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yami:2_wordclass:27_num:27_num [2019/04/26 17:33] 127.0.0.1 바깥 편집 |
doc:yami:2_wordclass:27_num:27_num [2020/11/27 15:34] (현재) 서취아 |
||
|---|---|---|---|
| 줄 1: | 줄 1: | ||
| # 27_num : 수사 (numeral) | # 27_num : 수사 (numeral) | ||
| + | |||
| + | |||
| + | ##### 기수사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5) | ||
| + | |||
| + | - asa: 일 | ||
| + | |||
| + | - doa: 이 | ||
| + | |||
| + | - tilo: 삼 | ||
| + | |||
| + | - apat: 사 | ||
| + | |||
| + | - lima: 오 | ||
| + | |||
| + | }}} | ||
| + | |||
| + | ##### 서수사 | ||
| + | |||
| + | - 첫 번째를 제외한 나머지 서수사는 모두 기수사 앞에 접두사 ika-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6) | ||
| + | |||
| + | - nimanoma: 첫 번째 | ||
| + | |||
| + | - ikadwa: 두 번째 | ||
| + | |||
| + | - ikatlo: 세 번째 | ||
| + | |||
| + | - ikapat: 네 번째 | ||
| + | |||
| + | - ikalima: 다섯 번째 | ||
| + | |||
| + | }}} | ||
| + | |||
| + | ##### 배수와 횟수의 표시 방법 | ||
| + | |||
| + | - 배수나 횟수는 기수사 앞에 접두사 ipi-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5) | ||
| + | |||
| + | - ipisa: 한 배/한 번 | ||
| + | |||
| + | - ipidwa: 두 배/두 번 | ||
| + | |||
| + | - ipitlo: 세 배/세 번 | ||
| + | |||
| + | - ipipat: 네 배/네 번 | ||
| + | |||
| + | - ipilima: 다섯 배/다섯 번 | ||
| + | |||
| + | }}} | ||
| + | |||
| + | ##### 배분 표현 | ||
| + | |||
| + | - '~당 ~씩'의 표현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한 사람 당 하나 씩 같은 표현에서 ‘사람’은 배분의 기준이나 단위이다. | ||
| + | |||
| + | - 야미어에서 어떠한 단위로 기준으로 하여 ‘몇 개 씩’을 배분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수사 앞에 접두사 tey-를 추가하고 해당 숫자가 만약에 자음으로 시작하면 CV- 중첩도 함께 일어난다. | ||
| + | |||
| + | - 만약에 숫자가 a 모음으로 사직한다면 모음 a가 e로 변한다.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6) | ||
| + | |||
| + | - teyesa | ||
| + | |||
| + | - teydedwa | ||
| + | |||
| + | - teytetlo | ||
| + | |||
| + | - teyepat | ||
| + | |||
| + | - teylilima | ||
| + | |||
| + | }}} | ||
| + | |||
| + | ##### ‘몇 개밖에 안 남았다’는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 | ||
| + | |||
| + | - 마지막 음절의 모음을 길게 하는 방법으로 ‘몇 개밖에 안 남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6) | ||
| + | |||
| + | - asaa: 하나밖에 없다 | ||
| + | |||
| + | - adwaa: 두 개밖에 없다 | ||
| + | |||
| + | - atloo: 세 개밖에 없다 | ||
| + | |||
| + | - apaat: 네 개밖에 없다 | ||
| + | |||
| + | - alimaa: 다섯 개밖에 없다 | ||
| + | |||
| + | }}} | ||
| + | |||
| + | ##### ‘한 그룹 당 몇 명’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 | ||
| + | |||
| + | - 접두사 tey-를 추가하고 해당 숫자는 Ca- 중첩이 일어나는 식으로 표현된다.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6) | ||
| + | |||
| + | - teyrararwa: 한 그룹 당 여섯 명 | ||
| + | |||
| + | - teytatatlo: 한 그룹 당 두 명 | ||
| + | |||
| + | - teypapapat: 한 그룹 당 세 명 | ||
| + | |||
| + | - teylalalima: 한 그룹 당 다섯 명 | ||
| + | |||
| + | - teynananem 한 그룹 당 여섯 명 | ||
| + | |||
| + | }}} | ||
| + | |||
| + | |||
| + | ##### 세는 표현 | ||
| + | |||
| + | - 사람과 물건을 셀 때 ‘수사 + a ka + 단위’의 구조를 취한다. | ||
| + | |||
| + | - a ka는 수식 구조나 병렬 구조에 쓰이는 단어들 사이에, 구들 사이에, 또는 단어와 구 사이에 쓰이는 連接詞(접속 조사 '과/와'에 해당)이다. | ||
| + | |||
| + | - 돈을 셀 때는 ‘수사 + a + 단위’의 구조를 사용한다. | ||
| + | |||
| + | ###### 사람을 세는 예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6) | ||
| + | |||
| + | - asa a ka tao: 한 사람 | ||
| + | |||
| + | - rarwa a ka tao: 두 사람 | ||
| + | |||
| + | - tatlo a ka tao: 네 사람 | ||
| + | |||
| + | - lalima a ka tao: 다섯 사람 | ||
| + | |||
| + | }}} | ||
| + | |||
| + | ###### 돈을 세는 예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6) | ||
| + | |||
| + | - asa a ngernan: 1원 | ||
| + | |||
| + | - adwa a poo: 20원 | ||
| + | |||
| + | - atlo a ranaw: 300원 | ||
| + | |||
| + | - apat a zivo: 4000원 | ||
| + | |||
| + | - alima a laksa: 50,000원 | ||
| + | |||
| + | }}} | ||
| + | |||
| + | - 수사는 어근으로 쓰여 동사를 파생할 수 있다. 파생된 동사는 시제와 양태적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lex>yami1254 (hedehua2018:57) | ||
| + | |||
| + | - kadwa: 방금 두 개를 가졌다/곧 두 개 있을 것이다. | ||
| + | |||
| + | - makadwa: 이틀 안에 어떤 일을 완성할 수 있다. | ||
| + | |||
| + | - pakadwaen: 두 개를 찾아낼 수 있다. | ||
| + | |||
| + | - mikadwa/pikadwa: 두 분류로 나눈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