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vot:2_wordclass:23_verb:23_verb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vot:2_wordclass:23_verb:23_verb [2017/04/28 15:57]
박진호 [동사의 활용 패러다임]
doc:vot: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31 12:44] (현재)
최문정
줄 1: 줄 1:
-# 23_verb :  동사 (verb) ​: 95% :+# 23_verb :  동사 (verb)
  
-### 동사의 문법범주+동사의 문법범주: 인칭, 시제, 서법, 태 
 +- 동사는 3개의 인칭과, 단수, 복수에 따라 활용한다.  
 +- 시제: 현제, 불완료, 완료, 대과거와 미래 시제.  
 +- 서법: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가능법.  
 +- 인칭 형태와 비인칭 형태(능동태와 수동태). 
 +- 동사 활용 유형: 어간이 하나인 동사(항상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이 두 개인 동사(일부 형태에서 자음 어간도 가능). 어간이 두 개인 동사 중 일부는 이른바 (어떤 형태에서 마지막 음절의 첫 자음이 탈락함으로써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이 만들어지는) стяженные 동사이다. ​
  
-동사의 주된 문법 범주는 인칭, 시제, 법, 태이다. 동사는 3개의 인칭과, 단수, 복수에 따라 활용한다. 시제는 ​제, 불완료, 완료, 대과거와 미래 ​시제가 있다.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가능법 등 4개의 법이 있다. 인칭 형태와 무인칭 형태(능동태와 수동태)가 있다. ​+### (1) 동사 현재 시제
  
-동사는 활용 유형에 따라 어간이 하나인 동사(항상 모음으로 끝나는)어간이 두 개인 동사(일부 형태에서 자음 어간도 가능)가 있다어간이 두 개인 동사 중 일부는 이른바 ​(어떤 형태에서 마지막 음절의 첫 자음이 떨어져 나감으로써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이 만들어지는стяженные 동사이다+| |SG | PL | 
 +|1| -n | -mma-mma.
 +|2| -D | -tta, -ttä, -ttɒ, -ttä(뒤집힌), -tte̮, -tte | 
 +|3| -B |-vaD, -va.|
  
-### 동사 현재 시제 
  
-동사의 1인칭 단수 어미인 -n은 모든 시제, 모든 법에 나타난다. (오다 tue̮n 직설법 현재, tulin 직설법 과거, tuлe̮izin 조건법/​가정법). 동부 방언에서는 이 어미 -n이 사라졌고,​ 동사 어간의 모음이 길어졌고,​ 장모음이 된 모음 앞에 오는 하나의 자음은 겹자음이 되었다. (tuл-лe̮:​ 오다. 1인칭현재,​ johsi: 뛰어가다. 1인칭과거) ​ 
  
-동사의 1인칭 ​수 어미는 -mma-mma.. 크라콜리예 방언에서는 -mme̮, -mme와 모음이 약화된 -mmɒ-mmä(뒤집힌)동부방언에서는 ​-mmaG, -mmäG다. 동사 2인칭 단수 ​어미는 -D복수 ​미는 -tta-ttä, -ttɒ, -ttä(뒤집힌),​ -tte̮, -tte다. 동부방언는 -ttaG, -ttäG이다. ​3인칭 ​단수 어미는 ​현재 ​시제는 -B과거 시제는 과거시제의 강단계 ​간이다. сильноступенная основа. 3인칭 ​복수 어미는 -vaD, -va.이다. 3인칭 복수 대신에 무인칭 형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naize̮t tuлti: 여자들이 왔다)+동사의 1인칭 ​수 어미인 -n은 모든 시제모든 법에 나타난다(오다 tue̮n 직설법 현재tulin 직설법 과거tuлe̮izin 조건법/​가정법). - 동부 방언에서는 이 어미 -n이 사라졌고동사 ​간의 모음이 길어졌고장모음이 된 모음 앞에 는 하나의 자음은 겹자음이 되었다. (tuл-лe̮:​ 오다. 1인칭현재, ​johsi: 뛰다. 1인칭과거
  
-보트어의 현재시제는 특별한 표지가 없다. 인칭 표지는 동사의 어간에 직접 붙는다. 동사의 어간은 자음계의 교체 규칙에 따라 강계 과 단계어간이 ​다. (anna-n 주다.1인칭현재. anta-vaD 다.3인칭현재)+- 동사의 1인칭 복수 어미는 -mma, -mma.이다. 크라콜리예 방언에서는 -mme̮, -mme와 모음이 약화된 -mmɒ, -mmä(뒤집힌), ​부방언는 -mmaG, -mmäG이다.  
 +동사 ​2인칭 ​수 어미는 -D, 복수 어미는 -tta, -ttä, -ttɒ, -ttä(뒤집힌),​ -tte̮, -tte이다. 동부방언서는 -ttaG, -ttäG이다.  
 +- 3인칭 ​수 미는 현재 시제는 -B, 거 시제는 과거시제의 강단계 어간이다. ​сильноступенная основа3인칭 ​복수 어미는 ​-vaD, -va.이다. 3인칭 ​복수 대신에 무인칭 형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naize̮t tuлti: 여자들이 왔다)
  
