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vot:2_wordclass:23_verb:23_verb [2017/06/18 21:53] 최문정 |
doc:vot: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31 12:44]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 # 23_verb : 동사 (verb) : 95% : | + | # 23_verb : 동사 (verb) |
| - | ### 동사의 문법범주 | + | - 동사의 문법범주: 인칭, 시제, 서법, 태 |
| - | + | ||
| - | - 인칭, 시제, 서법, 태 | + | |
| - 동사는 3개의 인칭과, 단수, 복수에 따라 활용한다. | - 동사는 3개의 인칭과, 단수, 복수에 따라 활용한다. | ||
| - 시제: 현제, 불완료, 완료, 대과거와 미래 시제. | - 시제: 현제, 불완료, 완료, 대과거와 미래 시제. | ||
| 줄 10: | 줄 8: | ||
| - 동사 활용 유형: 어간이 하나인 동사(항상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이 두 개인 동사(일부 형태에서 자음 어간도 가능). 어간이 두 개인 동사 중 일부는 이른바 (어떤 형태에서 마지막 음절의 첫 자음이 탈락함으로써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이 만들어지는) стяженные 동사이다. | - 동사 활용 유형: 어간이 하나인 동사(항상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이 두 개인 동사(일부 형태에서 자음 어간도 가능). 어간이 두 개인 동사 중 일부는 이른바 (어떤 형태에서 마지막 음절의 첫 자음이 탈락함으로써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이 만들어지는) стяженные 동사이다. | ||
| - | ### 동사 현재 시제 | + | ### (1) 동사 현재 시제 |
| | |SG | PL | | | |SG | PL | | ||
| 줄 29: | 줄 27: | ||
| - 동사의 어간은 자음단계의 교체 규칙에 따라 강단계 어간과 약단계어간이 있다. (anna-n 주다.1인칭현재. anta-vaD 주다.3인칭현재) | - 동사의 어간은 자음단계의 교체 규칙에 따라 강단계 어간과 약단계어간이 있다. (anna-n 주다.1인칭현재. anta-vaD 주다.3인칭현재) | ||
| - | ### 동사의 불완료(imperfect), 완료(perfect), 대과거(pluperfect) | + | ### (2) 동사의 불완료(imperfect), 완료(perfect), 대과거(pluperfect) |
| - 불완료는 3인칭 단수를 제외하고 현재 시제와 똑같은 인칭 어미를 갖는다. | - 불완료는 3인칭 단수를 제외하고 현재 시제와 똑같은 인칭 어미를 갖는다. | ||
| 줄 80: | 줄 78: | ||
| - | ### 동사의 미래시제 | + | ### (3) 동사의 미래시제 |
| - 미래시제로는 현재시제가 사용된다. | - 미래시제로는 현재시제가 사용된다. | ||
| 줄 89: | 줄 87: | ||
| у тебя будут дети. | у тебя будут дети. | ||
| - | ###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 + | ### (4) 동사의 서법 |
| - | - 직설법은 특별한 표지가 없다. 직설법 현재 시제도 직설법 불완료도 인칭 어미는 동사의 현재 또는 과거 시제 어간에 붙는다. | + | - 1) 직설법 |
| - | - 조건법 표지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isi-/-izi- (자음단계의 교체에 따라), 일부 방언에서는 -issi-/-izi- 또는 -issi-/-isi | + | - 직설법은 특별한 표지가 없다. 직설법 현재 시제도 직설법 불완료도 인칭 어미는 동사의 현재 또는 과거 시제 어간에 붙는다. |
| + | |||
| + | - 2) 조건법 | ||
| + | - 조건법 표지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isi-/-izi- (자음단계의 교체에 따라), 일부 방언에서는 -issi-/-izi- 또는 -issi-/-isi | ||
| saisivaD | saisivaD | ||
| 줄 120: | 줄 121: | ||
| получаю | получаю | ||
