||
| + | - terminative , locative cases | ||
| + | |||
| + | | |SG|PL| | ||
| + | |TERM1|-hVsai, -zesai(-žesai) |-ihesai, ižesai| | ||
| + | |TERM2|-lesai(-llesai)|-ilesai| | ||
| + | |TERM3|-ssai(-ššai)| ㅡ| | ||
| + | |||
| + | |||
| + | - additive , locative cases | ||
| + | |||
| + | | |SG|PL| | ||
| + | |ADD1|-hVpäi, -zepäi(-žepäi)|-ihepäi, -ižepai| | ||
| + | |ADD2|-lepäi(-llepäi)|-ilepäi| | ||
| + | |||
| + | - 이외의 격 | ||
| + | |||
| + | | |SG|PL| | ||
| + | |Essive-instructive|-n|-in| | ||
| + | |TRANSL|-ks(-kš)|-ikš| | ||
| + | |ABE|-ta|-ita| | ||
| + | |COM|-nke|-idenke| | ||
| + | |PROL|-dme, -tme (-dame)|-idme| | ||
| + | |||
| + | |||
| + | ### 주격(NOM) | ||
| + | |||
| + | - Ken? 누구? Mi? 무엇? | ||
| + | - 주격단수는 별도의 표지를 갖지 않으며 복수 어미에 –d 를 붙인다. | ||
| + | |||
| + | |kana-d |암탉들(hens)| | ||
| + | |käde-d|손(두 손, 손들)(hands)| | ||
| + | |perti-d|집들(housese)| | ||
| + | |hougi-d|담수어들 (창꼬치 라고 하는 꼬치모양의 담수어)( (pikes )| | ||
| + | |||
| + | |||
| + | #### 주격의 역할 | ||
| + | |||
| + | 1) 호격의 역할로 | ||
| + | 2) 복합단어의 한정사 역할 | ||
| + | |||
| + | |hiinregi |воз сена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сено-воз) | | ||
| + | |sohiin|백양나무 | | ||
| + | |||
| + | 3)첨가의 역할 | ||
| + | |||
| + | |marfa-tota|Marfa.NOM-aunt | 마르파 이모| | ||
| + | |peša- dada|Pesha.NOM-uncle |페챠 삼촌| | ||
| + | |||
| + | |||
| + | ### 대격(ACC) | ||
| + | |||
| + | - Kenen ? 누구를 Min? 무엇을 | ||
| + | - 목적어를 나타내며 단수 –n , 복수 –d 의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
| + | ### 속격(GEN) | ||
| + | |||
| + | - Kenen ? 누구의 Min? 무엇의 | ||
| + | - 속격(GEN)소유와 관계를 나타낸다. 단수-n , 복수 –iden 의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middemei |us| | ||
| + | |tiidetei |yours| | ||
| + | |hiiden |theirs| | ||
| + | |||
| + | |||
| +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79) | ||
| + | perti-n | ||
| + | дом-GEN | ||
| + | 집의 | ||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4) | + | |
| - | gärv (lake) – gärved (lakes)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79) | ||
| + | Velle-n pert | ||
| + | Brother-GEN house | ||
| + | 형의 집(дом брата) | ||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4) | + | |
| - | vell (brother) – velled (brothers)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79) | ||
| + | Sizare-n tütar | ||
| + | Sister-GEN daughter | ||
| + | 여동생(언니)의 딸 (дочь сестры) | ||
| }}} | }}} | ||
| - | ### 명사의 소유 | ||
| - | : 명사의 소유는 주로 인칭대명사의 속격 형태로 나타나거나, 재귀소유대명사로 나타낸다.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4) | ||
| - | minun | ||
| - | my | ||
| - | ičein kodi | + | |tiidetei |yours| |
| - | my.own house | + | |middemei |us| |
| + | |hiiden |theirs| | ||
| + | |||
| + | |||
| + | #### 비교를 나타내는 속격 | ||
| + | |||
| + | |||
| + | - 어떤 것과 비교하기 위해 속격을 사용하기도 한다. | ||
| +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79) | ||
| + | perti-n kortte | ||
| + | house-GEN high | ||
| + | 집만큼 높은 | ||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4) | + | |