-### 동사의 ​불완료(imperfect),​ 완료(perfect),​ 대(pluperfect)+- 보트어의 현재시제는 특별한 표지가 없다.  
 +- 인칭 표지는 ​동사의 ​어간에 직접 붙는다.  
 +- 동사의 어간은 자음단계의 교체 규칙에 따라 강단계 어간과 약단계어간이 있다. ​(anna-n 주다.1인칭현재. anta-vaD 주다.3인칭현재)
  
-불완료는 3인칭 단수를 제외하고 현재 시제와 똑같은 인칭 어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 어미들은 이른바 과거시제 3인칭 단수 어간에 붙는다. 그러나 모든 동사의 3인칭 단수에서 불완료 표지인 -i, -zi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 (2) 동사의 불완료(imperfect),​ 완료(perfect),​ 대과거(pluperfect) 
 + 
 +불완료는 3인칭 단수를 제외하고 현재 시제와 똑같은 인칭 어미를 갖는다. ​ 
 +그러나 이 어미들은 이른바 과거시제 3인칭 단수 어간에 붙는다. ​ 
 +그러나 모든 동사의 3인칭 단수에서 불완료 표지인 -i, -zi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
  
 lei - leimmä lei - leimmä
줄 40: 줄 54:
 throw.3SG.PST - 1PL.PST throw.3SG.PST - 1PL.PST
  
-완료는 조동사 e̮лла(be)의 현재시제와 해당 동사의 과거형동사로 만들어진다. ​+ 
 +완료는 조동사 e̮лла(be)의 현재시제와 해당 동사의 과거형동사로 만들어진다. ​
  
 e̮лe̮n anлannu e̮лe̮n anлannu
줄 50: 줄 65:
 give.1PL.PST give.1PL.PST
  
-대과거는 e̮лла 동사의 불완료와 이 동사의 과거형동사로 만들어진다. ​+ 
 + 
 +대과거는 e̮лла 동사의 불완료와 이 동사의 과거형동사로 만들어진다. ​
  
 e̮lin antannu e̮lin antannu
줄 60: 줄 77:
 give.1PL.PST give.1PL.PST
  
-### 동사의 미래시제 
  
-보트어의 미래시제로는 현재시제가 사용된다. 특별한 형태를 가지는 것은 e̮лла ​동사의 미래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동사 lid'​d'​ä 뿐이다.+### (3) 동사의 미래시제
  
-동사의 미래시제+- 미래시제로는 현재시제가 사용된다.  
 +- 특별한 형태를 가지는 것은 e̮лла ​동사의 미래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동사 lid'​d'​ä 뿐이다.
  
-보트어의 미래시제로는 현재시제가 사용된다. 특별한 형태를 가지는 것은 e̮лла 동사의 미래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동사 lid'​d'​ä 뿐이다. 
  
 i siллa le:väd лahze̮D i siллa le:väd лahze̮D
 у тебя будут дети. у тебя будут дети.
  
-### 직설법, 조건, 명령+### (4) 동사의 서법 
 + 
 +- 1) 직설법 
 + - 직설은 특별한 표지가 없다. 직설법 현재 시제도 직설법 불완료도 인칭 어미는 동사의 현재 또는 과거 시제 어간에 붙는다. ​
  
-보트어의 직설은 특별한 표지가 없다. 직설법 현재 시제도 직설법 불완료도 인칭 어미는 동사의 현재 또는 과거 시제 어간에 붙는다. ​조건법 표지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isi-/-izi- (자음단계의 교체에 따라), 일부 방언에서는 -issi-/​-izi- 또는 -issi-/-isi+- 2) 조건법  
 + ​- ​조건법 표지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isi-/-izi- (자음단계의 교체에 따라), 일부 방언에서는 -issi-/​-izi- 또는 -issi-/-isi
  
 saisivaD saisivaD
줄 92: 줄 112:
 (мы) дали бы (мы) дали бы
  
-조건법 표지가 두 개인 경우도 있다.+ 
 +조건법 표지가 두 개인 경우도 있다.
  
