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xibe: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18/06/18 16:59] 김혜 |
doc:xibe: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21/08/24 00:26] (현재) 김혜 |
||
|---|---|---|---|
| 줄 1: | 줄 1: | ||
| - |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100% | + |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 - | #### 파생 | ||
| - | |||
| - | 명사 파생 | ||
| - | |||
| - | ##### (1) -n | ||
| - | |||
| - | |||
| - | 동사 혹은 명사 어간에 붙여서 어떤 행동의 결과 혹은 그 행동과 관련이 있는 사물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4 | ||
| - | |||
| - | alqə- : 나아가다 + [-n] -> laqən : 걸음 | ||
| - | χadə- : 못을 박다 + [-n] -> χadən : 못 | ||
| - | qarmə- : 보호하다 + [-n] -> qarmən : 보호 | ||
| - | |||
| - | }}} | ||
| - | |||
| - | ##### (2) -ɕi | ||
| - | |||
| - | 동사 혹은 명사 어간에 붙여서 어떤 직업을 종사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4 | ||
| - | |||
| - | arə- : 쓰다 + [-ɕi] -> arəɕi : 작가 | ||
| - | taʨi- : 공부하다 + [-ɕi] -> taʨiɕi : 학생 | ||
| - | uɕi : 밭 + [-ɕi] -> uɕiɕi : 농민 | ||
| - | |||
| - | }}} | ||
| - | |||
| - | ##### (3) -su/-rsu | ||
| - | |||
| - | 동사 어간에 붙이는 접미사이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5 | ||
| - | |||
| - | ədʐi- : 기억하다 + [-su] -> ədʐəsu : 기억 | ||
| - | taqa- : 알다 + [-su] -> taqasu : 알고 있음 | ||
| - | tuʨ- : 나오다 + [-rsu] -> tucirsu : 상품 | ||
| - | |||
| - | }}} | ||
| - | |||
| - | ##### (4) -χan/-ɢon/-χun | ||
| - | |||
| - | 동사 혹은 명사 어간에 붙이는 접미사이다. 어떤 행동과 관련이 있는 사물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5 | ||
| - | |||
| - | miami- : 꾸미다 + [-χan] -> miamiχan : 장식품 | ||
| - | bodu- : 생각하다 + [-ɢon] -> bodoɢon : 모략 | ||
| - | bo : 집 + [-χun] -> boiχun : 가정 | ||
| - | |||
| - | }}} | ||
| - | |||
| - | ##### (5) -niŋ/-jiŋ | ||
| - | |||
| - | 명사 어간에 붙여서 소유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5 | ||
| - | |||
| - | amə : 아버지 + [-niŋ] -> aməniŋ : 아버지의 것 | ||
| - | məs : 우리 + [-jiŋ] -> məsjiŋ : 우리의 것 | ||
| - | |||
| - | }}} | ||
| - | |||
| - | ##### (6) -dʐi | ||
| - | |||
| - | 형용사 어간에 붙여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5 | ||
| - | |||
| - | sujan : 노란 + [-dʐi] -> sujandʐi : 노란 머리의 여자 아이 | ||
| - | jəʨin : 검은 + [-dʐi] -> jəʨindʐi : 검은 피부의 여자 아이 | ||
| - | matʂwχun : 날씬한 + [-dʐi] -> matʂwχundʐi : 날씬한 사람 | ||
| - | |||
| - | }}} | ||
| - | |||
| - | ##### (7) -kw/qw | ||
| - | |||
| - | 동사 어간에 붙여서 어떤 행동이 발생한 장소를 가르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5 | ||
| - | |||
| - | tə- : 앉다 + [-kw] -> təkw : 좌석 | ||
| - | utu- : 입다 + [-kw] -> utwkw : 옷 | ||
| - | taʨi- : 공부하다 + [-qw] -> taʨiqw : 학교 | ||
| - | |||
| - | }}} | ||
| - | |||
| - | ##### (8) -tʂun | ||
| - | |||
| - | 동사 어간에 붙인 접미사이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5 | ||
| - | |||
| - | ərə- : 희망하다 + [-tʂun] -> ərətʂun : 희망 | ||
| - | basi- : 비웃다 + [-tʂun] -> basitʂun : 웃음거리 | ||
| - | |||
| - | }}} | ||
| - | |||
| - | 2. 형용사 파생 | ||
| - | |||
| - | ##### (1) -ŋ | ||
| - | |||
| - | 명사, 동사 혹은 형용사 어간에 붙여서 어떤 행동 혹은 사물의 특징을 가리킨다. | ||
| -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6 | ||
| - | |||
| - | ərdəm : 재능 + [-ŋ] -> ərdəmuŋ : 재능이 있는 | ||
| - | gəv : 이름 + [-ŋ] -> gəvəŋ : 유명한 | ||
