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vot:4_ss:41_cl:41_cl [2017/04/28 14:09] 최문정 |
doc:vot:4_ss:41_cl:41_cl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2: | 줄 12: | ||
| 단문은 복문과 대등 연결 또는 종속 연결 방법으로 연견된다. 대등복문의 구성부분(절)은 ja, i, da, dai (그리고), a (그러나, 그런데),ain (그럼에도), vaikka (비록) 등의 접속사로 연결된다. 그러나 접속사 없이 연결될 수도 있다. | 단문은 복문과 대등 연결 또는 종속 연결 방법으로 연견된다. 대등복문의 구성부분(절)은 ja, i, da, dai (그리고), a (그러나, 그런데),ain (그럼에도), vaikka (비록) 등의 접속사로 연결된다. 그러나 접속사 없이 연결될 수도 있다. | ||
| - | 종속복문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접속사는 etti, jottk, | + | 종속복문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접속사는 etti, jotti, što, ešto (), kui, ku, ko... siZ, si:Z, i, ni (만약 ~하면), kunni (~하는 한), niku (마치, ~처럼) 등이고, 관계대명사 mika (), kumpa ()는 주격과 그외 사격으로 사용된다. |
| + | |||
| + | ### 종속문의 주요 유형 | ||
| + | |||
| + | 부가종속문 | ||
| + | |||
| + | 한정종속문 | ||
| + | |||
| + | 상황종속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