| - | - 명령법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서 e̮ллa (be) jättä (оставить) 동사의 패러다임을 정리한다. | + | |
| + | - 3) 명령법 | ||
| + | - e̮ллa (be) jättä (оставить) 동사의 명령법 패러다임을 정리한다. | ||
| | 2sg | e̮лe̮, 동부 보트 방언 e̮лe̮G | jätä, 동부 보트 방언 jätäG | | | 2sg | e̮лe̮, 동부 보트 방언 e̮лe̮G | jätä, 동부 보트 방언 jätäG | | ||
| 줄 128: | 줄 131: | ||
| - | - 명령법의 표지는 전설모음 단어에도 후설모음이다. | + | - 명령법의 표지는 전설모음 단어에도 후설모음이다. |
| - | - 가능법은 현재 민요에만 남아있다. | + | |
| + | - 4) 가능법 | ||
| + | - 가능법은 현재 민요에만 남아있다. | ||
| sö:nenen | sö:nenen | ||
| 줄 137: | 줄 142: | ||
| вероятно, прихожу | вероятно, прихожу | ||
| - | ### 동사의 태 | + | ### (5) 동사의 태 |
| - 능동태는 특별한 표지가 없다. | - 능동태는 특별한 표지가 없다. | ||
| 줄 175: | 줄 180: | ||
| пусть скажут | пусть скажут | ||
| - | ### 동사의 원형 | + | ### (6) 동사의 원형 |
| - 보트어에는 동사 원형이 두 개이다. 제1 원형의 표지는 -a, -ä, -a:, -ä:, -ta, -tä (동부 보트 방언에서는 이 표지의 끝에 -G가 있다). | - 보트어에는 동사 원형이 두 개이다. 제1 원형의 표지는 -a, -ä, -a:, -ä:, -ta, -tä (동부 보트 방언에서는 이 표지의 끝에 -G가 있다). | ||
| 줄 228: | 줄 233: | ||
| Поле осталось невспаханным | Поле осталось невспаханным | ||
| - | ### 분사 | + | ### (7) 분사 |
| - 보트어에는 분사가 2개이고, 둘 다 능동태에서도 수동태에서도 사용된다. | - 보트어에는 분사가 2개이고, 둘 다 능동태에서도 수동태에서도 사용된다. | ||
| 줄 260: | 줄 265: | ||
| убитый | убитый | ||
| - | ### 동작성 명사와 행위자 명사 | + | ### (8) 동작성 명사와 행위자 명사 |
| - 동작성 명사(action noun)의 표지는 -min, -mine, -mine̮ 또는 -mi:n, -mi:ne, -mi:ne̮ | - 동작성 명사(action noun)의 표지는 -min, -mine, -mine̮ 또는 -mi:n, -mi:ne, -mi:ne̮ | ||
| 줄 288: | 줄 293: | ||
| спрашивающий, проситель | спрашивающий, проситель | ||
| - | ### 동사의 부정형negation | + | ### (9) 동사의 부정형negation |
| - 동사 부정형은 명령법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표지도 인칭어미도 없다. | - 동사 부정형은 명령법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표지도 인칭어미도 없다. | ||
| 줄 309: | 줄 314: | ||
| я не был | я не был | ||
| - | 명령법 | + | ##### 부정명령 |
| elä e̮лe̮, eläg e̮лe̮G | elä e̮лe̮, eläg e̮лe̮G | ||
| 줄 320: | 줄 325: | ||
| пусть мы не будем | пусть мы не будем | ||
| - | ### 동사의 활용 패러다임 | + | ### (10) 동사의 활용 패러다임 |
| 어간이 하나인 동사 juava, ju:vva пить | 어간이 하나인 동사 juava, ju:vva пить | ||
| 어간이 둘인 tehä делать | 어간이 둘인 tehä делать | ||
| 줄 381: | 줄 386: | ||
| | 행위주 명사 | | | jo:ja | tetšijä | tšiusa:ja | | | | | | 행위주 명사 | | | jo:ja | tetšijä | tšiusa:ja | | | | | ||
| - | ### 동사의 주요 파생접미사 | + | ### (11) 동사의 주요 파생접미사 |
| (1) -ele-, -e̮лe̮- 주로 행위의 다회성을 표현한다. | (1) -ele-, -e̮лe̮- 주로 행위의 다회성을 표현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