| - | sinun kodi | + | |
| - | your house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79) | ||
| + | metrar-n pitte | ||
| + | meter-GEN long | ||
| + | 미터로 쟀을 때 긴 (длинной с метр) | ||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4) | ||
| - | hänen | ||
| - | his | ||
| - | ičeze kodi | + | |
| - | his.own house | + | #### 다음 후치사는 속격을 수반한다. (자세한 예시는 topic 33 부치사에서 다룬다.) |
| + | |||
| + | |eiga :~ 동안, ~ 존재하는 동안| | ||
| + | |ou : ~아래에(위치)| | ||
| + | |alle :아래로(방향)| | ||
| + | |oupei : 밑으로부터| | ||
| + | |edes :앞에서 | | ||
| + | |edehe: 앞으로| | ||
| + | |kartte: ~ 처럼| | ||
| + | |keskes: 중간에,~ 사이에(betwee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분격(PART) | ||
| + | |||
| + | |||
| + | - keda? , Midä? | ||
| + | - 부분 목적어, 정해지지 않은 양을 나타낼 때 | ||
| + | |||
| + | |||
| + | ### 재내격(INE) | ||
| + | |||
| + | - ke(ne)s? (в ком?) 누구안 에? miš?(в чем) 무엇안에? kus? (где) 어디에에? | ||
| + | - ~ 안에 의미를 갖고, 단수는 –s(-š), 복수는 –iš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
| + | ###### 재내격의 예시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5) | ||
| + | Minä olen perti-š | ||
| + | I be nest-INE.3SG | ||
| + | 나는 집에 있다.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5) | ||
| + | Hän ei ole meca-s | ||
| + | He no be forest-INE.3SG | ||
| + | 그는 숲에 없다.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5) | ||
| + | Mam om lauka-s. | ||
| + | Mom in store-INE.3SG | ||
| + | 엄마는 가게안에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재내격의 용법 | ||
| + | |||
| + | - 재내격은 ‘~안에’ 라는 의미 외에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 ||
| + | |||
| + | |||
| + | ###### 재내격 용법 : 1) 상태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65) | ||
| + | Aid om luklo-s. | ||
| + | ware in lock-INE.3SG | ||
| + | 창고는 자물쇠로 걸려있다. | ||
| + | }}} | ||
| + | |||
| + | |||
| + | ###### 재내격 용법 : 2) 일의 종류를 나타낼 때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6) | ||
| + | Maša om sen-iš. | ||
| + | Masha in mushroom-INE.3PL | ||
| + | 마샤는 버섯을 가지러 갔다. | ||
| + | }}} | ||
| + | |||
| + | |||
| + | ###### 재내격 용법 : 3) 시간을 나타낼 때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6) | ||
| + | Kogonaiže-s vode-s en voi ehttä! | ||
| + | whole-INE.3SG year-INE.3SG no can success! | ||
| + | 일년내내 해도 나는 할수없다!(За целый год не могу успесть! ) | ||
| + | }}} | ||
| + | |||
| + | |||
| + | |||
| + | ###### 재내격 용법 : 4) 몸의 일부분이 무엇인가 입고 있을 때. (예)장갑을 껸 손, 부츠를 신은 발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6) | ||
| + | Sapug om jauga-s | ||
| + | boot in foot-INE.3SG | ||
| + | 부츠를 발에 신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재내격 용법 : 5) 이외에도 ‘새가 나무위에 앉아 있다’ 등의 ‘~위에’ 표현도 벱스어에서는 재내격을 사용한다.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5) | ||
| + | Lind ištub pu-s. | ||
| + | bird sitting tree-INE.3SG | ||
| + | 새가 나무위에 앉아있다. | ||
| + | }}} | ||
| + | |||
| + | |||
| + | ### 내향격(ILL) | ||
| + | |||
| + | - kehe? , Mihe? Kuna? | ||
