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yakut:1_phonology:11_cons:11_cons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yakut: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05/01 15:10]
최문정 [자음 결합 규칙]
doc:yakut: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08/23 17:02] (현재)
최문정
줄 4: 줄 4:
 ### 자음 음소 목록(20개) ### 자음 음소 목록(20개)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IPA ^ ^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 bilabial | plosive ​| п, б | [p], [b] +| bilabial | plosive | [p], [b] |  
-| bilabial| nasal | м | [m] +| bilabial| nasal | [m] | 
-| dental | plosive ​|т, д | [t], [d] +| dental | plosive | [t], [d] |  
-| dental | nasal   | н | [n] +| dental | nasal   | [n] |  
-| alveolar | fricative ​| с | [s] |  +| alveolar | fricative | [s] |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л  ​| [l]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l] |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ль  | [l_j] | (1966만 별도의 음소로)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 1) [l_j] | 
-| alveolar | flap | р | [r] +| alveolar | flap | [r] | 
-| palatal | affricate ​| ч | [c] | (1966 : alveolar) ​+| palatal ​(1966: alveolar)| affricate | [c] | 
-| palatal | plosive ​| дь | [J\] +| palatal | plosive | [J\] |  
-| palatal | nasal | нь | [J] +| palatal | nasal | [J] |  
-| palatal | approximant (plain) | j(й) | [j] +| palatal | approximant (plain) | [j] |  
-| palatal | approximant (nasalized) ​| й``` ~ ``` | [j] ``` ~ ``` +| palatal | approximant (nasalized) | [j] ``` ~ ``` |  
-| velar | plosive ​|к, г | [k], [g] +| velar | plosive | [k], [g] |  
-| velar | fricative ​|х, ҕ |[X], [G] | (1966, 1997 : uvular) ​+| velar (1966, 1997: uvular)| fricative |[X], [G] | 
-| velar | nasal | ҥ | [N] +| velar | nasal | [N] | 
-| glottal ​| fricative | һ | [h] | (1966, 1997 : pharyngeal) |+| glottal (1966, 1997: pharyngeal)| fricative | [h] |
  
  
 - 2005와 위키피디아의 분류 - 2005와 위키피디아의 분류
-다른 문헌에서 다르게 기술된 것은 괄호 안에 기입+1) 1966만 별도의 음소로
  
 ### 자음의 특징 ### 자음의 특징
줄 41: 줄 41:
 - 자음 세 개의 자음군은 불가능하다. - 자음 세 개의 자음군은 불가능하다.
 - h는 어중에서 모음 사이에만 온다. 모음 사이의 c는 h로 교체된다. VcV > VhV - h는 어중에서 모음 사이에만 온다. 모음 사이의 c는 h로 교체된다. VcV > VhV
- - ас 음식 > аһа 그의 음식+ 
 +{{{lex>​yaku1245 (sleptsov2005:​535) 
 + 
 +- ас 음식 ​+ -а : POSS.3SG -> аһа 그의 음식 
 + 
 +}}}
  
 ##### 어말 ##### 어말
  
 - 어말에는 대개 단일자음이 온다. 자음군이 오는 경우(рт,​ лт, мп)는 드물다. ​ - 어말에는 대개 단일자음이 온다. 자음군이 오는 경우(рт,​ лт, мп)는 드물다. ​
- - тарт : 끌다 + 
- - булт : 사냥 +{{{lex>​yaku1245 (sleptsov2005:​535) 
- - эмп : 약 + 
- - илт- : 가져다주다,​ 배달하다 +- тарт : 끌다 
- - түөрт : 4+- булт : 사냥 
 +- эмп : 약 
 + 
 +}}} 
 + 
 +{{{lex>​yaku1245 (ubryatova1966:​406) 
 + 
 +- илт- : 가져다주다,​ 배달하다 
 +- түөрт : 4 
 + 
 +}}}
  
 - 어말에는 모든 유성음, ч, нь, h은 올 수 없다. - 어말에는 모든 유성음, ч, нь, h은 올 수 없다.
 - 어간말음 к, п, с, х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 앞에서 해당 유성음 г, б, һ, ҕ 로 교체된다. - 어간말음 к, п, с, х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 앞에서 해당 유성음 г, б, һ, ҕ 로 교체된다.
-  - тик + эр > тигэр : 바느질하다(3SG) 
-  - сап + ы > сабы : 실(Acc) 
-  - кыыс + а > кыыһа : 그의 딸 
-  - быһах + а > быһаҕа : 그의 칼 
  
