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veps:2_wordclass:27_num:27_num [2017/05/08 17:10] 김희연 [27_num : 수사 (numeral) : 95% :] |
doc:veps: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24 23:01]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98% : | + | # 27_num : 수사 (numeral) |
| - 수사는 기수사, 서수사, 분수로 나뉜다. | - 수사는 기수사, 서수사, 분수로 나뉜다. | ||
| ### 기수사 | ### 기수사 | ||
| + | |||
| + | |||
| + | |||
| |üks|1| | |üks|1| | ||
| |kaks|2| | |kaks|2| | ||
| 줄 18: | 줄 21: | ||
| #### 복합수사 | #### 복합수사 | ||
| + | |||
| + | |||
| 1) 2개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11- 19 의 숫자는 1-9까지의 단위 뒤에 – toštḱime 를 붙여 나타낸다. | 1) 2개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11- 19 의 숫자는 1-9까지의 단위 뒤에 – toštḱime 를 붙여 나타낸다. | ||
| - 예를 들어 | - 예를 들어 | ||
| + | - 11 : üks-toštkime | ||
| + | - 12 : kaks-toštki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6) | ||
| - | 11-üks-toštkime | ||
| - | 12- kaks-toštki | ||
| - | }}} | ||
| 2) 0 으로 끝나는 20 부터 90의 수는 접미사 –kime(-küme) 를 붙여 만든다. (166) | 2) 0 으로 끝나는 20 부터 90의 수는 접미사 –kime(-küme) 를 붙여 만든다. (166) | ||
| - | + | - 20 : kaks-kime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6) | + | - 30 : kuume-küme |
| - | 20 – kaks-kime | + | |
| - | 30 – kuume-küme | + | |
| }}} | }}} | ||
| - | - 복합수사가 격변화 할때에는 각각의 단위가 모두 격변화 한다. | + | - 복합수사가 격변화 할때에는 각각의 단위가 모두 격변화 한다. |
| + | |||
| |NOM| PTV| ILL| | |NOM| PTV| ILL| | ||
| |üks-toštkime| ühtedtoštkimed| Kahthetoštkimehe| | |üks-toštkime| ühtedtoštkimed| Kahthetoštkimehe| | ||
| - | + | - kakskime üks : 21 & kahteskimes ühtes : 21(INE)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6) | + | - sada viškime : 150 & sadaha vidhekimehe : 150(ILL) |
| - | kakskime üks -21 | + | |
| - | kahteskimes ühtes – 21(INE) | + | |
| - | }}} | + | |
| - | + | ||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6) | + | |
| - | sada viškime - 150 | + | |
| - | sadaha vidhekimehe –150(ILL) | + | |
| - | }}} | + | |
| 줄 63: | 줄 56: | ||
| - | - 복합 서수사인 11부터 19와 0 으로 끝나는 복합수사 뒤에는 접미사 –nz 를 붙인다. | + | - 복합 서수사인 11부터 19와 0 으로 끝나는 복합수사 뒤에는 접미사 –nz 를 붙인다. |
| + | - ühtenztoštkime-nz : 11번째 | ||
| + | - kahtenztoštkime-nz : 12번째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6) | ||
| - | ühtenztoštkime-nz | ||
| - | 11번째 | ||
| - | |||
| - | kahtenztoštkime-nz | ||
| - | 12번째 | ||
| - | }}} | ||
| ### 분수 | ### 분수 | ||
| - | - 벱스어에서는 1/2, 1/3, 1/4 정도 까지만 사용하고, 이외에 분수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 | - 벱스어에서는 1/2, 1/3, 1/4 정도 까지만 사용하고, 이외에 분수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 - | - 분수를 만들 때는 서수사의 어근뒤에 접미사 -z 를 붙여서 만든다. | + | - 분수를 만들 때는 서수사의 어근뒤에 접미사 -z 를 붙여서 만든다.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7) | + | - kummande-z : 1/3 |
| - | kummande-z | + | - nellända-z : 1/4 |
| - | 1/3 | ||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7) | + | - '반' 을 나타내는 말은 'pol' 이다. |
| - | nellända-z | + | - '원래 수 에 반이 더 있다' 라는 뜻으로 기수사+ 1/2 을 나타낼 때 poлeŋke를 쓰며, 격변화는 따로 하지 않는다. |
| - | 1/4 | + | - kakks poлeŋke : 2 와 1/2 |
| - | }}} | + | |
| - | - '반' 을 나타내는 말은 'pol' 이다. | ||
| - | - '원래 수 에 반이 더 있다' 라는 뜻으로 기수사+ 1/2 을 나타낼 때 poлeŋke를 쓰며, 격변화는 따로 하지 않는다. | ||
| - | |||
| - | {{{eg>veps1250 (Zajtseva1981:167) | ||
| - | kakks poлeŋke | ||
| - | 2+1/2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