| + | – 안으로 라는 의미를 갖고 단수는 –hV, -ze(-že) , 복수는 –ihe, -iže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25) | ||
| + | Savi-he | ||
| + | clay-ILL | ||
| + | 진흙(점토) 안에로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25) | ||
| + | su-hu | ||
| + | mouth-ILL | ||
| + | 입안으로 | ||
| + | }}} | ||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25) | ||
| + | so-ho | ||
| + | bog-ILL | ||
| + | 늪지로 | ||
| + | }}} | ||
| + | |||
| + | |||
| + | - 격표지 앞에 모음 i 가 있다면 표지로 –he 가 온다.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25) | ||
| + | kodi-he | ||
| + | house-ILL | ||
| + | 집안으로 | ||
| + | }}} | ||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25) | ||
| + | Mina tule-n kodi-he | ||
| + | I arrive-1SG.PRS house-ILL | ||
| + | 나는 집안으로 간다.(도착한다.) | ||
| + | }}} | ||
| + | |||
| + | |||
| + | #### 내향격은 다음과 같은 다른 의미를 가진다. | ||
| + | |||
| + | |||
| + | 1) 닮았다는 표현할 때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26) | ||
| + | tütär nahodi-b tat-ha | ||
| + | daughter look.like-3SG father-ILL | ||
| + | 딸은 아버지를 닮았다. | ||
| + | }}} | ||
| + | |||
| + | |||
| + | |||
| + | 2) 물건에 대한 지불을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26) | ||
| + | osta-n kirjan sada-nik-ha | ||
| + | buy-1SG.PRS book hundred-?-ILL | ||
| + | (나는) 책을 100(돈단위) 에 샀다. | ||
| + | }}} | ||
| + | |||
| + | |||
| + | |||
| + | ### 외향격(ELA) | ||
| + | |||
| + | - Kespäi? (Kenespäi?) Mišpäi? Kuspäi? | ||
| + | – 바깥으로 라는 의미를 갖고 단수는 –späi (-špäi) , 복수는 –išpäi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 외향격은 대상이나 주체가 밖의 공간으로 나가는 의미, 재료, 원인, 기원, 발단,시작점 | ||
| + | 을 나타낸다. | ||
| + | |||
| + | #### 밖으로의 공간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0) | ||
| + | Sizar lähte-b honuse-späi | ||
| + | sister go.out-3SG.PRS room-ELA | ||
| + | 언니가 방으로부터 나갔다. | ||
| + | }}} | ||
| + | |||
| + | |||
| + | |||
| + | #### 재료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0) | ||
| + | vanuim teh-tas vas’ke-späi | ||
| + | wire do-3PL.PRS copper-ELA | ||
| + | 철사는 구리로부터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유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0) | ||
| + | mina en magada näl’ga-späi | ||
| + | I not sleep weather-ELA | ||
| + | 나는 날씨 때문에 자지 못했다. | ||
| + | }}} | ||
| + | |||
| + | |||
| + | #### 기원 , 출신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0) | ||
| + | mina olen Kurba-späii | ||
| + | I be Kurba(river)-ELA | ||
| + | 나는 쿠르바 강 쪽 출신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발단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0) | ||
| + | amuižiš aigoi-špäi | ||
| + | anciet time-ELA | ||
| + | 고대부터 | ||
| + | }}} | ||
| + | |||
| + | |||
| + | ### 재점격(ADE) | ||
| + | |||
| + | - Kel? (Kenel?) Mil? Kus? | ||
| + | - On, upon, on top of 의 의미로 단수는 –l, 복수는 –il 를 표지로 갖는다. | ||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4) | ||
| + | škap seižu-b lava-l | ||
| + | closet stand-3SG.PRS floor-ADE | ||
| + | 옷장이 마루에 서있다. | ||
| + | }}} | ||
