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yakut: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18/08/19 10:33] 최문정 |
doc:yakut: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21/01/22 11:14] (현재) 최문정 [음운 규칙이 아닌 전통에 따라 이루어지는 음운 교체] |
||
|---|---|---|---|
| 줄 55: | 줄 55: | ||
|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
| - | - түөрт : 4 + -үс : UNK -> төрдүс : 넷째 | + | - түөрт : 4 + -үс : ORDZ -> төрдүс : 넷째 |
| }}} | }}} | ||
| + | |||
| + | - sleptsov2005에 따르면 4 - төөрт | ||
| ###### 무성음화 | ###### 무성음화 | ||
| 줄 91: | 줄 93: | ||
| {{{eg>yaku1245 (ubryatova1966:407) | {{{eg>yaku1245 (ubryatova1966:407) | ||
| - | көтөр-дөр көт-өл-лөр | + | көт-өрдөр көтөл-лөр |
| - | bird-PL fly-UNK-3PL | + | fly-3PL bird-PL |
| - | 새들이 날아간다 | + | 새들이 날아간다(확인요3인칭복수어미) |
| }}} | }}} | ||
| 줄 108: | 줄 110: | ||
| - 복수를 만드는 이러한 방법은 다른 명사들에도 점차 적용된다. | - 복수를 만드는 이러한 방법은 다른 명사들에도 점차 적용된다. | ||
| - орун(장소) 유형의 어간에서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사가 첨가된 후 고모음이 탈락될 때 일어나는 자음동화는 명사류와 동사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 - орун(장소) 유형의 어간에서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사가 첨가된 후 고모음이 탈락될 때 일어나는 자음동화는 명사류와 동사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 ||
| - | - 명사에서는 고모음이 탈락될 때, 어간말음 н은 선행공명음을 동화시킨다. 동사에서는 선행공명음이 후행음을 동화시키거나, 모음 탈락이 일어나지 ㅇ낳는다. 즉 동화과정이 문법 형태를 구별하는 또 하나의 수단이 되는 것이다. | + | - 명사에서는 고모음이 탈락될 때, 어간말음 н은 선행공명음을 동화시킨다. 동사에서는 선행공명음이 후행음을 동화시키거나, 모음 탈락이 일어나지 않는다. 즉 동화과정이 문법 형태를 구별하는 또 하나의 수단이 되는 것이다. |
|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
| - алын : 밑 + -а : UNK -> анна : 밑에 | - алын : 밑 + -а : UNK -> анна : 밑에 | ||
| - | - алын : 새다 + -ар : UNK.3SG -> аллар : (물) 샌다 | + | - алын- : 새다 + -ар : 3SG(확인요) -> аллар : (물) 샌다 |
| - | - аалын : 문지르다 + -ар : UNK.3SG -> аалынар : 문지른다 | + | - аалын- : 문지르다 + -ар : 3SG -> аалынар : 문지른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