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veps:4_ss:48_tame:48_tame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veps:4_ss:48_tame:48_tame [2017/06/20 09:12]
김희연 [표]
doc:veps:4_ss:48_tame:48_tame [2021/08/24 23:08] (현재)
김희연
줄 1: 줄 1: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0%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시제+### 시제
  
 +
 +- 시제는 현재, 과거 비완망상,​ 과거 완망상, 대과거로 나뉜다. ​
 +- 현재 시제(또는 미래시제) 는 별도의 표지를 갖지 않는다. ​
 +- 과거 비완망상은 표지 –i- 이다. (예: lug-i-n 나는 책을 읽었다.) ​
 +- 과거 완망상과 대과거는 복합시제이며,​ 조동사 olda 와 함께 쓰인다. ​
 - 미래시제를 갖지 않는다. ​ - 미래시제를 갖지 않는다. ​
 - 현재시제가 곧 미래 시제를 나타낸다. ​ - 현재시제가 곧 미래 시제를 나타낸다. ​
 - 러시아어의 ‘확실한 미래’ 를 현재형으로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 - 러시아어의 ‘확실한 미래’ 를 현재형으로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
 +- 과거 완망상 olen lugenu(나는 다 읽었다.)
 +- 대과거 olin lugenu(오래전에 나는 읽었다.)
 +- 직설법은 모든 시제가 표현되며,​ 조건법은 현재, 과거 완망상, 대과거만 나타난다. ​
 +- 가정과 명령법은 현재형만 쓰인다. ​
  
  
doc/veps/4_ss/48_tame/48_tame.149791757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20 09:12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