| + | |||
| + | |||
| + | - 복수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4) | ||
| + | Kirvhed venu-das pinoi-l | ||
| + | ax.PL lie-3PL.PRS haystack-ADE | ||
| + | 도끼들이 건초더미 위에 놓여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외에도 소유, 도구, 시간, 언어 등의 뜻을 가진다. | ||
| + | |||
| + | #### 소유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4) | ||
| + | Timoi-l om melhetartui kirj | ||
| + | Timofei-ADE in interesting book | ||
| + | 티마페이에게 재미있는 책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도구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4) | ||
| + | Sinä kirjuta-d kirjutime-l | ||
| + | YOU write-2SG.PRS pen-ADE | ||
| + | 너는 펜으로 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시간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4) | ||
| + | ühte-l čoma-l päivä-l Nastoi aja-b lidn-ha | ||
| + | one-ADE beautiful-ADE day-ADE Nastya go-3SG.PRS city-ILL | ||
| + | 어느좋은날 나스쨔는 도시로 간다. | ||
| + | }}} | ||
| + | |||
| + | |||
| + | |||
| + | #### 언어를 나타낼 때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4) | ||
| + | Minä pagiže-n vepsän kele-l | ||
| + | I tell-1SG.PRS veps language-ADE | ||
| + | 나는 벱스어로 말한다. | ||
| + | }}} | ||
| + | |||
| + | |||
| + | ### 향격(ALL) | ||
| + | |||
| + | - Kelle? (Kenele?) Mille? Kuna?(어디로?) | ||
| + | - 단수 표지는 –le(-lle), 복수는 –ile 를 표지로 갖는다.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7) | ||
| + | Mö lähte-m pöudo-le | ||
| + | we go.ou-1PL field-ALL | ||
| + | 우리는 들판으로 나갔다. | ||
| +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7) | ||
| + | Konz lähte-d rado-le? | ||
| + | when go.out-2SG workplace-ALL? | ||
| + | 언제 (너는) 일터로 나가니? | ||
| + | }}} | ||
| + | |||
| + | |||
| + | |||
| + | #### 향격의 용법 | ||
| + | |||
| + | - ~에게 주다, 말하다, 약속하다, 도와주다 등의 뜻도 향격으로 나타난다.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7) | ||
| + | Tarviž veda velle-le lehtez | ||
| + | must carry brother-ALL newspaper | ||
| + | 오빠에게 신문을 가져다 주어야만 한다. | ||
| + | }}} | ||
| + | |||
| + | |||
| + | - 다음의 예시는 현재시제 이나 미래의 의미를 갖는다.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7) | ||
| + | Toivota-n kaiki-le se ka tege-n | ||
| + | promis-1SG.PRS all-ALL that so do-1SG.PRS | ||
| + | 그렇게 반드시 하겠다고 모두에게 약속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탈격(ABL ) | ||
| + | |||
| + | - Kelpäi? (Kenelpäi?) Milpäi? Kuspäi? | ||
| + | - '밖으로, 바깥에' 라는 의미를 가지며 단수는 –lpäi, 복수는 –ilpäi 표지를 갖는다. | ||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7) | ||
| + | Vala-tädi libu-b pordhi-lpäi | ||
| + | Balya-aunt go.up-3SG.PRS stairs-ABL | ||
| + | 발랴 이모는 계단으로 오른다. | ||
| + | }}} | ||
| + | |||
| + | |||
| + | #### 탈격의 용법 | ||
| + | |||
| + | - 이외에도 누군가에게 속해있는 물건을 가져올 때도 탈격을 사용한다.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38) | ||
| + | Tarbiž otta lehtik sebranika-lpäi | ||
| + | must take note friend-ABL | ||
| + | 친구로부터 공책을 가져와야 한다. | ||
| + | }}} | ||
| + | |||
| + | ### 접근격(APPR) | ||
| + | |||
| + | - Kenenno? у кого ,누구의 Minno? у чего 무엇의? | ||