 saise̮izin ​ saise̮izin ​
줄 100: 줄 121:
 получаю получаю
  
-명령법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서 ​e̮ллa (be) jättä (оставить) 동사의 패러다임을 정리한다. ​+ 
 +- 3) 명령법 
 + ​- ​e̮ллa (be) jättä (оставить) 동사의 ​명령법 ​패러다임을 정리한다. ​
  
 | 2sg | e̮лe̮, 동부 보트 방언 e̮лe̮G | jätä, 동부 보트 방언 jätäG | | 2sg | e̮лe̮, 동부 보트 방언 e̮лe̮G | jätä, 동부 보트 방언 jätäG |
줄 108: 줄 131:
  
  
-명령법의 표지는 전설모음 단어에도 후설모음이다.+ ​- ​명령법의 표지는 전설모음 단어에도 후설모음이다. 
 + 
 +- 4) 가능법  
 + - 가능법은 현재 민요에만 남아있다. 
  
-가능법은 현재 민요에만 남아있다. ​ 
 sö:nenen sö:nenen
 вероятно,​ ем вероятно,​ ем
줄 117: 줄 142:
 вероятно,​ прихожу вероятно,​ прихожу
  
-보트어의 능동태는 특별한 표지가 없다. ​인칭태безличный залог의 현재시제 표지는 어간 -sse:, sse̮:, -se:, -se̮:, -ssa, ssä, -s:, -Z, -ze, -ze̮ 이고, 이는 동사의 제1원형에 붙는다. ​+### (5) 동사의 태 
 + 
 +능동태는 특별한 표지가 없다. ​ 
 +- 비인칭태безличный залог의 현재시제 표지는 어간 -sse:, sse̮:, -se:, -se̮:, -ssa, ssä, -s:, -Z, -ze, -ze̮ 이고, 이는 동사의 제1원형에 붙는다. ​
  
 pesäse: ​ pesäse: ​
줄 139: 줄 167:
 ### 비인칭 형태 ### 비인칭 형태
  
-비인칭 형태의 과거시제 표지는 -ti: (자음 뒤와 주강세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 뒤) 또는 -tti: (tuлti: пришли ​+비인칭 형태의 과거시제 표지는 -ti: (자음 뒤와 주강세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 뒤) 또는 -tti: (tuлti: пришли ​
 so.:ti: ели so.:ti: ели
 anne̮tti: давали ​ anne̮tti: давали ​
 mätetti: затыкали)이다. mätetti: затыкали)이다.
  
-비인칭 형태의 조건법의 표지는 -taissi, -täissi, -ttaissi, -ttäissi 또는 -taisi, -täisi, -ttaisi, -ttäisi 이다. +비인칭 형태의 조건법의 표지는 -taissi, -täissi, -ttaissi, -ttäissi 또는 -taisi, -täisi, -ttaisi, -ttäisi 이다. 
- +비인칭 형태의 명령법 표지는 -tago:, -tägo:, -ttago:, -ttägo: 이다.
-비인칭 형태의 명령법 표지는 -tago:, -tägo:, -ttago:, -ttägo: 이다.+
 ve̮te̮ttago:​ ve̮te̮ttago:​
 пусть берут пусть берут
줄 153: 줄 180:
 пусть скажут пусть скажут
  
-### 동사의 원형+### (6) 동사의 원형
  
-보트어에는 동사 원형이 두 개이다. 제1 원형의 표지는 -a, -ä, -a:, -ä:, -ta, -tä (동부 보트 방언에서는 이 표지의 끝에 -G가 있다).+보트어에는 동사 원형이 두 개이다. 제1 원형의 표지는 -a, -ä, -a:, -ä:, -ta, -tä (동부 보트 방언에서는 이 표지의 끝에 -G가 있다).
 panna panna
 класть класть
줄 174: 줄 201:
 связывать связывать
  
-제1 원형의 내재격(inessive)은 널리 쓰인다.+제1 원형의 내재격(inessive)은 널리 쓰인다.
 elä:zä: elä:zä:
 живя живя
줄 187: 줄 214:
 иди иди
  
-제2 원형의 표지는 -ma:​(se̮:​),​ -mä:​(se:​)이고,​ 동사 어간의 모음에 붙는다.+제2 원형의 표지는 -ma:​(se̮:​),​ -mä:​(se:​)이고,​ 동사 어간의 모음에 붙는다.
  
 va:ttama: va:ttama:
줄 195: 줄 222:
 есть, кушать есть, кушать
  
-제2 원형은 본질상 내향격(illative)이다. 제2 원형의 내재격, 외향격(elative),​ 결여격(abessive)도 쓰인다.+제2 원형은 본질상 내향격(illative)이다. 제2 원형의 내재격, 외향격(elative),​ 결여격(abessive)도 쓰인다.
  
 e̮лti: tsäümäzä e̮лti: tsäümäzä
줄 206: 줄 233:
 Поле осталось невспаханным Поле осталось невспаханным
  
