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vot:2_wordclass:27_num:27_nu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vot:2_wordclass:27_num:27_num [2017/02/16 02:59]
최문정
doc:vot: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31 12:50] (현재)
최문정
줄 1: 줄 1:
-# 27_num : 수사 (numeral) ​: 60%+# 27_num : 수사 (numeral)
  
-보트어의 ​수사는 대개 해당 개수사에 접미사 -iZ, Z를 붙여서 만든다(예외,​ 첫째, 둘째). 이 때 어간의 모음은 변할 수 있다. ​+#### 보트어의 ​수사와 서수사
  
-보트어의 수사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수사| 서수사| ​
-| |수사| 서수사| ​+
 |1| ühsi, ühs |esimen, esimene, esimein| |1| ühsi, ühs |esimen, esimene, esimein|
 |2| kahsi, kahs |te̮ine̮, te̮in | |2| kahsi, kahs |te̮ine̮, te̮in |
줄 26: 줄 25:
 |4000| nellätuhatta | nellätuhatte̮maiZ | |4000| nellätuhatta | nellätuhatte̮maiZ |
  
 +#### 수사의 특징
  
-복합 서수사는 마지막 부분이 순서를 나타낸다. +- 서수사는 대개 해당 기수사에 접미사 -iZ, Z를 붙여서 만든다(예외,​ 첫째, 둘째). 이 때 어간의 모음은 변할 수 있다.  
- +복합 서수사는 마지막 부분이 순서를 나타낸다. 
-수사의 곡용은 유형별 다른 체언의 곡용과 같다.  +수사의 곡용은 유형별 다른 체언의 곡용과 같다.  
- +복합 ​수사는 모든 부분이 곡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마지막 수사만 곡용하는 경우도 있다. 복합 서수사는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이 모두 곡용한다.  ​
-복합 ​수사는 모든 부분이 곡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마지막 수사만 곡용하는 경우도 있다. 복합 서수사는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이 모두 곡용한다.  ​+
 (29번째. 생격. kahtšümmenettoma:​ ühessämättoma:​) (29번째. 생격. kahtšümmenettoma:​ ühessämättoma:​)
 +- 주격에서 수사가 명사와 함께 사용되면,​ 명사는 단수 생격으로 온다. (nellä janka: 다리 4개) 1(ühsi, ühs)은 예외이다.
  
-주격에서 ​사가 명사와 함께 사용되면,​ 명사는 단수 생격으로 온다. (nellä janka: 다리 4개) 1(ühsi, ühs)은 예외이다.+#### 분(소수)
  
-분수(소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1/2 po:li, po:л, 1.5 po:​lite̮issa,​ po:​lte̮issa,​ 2.5 po:​li-ke̮лmatta. 다른 분수()소수)는 e̮sa(부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만든다. (ke̮лmaiz e̮sa 1/3, kahs vid'​d'​että e̮sa 2/5)+1/2 po:li, po:л, 1.5 po:​lite̮issa,​ po:​lte̮issa,​ 2.5 po:​li-ke̮лmatta. ​ 
 +다른 분수()소수)는 e̮sa(부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만든다. (ke̮лmaiz e̮sa 1/3, kahs vid'​d'​että e̮sa 2/5)
  
  
  
doc/vot/2_wordclass/27_num/27_num.148718157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2/16 02:59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