| + | - at, by, near 뜻 | ||
| + | - 접근격을 두개로 나누는 구분도 있다. | ||
| + | |||
| + | - 접근격 1 : 단수표지는 –nno, 복수는 –idenno로 | ||
| + | - 접근격 2(to, towards) : 단수 표지는 – nnoks , 복수는 –idennoks로 나타낸다. | ||
| + | |||
| + | - 근처에 무엇이 위치해 있는지에 대해 나타낸다. Inessive(재내) 격과 adessive(지점)격과 의미는 거의 비슷하게 사용한다. | ||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40) | ||
| + | Minä ištu-n külälaukan-no i varasta-n. | ||
| + | I seat-1SG.PRS store-APPR and wait-1SG.PRS | ||
| + | 나는 가게 근처에서 앉아있고, 그리고 기다리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접근격 2는 이동하면서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Kenennoks? к кому? Minnoks? к чему?~에게로, ~으로쪽으로) illative(내향) 과allative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40) | ||
| + | Mö astu-m kul'turperti-nnoks. | ||
| + | we go-3PL.PRS house.of.culture-APPR | ||
| + | 우리는 문화의집쪽으로 가고있다. | ||
| + | }}} | ||
| + | |||
| + | |||
| + | ### 출발격(EGR) | ||
| + | |||
| + | - ~부터를 나타내며, 단수는 –nnopäi , 복수는 – idennopäi 이다.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02) | ||
| + | Prihaiže-d läht-tas škola-nnopäi. | ||
| + | boy-PL go.out-3PL.PRS school-EGR | ||
| + | 소년들은 학교로부터 밖으로 나가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102) | ||
| + | L’oša tul-i deda-nnopäi. | ||
| + | Losha arried-3SG.PST grandfather-EGR | ||
| + | 로샤는 할아버지로부터 도착했다.(왔다.) | ||
| + | }}} | ||
| + | |||
| + | |||
| + | ### 종착격(TERM) | ||
| + | |||
| + | |||
| + | - termivative 1 (till, until, up to) 단수는 –hVsai, -zesai(-žesai) , 복수는 –ihesai, ižesai | ||
| + | |||
| + | - terminative 2 단수는 –lesai(-llesai) , 복수는 –ilesai | ||
| + | |||
| + | - terminative 3 단수는 –ssai(-ššai) , 복수는 갖지 않는다. | ||
| + | |||
| + | |||
| + | ### 추가격 (ADD) | ||
| + | |||
| + | - additive 1 단수는 - hVpäi, -zepäi (-žepäi), 복수는 –ihepäi, - ižepai 붙여 나타낸다 | ||
| + | - additive 2 단수는 –lepäi(-llepäi), | ||
| + | |||
| + | ### 재격-도구격(ESS)-(INST) | ||
| + | ( be acting as, by means of, with) | ||
| + | |||
| + | - essive 의 표지 –n 은 복수 표지 –i 뒤에 붙는다. | ||
| + | |||
| + | #### 재격-도구격의 용법 : 역할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96) | ||
| + | Minun tat radab opendaja-n škola-s. | ||
| + | my father work.3SG teacher-ESS(재격) school-INE | ||
| + | 나의 아버지는 학교에서 선생님으로 일하신다. | ||
| + | }}} | ||
| + | |||
| + | |||
| + | #### 재격-도구격의 용법 : 시간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96) | ||
| + | Sobata-n mina ma-nen kinoho. | ||
| + | Saturday-ESS I go-1SG.FUT cinema | ||
| + | 나는 토요일에 영화관에 갈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재격-도구격의 용법 : 수단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96) | ||
| + | Ota kirja-d üks-i-n | ||
| + | take.IMP books-ACC one-PL-INST | ||
| + | 책(들)을 한 권씩 가져가라! | ||
| + | }}} | ||
| + | |||
| + | {{{eg>veps1250 (Piterin2014:96) | ||
| + | Lizoi klei-b bumaglehtese-d kaks-i-n. | ||
| + | Liza glue-3SG.PRS papers-ACC two-PL-INSTRUCTIVE | ||
| + | 리자는 종이들을 두장씩 붙인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