| - | kuku : 자두색의 + [-ŋ] -> kukuŋ : 자두색의 | ||
| - | |||
| - | }}} | ||
| - | |||
| - | |||
| - | ##### (2) -sxun/-sχun | ||
| - | |||
| - | 명사, 동사 혹은 형용사 어간에 붙인 접미사이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6 | ||
| - | |||
| - | əntʂw : 다른 + [-sxun] -> əntʂusxun : 특별한 | ||
| - | dalvə : 측면 + [-sxun] -> dalvəsχun : 측면의 | ||
| - | ɢolmin : 긴 + [-sχun] -> ɢolmisχun : 조금 긴 | ||
| - | |||
| - | }}} | ||
| - | |||
| - | ##### (3) -tʂkw/-tʂwkw | ||
| - | |||
| - | 동사 어간에 붙여서 형용사를 파생한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6 | ||
| - | |||
| - | gələ- : 두려워하다 + [-tʂkw] -> gəltʂkw ~ gəltʂwkw: 무서운 | ||
| - | bujə- : 사랑하다 + [-tʂkw] -> bujətʂkw ~ bujətʂwkw : 귀여운 | ||
| - | |||
| - | }}} | ||
| - | |||
| - | |||
| - | 3. 동사 파생 | ||
| - | |||
| - | ##### (1) -lə/-lu | ||
| - | |||
| - | 명사, 형용사, 동사 어간에 붙여서 어떤 행동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6 | ||
| - | |||
| - | kuɕi : 작은 칼 + [-lə] -> kuɕilə- : (칼로) 찌르다 | ||
| - | muku : 물 + [-lu] -> mukulu- : (물로) 뿌리다 | ||
| - | gəv : 이름 + [-lə] -> gəvələ- : 이름을 짓다 | ||
| - | tʂasχun : 반대의 + [-lə] -> tʂasχulə- : 배신하다 | ||
| - | |||
| - | }}} | ||
| - | |||
| - | ##### (2) -rə | ||
| - | |||
| - | 명사, 형용사 어간에 붙여서 어떤 사물의 특징과 관력이 있는 행동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7 | ||
| - | |||
| - | antχ : 손님 + [-rə] -> antχərə- : 사양하다 | ||
| - | bisan : 홍수 + [-rə] -> bisarə- : 퍼지다 | ||
| - | xətw : 가로의 + [-ru] -> xəturu- : 가로 막다 | ||
| - | |||
| - | }}} | ||
| - | |||
| - | |||
| - | ##### (3) -ʂi | ||
| - | |||
| - | 명사, 형용사, 동사 어간에 붙여서 어간의 의미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떤 행동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7 | ||
| - | |||
| - | fafurj : 용감한 + [-ʂi] -> fafurʂi- : 분발하다 | ||
| - | maŋ : 어려운 + [-ʂi] -> maŋʂi- : 제한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4) -nə | ||
| - | |||
| - | 명사 혹은 동사 어간에 붙여서 이 사건을 발생하게 만든 행동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7 | ||
| - | |||
| - | ilχa : 꽃 + [-nə] -> ilχanə- : 꿏이 피다 | ||
| - | adə- : 연결하다 + [-nə] -> adənə- : 참가하다 | ||
| - | ələ- : 만족하다 + [-nə] -> ələnə- : 싫증이 나다 | ||
| - | |||
| - | }}} | ||
| - | |||
| - | |||
| - | ##### (5) -də/-du | ||
| - | |||
| - | 명사 혹은 형용사 어간에 붙여서 어떤 사물을 가지고 한 행동을 가리킨다.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7 | ||
| - | |||
| - | burun : 소라 + [-də] -> burdə- : 소라를 불다 | ||
| - | jovun : 농담 + [-də] -> ovudu- : 농담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4. 수사 파생 | ||
| - | |||
| - | ##### -ʨi | ||
| - | |||
| - | 기수사에 붙여서 서수사를 구성한다. | ||
| - | |||
| - | #### 합성 | ||
| - | |||
| - | ##### 병렬 | ||
| - | |||
| - | ^ 명사 + 명사| aχun du| 형제| | ||
| - | ^ :::| gəv χal| 성명| | ||
| - | ^ :::| udun aχa| 폭풍우| | ||
| - | ^ 형용사 + 형용사| uʥin dʐəŋʥi| 점잖다| | ||
| - | ^ :::| budun alvatw| 거칠다| | ||
| - | ^ :::| ontʂw əlxin| 광대하다| | ||
| - | ^ 동사 + 동사| baitʂəm tam| 관찰하다| | ||
| - | ^ :::| folum kələm| 조각하다| | ||
| - | ^ :::| xədʐim fodum| 숨이 차다| | ||
| - | |||
| - | ##### 수식 | ||
| - | |||
| - | {{{lex>xibe1242 Lishulan2002:647 | ||
| - | |||
| - | niŋaiər : 봄 + dœɕym : 들어가다 -> 입춘 | ||
| - | do : 내장 + baχəm : 얻다 -> 배가 부르다 | ||
| - | asχəŋ : 날개 있는 + ɕiŋər : 쥐 -> 박쥐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