-### 분사+### (7) 분사
  
-보트어에는 분사가 2개이고, 둘 다 능동태에서도 수동태에서도 사용된다. 능동현재분사의 표지는 -va, vä 이고, 비인칭 형태는 -tava, -tävä, -ttava, -ttävä이다.+보트어에는 분사가 2개이고, 둘 다 능동태에서도 수동태에서도 사용된다. ​ 
 +능동현재분사의 표지는 -va, vä 이고, 비인칭 형태는 -tava, -tävä, -ttava, -ttävä이다.
  
 pe̮лe̮va pe̮лe̮va
줄 217: 줄 245:
  
  
-능동과거분사의 표지는 -nnu, -nnü 이고 동부 보트 방언는 -nnuG, -nnüG, 비인칭 형태에서는 -tu, -tü, -ttu, -ttü, 동부 보트 방언에서는 -tuG, -tüG, -ttuG, -ttüG이다. ​+능동과거분사의 표지는 -nnu, -nnü 이고 동부 보트 방언는 -nnuG, -nnüG, 비인칭 형태에서는 -tu, -tü, -ttu, -ttü, 동부 보트 방언에서는 -tuG, -tüG, -ttuG, -ttüG이다. ​
  
 page̮nnu page̮nnu
줄 237: 줄 265:
 убитый убитый
  
-### 동작성 명사와 행위자 명사+### (8) 동작성 명사와 행위자 명사
  
-동작성 명사(action noun)의 표지는 -min, -mine, -mine̮ 또는 -mi:n, -mi:ne, -mi:ne̮+동작성 명사(action noun)의 표지는 -min, -mine, -mine̮ 또는 -mi:n, -mi:ne, -mi:ne̮
 sömin sömin
 еда еда
줄 252: 줄 280:
 шитье шитье
  
-행위자 명사의 표지는 -ja, -jä, 크라콜리예(Krakol’e) 마을 방언에서는 약화 모음이 있는 어미 -ja…, -ja… 와 je̮, -je이다+행위자 명사의 표지는 -ja, -jä, 크라콜리예(Krakol’e) 마을 방언에서는 약화 모음이 있는 어미 -ja…, -ja… 와 je̮, -je이다
 лauлaja лauлaja
 певец певец
줄 265: 줄 293:
 спрашивающий,​ проситель спрашивающий,​ проситель
  
-### 동사의 부정형 +### (9) 동사의 부정형negation
- +
-동사 부정형은 명령법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표지도 인칭어미도 없다. 동사의 어간만이 사용되고 (동부 보트 방언에서는 어간에 끝에 표지 -G가 붙는다) 그리고 인칭에 따라 부정 동사 자체가 변화한다.  +
- +
-en +
-я не +
- +
-eD +
-ты не+
  
-eB +- 동사 부정형은 명령법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표지도 인칭어미도 없다. ​ 
-он не+- 동사의 어간만이 사용되고 (동부 보트 방언에서는 어간에 끝에 표지 -G가 붙는다) 그리고 인칭에 따라 부정 동사 자체가 변화한다. ​
  
-emmä +| | SG  | PL|  
-мы не+|1 | en | emmä |  
 +|2 | eD  | etta |  
 +|3 | eB  | eväD | 
  
-etta 
-вы не 
  
-eväD 
-они не 
  
 en e̮лe̮, en e̮лe̮G en e̮лe̮, en e̮лe̮G
줄 296: 줄 314:
 я не был я не был
  
-명령+##### 부정명령
  
 elä e̮лe̮, eläg e̮лe̮G elä e̮лe̮, eläg e̮лe̮G
줄 307: 줄 325:
 пусть мы не будем пусть мы не будем
  
-### 동사의 활용 패러다임+### (10) 동사의 활용 패러다임
 어간이 하나인 동사 juava, ju:vva пить ​ 어간이 하나인 동사 juava, ju:vva пить ​
 어간이 둘인 tehä делать 어간이 둘인 tehä делать
줄 368: 줄 386:
 | 행위주 명사 ​      ​| ​ |  | jo:ja | tetšijä | tšiusa:​ja ​    ​| ​ | |  | | 행위주 명사 ​      ​| ​ |  | jo:ja | tetšijä | tšiusa:​ja ​    ​| ​ | |  |
  
-### 동사의 주요 파생접미사+### (11) 동사의 주요 파생접미사
  
 (1) -ele-, -e̮лe̮- 주로 행위의 다회성을 표현한다. (1) -ele-, -e̮лe̮- 주로 행위의 다회성을 표현한다.
doc/vot/2_wordclass/23_verb/23_verb.149336267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4/28 15:57 저자 박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