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vot:2_wordclass:22_noun:22_noun [2017/08/08 16:00] 유현조 [명사의 격] |
doc:vot: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31 12:49]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 # 22_noun : 명사 (noun) : 99% | + | # 22_noun : 명사 (noun) |
| ### 명사의 수 | ### 명사의 수 | ||
| 줄 98: | 줄 98: | ||
| #### (2) 속격(Genitive) | #### (2) 속격(Genitive) | ||
| + | |||
| - 단수 속격 표지는 어간의 단모음이 장모음화하는 것이다. | - 단수 속격 표지는 어간의 단모음이 장모음화하는 것이다. | ||
| - 복수 속격 표지는 언제나 모음 어간에 붙는 -je:, -je̮:, -d’d’e:, -d’d’e̮: 이거나 복수 чистая основа이다. | - 복수 속격 표지는 언제나 모음 어간에 붙는 -je:, -je̮:, -d’d’e:, -d’d’e̮: 이거나 복수 чистая основа이다. | ||
| #### (3) 부분격(Partitive) | #### (3) 부분격(Partitive) | ||
| - | - 단수 부분격 표지는 -ta, -tä, -te̮, -te, -t, -sa, -sä, -a, -ä 와 어간 모음의 장모음화 a, ä > a:, ä: 이다. | + | |
| - | - 단수 부분격을 만들기 위한 기본형은 주격형이다. | + | - 단수 부분격을 만들기 위한 기본형은 주격형이다. |
| - | - 복수 부분격의 일반적인 표지는 복수 어간이다. | + | - 복수 부분격의 일반적인 표지는 복수 어간이다. |
| + | |||
| + | 단수 부분격 표지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
| + | |||
| + | - -ta, -tä, -te̮, -te, -t, | ||
| + | - -sa, -sä, -a, -ä | ||
| + | - 어간 모음의 장모음화 a, ä > a:, ä: | ||
| + | |||
| #### (4) 내향격(illative) | #### (4) 내향격(illative) | ||
| - | - 단음절 어간일 경우: -he:, -he̮:, -ha:,-ha:(같은 형태가 반복되어 있음) | + | |
| - | - 두 개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어간일 경우: 어간 말음의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 또는 마지막 모음의 장모음화이다. | + | - 단음절 어간일 경우: -he:, -he̮:, -ha:,-ha:(같은 형태가 반복되어 있음) |
| - | - 두 경우 모두 내향격의 표지에는 추가적으로 강조 접미사 -se:, -se̮ 가 붙을 수 있다. | + | - 두 개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어간일 경우: 어간 말음의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 또는 마지막 모음의 장모음화이다. |
| - | - 교체가 일어나는 단어의 내향격은 언제나 강단계сильная ступень을 갖는다. | + | - 두 경우 모두 내향격의 표지에는 추가적으로 강조 접미사 -se:, -se̮ 가 붙을 수 있다. |
| + | - 교체가 일어나는 단어의 내향격은 언제나 강단계сильная ступень을 갖는다. | ||
| #### (5) 동반격(commutative) | #### (5) 동반격(commutative) | ||
| - | - 동반격 표지: -ka:, -kà(악상그라브), -ka | + | |
| - | - 속격에 붙는다. | + | - 동반격 표지: -ka:, -kà(악상그라브), -ka |
| + | - 속격에 붙는다. | ||
| #### (6) 종착격(terminative) | #### (6) 종착격(terminative) | ||
| - | - 종착격 표지 -ssa: | + | |
| - | - 내향격에 붙는다. | + | - 종착격 표지 -ssa: |
| - | - 동반격과 종착격을 만드는 접미사는 전설모음 단어일지라도 항상 후설모음을 갖는다. | + | - 내향격에 붙는다. |
| + | - 동반격과 종착격을 만드는 접미사는 전설모음 단어일지라도 항상 후설모음을 갖는다. | ||
| 줄 131: | 줄 143: | ||
| ##### 소유접미사 체계 | ##### 소유접미사 체계 | ||
| - | | PERSON | SG | PL | | + | | PERSON | SG | PL | |
| - | | 1 | -ni, -n | -ni | | + | | 1 | -ni, -n | -ni | |
| - | | 2 | -zi, -Z | -no, -nö | | + | | 2 | -zi, -Z | -no, -nö | |
| - | | 3 | -za, -zä, -Z, 모음의 장모음화, (동부 보트어) 모음의 장모음화 + -zaG, -zäG | (단수와 유사) | | + | | 3 | -za, -zä, -Z, 장모음화 | (단수와 유사) | |
| + | |||
| + | - (동부 보트어) 모음의 장모음화 + -zaG, -zä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