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vot: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vharmony [2017/08/23 15:58] 최문정 |
doc:vot: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vharmony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20: | 줄 20: | ||
| - peлata : 장난치다 | - peлata : 장난치다 | ||
| - | 2) o도 1음절이 아닌 위치에서 전설모음 단어에 쓰일 수 있다. eлo 삶, mänko 놀이, süeлmo 사마귀. | + | 2) o도 1음절이 아닌 위치에서 전설모음 단어에 쓰일 수 있다. |
| - | - 1음절이 아닌 위치에 o가 등장하는 동사는 1음절 또는 처음 몇 음절에 전설모음이 있더라도, 후설모음 단어이다. erozimma 헤어지다(1pl.PAST), erotatti 분리하다(PAST), erägoitta 분리하다. | + | |
| - | 3) -o로 끝나는 접미사는 전설모음으로 끝나는 변이형이 없다. -ikko, -likko, -zikko, -to (päivikko 태양, pätö 머리가 없는). | + | - eлo : 삶 |
| + | - mänko : 놀이 | ||
| + | - süeлmo : 사마귀 | ||
| + | |||
| + | 1음절이 아닌 위치에 o가 등장하는 동사는 1음절 또는 처음 몇 음절에 전설모음이 있더라도, 후설모음 단어이다. | ||
| + | |||
| + | - erozimma : 헤어지다(1pl.PAST), | ||
| + | - erotatti : 분리하다(PAST) | ||
| + | - erägoitta : 분리하다 | ||
| + | |||
| + | |||
| + | 3) -o로 끝나는 접미사는 전설모음으로 끝나는 변이형이 없다. | ||
| + | |||
| + | -ikko, -likko, -zikko, -to (päivikko 태양, pätö 머리가 없는). | ||
| 4) -a로 끝나는 접미사도 마찬가지이다. -ka, -kaZ, -kke̮in,-лain(일부 지역에서는 -läin도 쓰임), -nikka, -ssä, -ttoma-, ko, -kä, -gä, -kö, -gö | 4) -a로 끝나는 접미사도 마찬가지이다. -ka, -kaZ, -kke̮in,-лain(일부 지역에서는 -läin도 쓰임), -nikka, -ssä, -ttoma-, ko, -kä, -gä, -kö, -gö | ||
| 5) 일부 의성어와 나중에 들어온 차용어에는 모음조화가 없다. | 5) 일부 의성어와 나중에 들어온 차용어에는 모음조화가 없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