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 |||
|
doc:yao:1_phonology:11_cons:11_cons [2020/10/29 14:18] 마영리 |
doc:yao:1_phonology:11_cons:11_cons [2020/10/29 17:16] (현재) 마영리 |
||
|---|---|---|---|
| 줄 154: | 줄 154: | ||
| - | - (1) 설면음성모(舌面音聲母)(tɕ, tɕh, tɕw 등)는 혀의 위치가 비교적 뒤쪽에 위치한다. 이 부류의 성모들은 일부의 지역에서는 설근음성모(舌根音聲母)(예컨대, 광서장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의 이산(宜山), 리푸(荔浦), 신청(忻城), 뤄청(羅城) 등)에 해당한다. | + | - (1) 경구개음성모(舌面音聲母)(tɕ, tɕh, tɕw 등)는 혀의 위치가 비교적 뒤쪽에 위치한다. 이 부류의 성모들은 일부의 지역에서는 연구개음성모(舌根音聲母)(예컨대, 광서장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의 이산(宜山), 리푸(荔浦), 신청(忻城), 뤄청(羅城) 등)에 해당한다. |
| - (2) 유기 파열음과 파찰음은 대부분 한어에서 차용된 어휘에 쓰인다. 초기의 차용어에서 이런 성모들은 단수의 성조(1, 3, 5, 7조)에 나타났으나, 최근의 차용어에서는 이 부류의 성모들이 일부의 쌍수 성조(2, 6조)에도 나타나게 되었다. | - (2) 유기 파열음과 파찰음은 대부분 한어에서 차용된 어휘에 쓰인다. 초기의 차용어에서 이런 성모들은 단수의 성조(1, 3, 5, 7조)에 나타났으나, 최근의 차용어에서는 이 부류의 성모들이 일부의 쌍수 성조(2, 6조)에도 나타나게 되었다. | ||
| - (3) 무성음화비음(m̥, n̥, ȵ̥ 등)은 모두 단수 성조에만 나타난다. | - (3) 무성음화비음(m̥, n̥, ȵ̥ 등)은 모두 단수 성조에만 나타난다. | ||
| - (4) 유성 파열음과 유성 파찰음은 모든 성조에 두루 나타날 수 있다. | - (4) 유성 파열음과 유성 파찰음은 모든 성조에 두루 나타날 수 있다. | ||
| - | - (5) 비음 n은 단독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n⁵ ‘-지 않다’(n⁵은 양순음성모나 설근음성모의 음절 앞에서는 각각 m⁵이나 ŋ⁵으로 변한다.) | + | - (5) 비음 n은 단독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n⁵ ‘-지 않다’(n⁵은 양순음성모나 연구개음성모의 음절 앞에서는 각각 m⁵이나 ŋ⁵으로 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