 +{{{lex>​yaku1245 (sleptsov2005:​536)
 +
 +- тик : 바느질하다 + -эр : 3SG -> тигэр : 바느질하다(3SG)
 +- сап : 실 + ы : ACC -> сабы : 실(Acc)
 +- кыыс + -а : POSS.3SG -> кыыһа : 그의 딸
 +- быһах + -а : POSS.3SG -> быһаҕа : 그의 칼
 +
 +}}}
  
 ##### 겹자음 ##### 겹자음
줄 72: 줄 91:
 - к는 모든 폐모음, 이중모음 앞에, 전설개모음 앞, 폐모음 뒤, 때로 개모음 뒤에 온다. - к는 모든 폐모음, 이중모음 앞에, 전설개모음 앞, 폐모음 뒤, 때로 개모음 뒤에 온다.
 - х, к는 한 단어 안에 나타날 수 있다. - х, к는 한 단어 안에 나타날 수 있다.
- - кэтэх : 뒤통수 
- - куобах : 토끼 
- - күөх : 푸른, 녹색의 
  
 +{{{lex>​yaku1245 (ubryatova1966:​406)
 +
 +- кэтэх : 뒤통수
 +- куобах : 토끼
 +- күөх : 푸른, 녹색의
 +
 +}}}
  
 ###### ҕ는 모음 사이 개모음과 이중모음 뒤, 공명음 р, л, й 뒤에만 온다. ###### ҕ는 모음 사이 개모음과 이중모음 뒤, 공명음 р, л, й 뒤에만 온다.
줄 85: 줄 108:
 - 장애음과 함께 올 때는 반드시 공명음+장애음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рб-, -лб-, -йб-, -рк-, -лк-, -йк-, -рд-, -лд-, -йд- - 장애음과 함께 올 때는 반드시 공명음+장애음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рб-, -лб-, -йб-, -рк-, -лк-, -йк-, -рд-, -лд-, -йд-
 - 그 반대 순서의 자음 조합이 있는 외래어는 차용어에서 전위가 나타나거나 모음이 삽입된다. - 그 반대 순서의 자음 조합이 있는 외래어는 차용어에서 전위가 나타나거나 모음이 삽입된다.
- - турба ​труба : 파이프 + 
- - кырабаат ​кровать : 침대+{{{lex>​yaku1245 (ubryatova1966:​406) 
 + 
 +- турба ​: 파이프 (yaku) & труба : 파이프 ​(ru) 
 +- кырабаат ​: 침대 (yaku) & кровать : 침대 ​(ru) 
 + 
 +}}} 
 - й는 공명음과 같이 올 수 없으나, 비음과 결합되는 경우는 있다. ​ - й는 공명음과 같이 올 수 없으나, 비음과 결합되는 경우는 있다. ​
 - 비음은 무성음과는 결합될 수 있지만, 유성음은 비음으로 동화된다. - 비음은 무성음과는 결합될 수 있지만, 유성음은 비음으로 동화된다.
- - олонхо : 올롱호(서사시) 
- - киэҥҥэ (киэҥ + гэ) : 넓은(PREP) 
  
-###### г는 단 하나의 단어에만 쓰인다.+{{{lex>​yaku1245 (ubryatova1966:​406)
  
-- -гын 하다+олонхо : 올롱호(서사시) 
 +- киэҥ : 넓은 + э -> киэҥҥэ ​넓은(PREP)
  
-##### 자음동화+}}}
  
-###### 어간의 마지막 자음과 ​칭소유접사의 첫 자음의 경계에서는 어간과 접사가 합해지며 자음이 탈락한다.+###### ​г는 단 하나의 단에만 쓰인다.
  
-- -к(-х), -м으로 끝나는 체언 어간에서 마지막 자음은 3인칭 단수 소유격 접사의 첫 자음과 합해진다. +{{{lex>​yaku1245 ​(ubryatova1966:406) 
- - оһоҕор ​그의 난로(DAT) (оһох + -ыгар+ 
- ​- ​буомар : 그의 장애(DAT) (бум + -ыгар) +- -гын : 하다
-- 마지막 자음군 лт, рт에서는 т가 탈락하고 접사의 첫 자음은 무성음화한다. +
- - бааһырпыт : 상처입은(PTCP) (бааһырт 상처입다 + -быт)  +
-- 동사 어간의 어간말음 й는 사동태 접사와 결합할 때 탈락한다. +
- - утут < утуй- ​자게 ​하다+
  
- +}}}
doc/yakut/1_phonology/11_cons/11_cons.152515501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01 15:10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