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veps:2_wordclass:31_pro:31_pro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veps:2_wordclass:31_pro:31_pro [2017/06/05 14:51]
김희연
doc:veps:2_wordclass:31_pro:31_pro [2021/08/24 23:01] (현재)
김희연
줄 1: 줄 1: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40% :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 벱스어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 벱스어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줄 73: 줄 72:
 |ALL|häne|le|z| hii̯|le|zoi| |ALL|häne|le|z| hii̯|le|zoi|
 |ABE|häne|ta|z| hii̯|ta|(zoi) ​ |ABE|häne|ta|z| hii̯|ta|(zoi) ​
 +
  
  
줄 81: 줄 81:
  - 재귀의 뜻을 가질 때는 소유접미사와 함께 격변화하며,​ 주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재귀의 뜻을 가질 때는 소유접미사와 함께 격변화하며,​ 주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속격에서는 소유접미사와 합쳐진다. : icein 나의(моего),​ icemoi 우리의(нашего) ​    ​속격에서는 소유접미사와 합쳐진다. : icein 나의(моего),​ icemoi 우리의(нашего) ​
-   ​변성격에서는 재귀소유대명사가 '​부사'​ 화 된다. ​+   ​변성격에서는 재귀소유대명사가 '​부사'​ 화 된다. 
 +    
 + 
 +   
 + - mina ice-ksein dumein :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한다.  
  
  
-{{{eg>​veps1250 (Zajtseva1981:​170) ​   
-mina ice-ksein dumein ​ 
-I        ?     ​1SG.PRS 
-나는 나 자신에 대해서 생각한다. 
-}}} 
  
  
  - '​ice'​ 가 '​소유'​의 의미를 갖을 때는 격에 따라 격변화 하지 않고, 인칭과 수에 따라 소유 표지를 붙인다. ​  - '​ice'​ 가 '​소유'​의 의미를 갖을 때는 격에 따라 격변화 하지 않고, 인칭과 수에 따라 소유 표지를 붙인다. ​
  
-{{{eg>​veps1250 (Zajtseva1981:​170) + ​- ​icein : 자신의(나의)  
-icein (свой-мой)  + icetoiš ​: 자신의(당신의)  
-icetoiš (свой – ваш ​)  + 
-}}}+ 
 + 
 +3) 격을 나타내는 접사(속격제외) 와 함께 쓸 때, '​oneself'​ 의 의미를 갖는다.  
 + 
 + - кенди-н-и : self 
 + 
  
  
줄 107: 줄 113:
  
  
- - 지시대명사는 se 와 ne 는 주어를 더 강조하는 소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 지시대명사는 se 와 ne 는 주어를 더 강조하는 소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 
  
 {{{eg>​veps1250 (Zajtseva1981:​170) {{{eg>​veps1250 (Zajtseva1981:​170)
줄 167: 줄 174:
  - ‘mitte’ 와 ‘kudam’ 는 명사와 동일하게 격변화 한다. ​  - ‘mitte’ 와 ‘kudam’ 는 명사와 동일하게 격변화 한다. ​
    
 +
 +
 +의문사 ‘mi’ 와 ‘ken’을 강조하기 위해서 강조소서 ‘hän’ 을 붙인다. ​
 +
 +
 +{{{eg>​veps1250 (Zajtseva1981:​170)
 +ken-hän ​                   oli                    se?
 +who-INT ​                 there.is.PST ​            that
 +누가 저기에 있느냐?
 +}}}
 +
  
  
줄 177: 줄 195:
 |ken se|누구인가| |ken se|누구인가|
 |mi se|무엇인가| |mi se|무엇인가|
 +|mitte se|anyhing| 
 +|kudam se |который-то|
  
 2) –ni 는 무엇이(누가)있는지 아닌지 정확히 모를 때  2) –ni 는 무엇이(누가)있는지 아닌지 정확히 모를 때 
줄 191: 줄 210:
 |kojo-mi ​ |무엇인가가| |kojo-mi ​ |무엇인가가|
 |kojo-mitte |어떤것인가가| |kojo-mitte |어떤것인가가|
- 
  
  
doc/veps/2_wordclass/31_pro/31_pro.149664189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05 14:51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