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yugur-east:1_phonology:13_supra:supra_stress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yugur-east:1_phonology:13_supra:supra_stress [2018/06/10 16:49]
박은석
doc:yugur-east:1_phonology:13_supra:supra_stress [2018/11/30 14:51] (현재)
유현조 동유구르 -> 동부요고르
줄 1: 줄 1:
-## supra_stress :  강세 (stress) ​+## supra_stress :  강세 (stress) ​: 100% 
  
-유구르어의 단어에는 강세가 있는데, 다음절어의 강세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만약 어간 뒤에 모음이 있는 부가성분이 부가된다면 그 강세는 단어의 변화를 따라 더 뒤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부요고르어의 단어에는 강세가 있는데, 다음절어의 강세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만약 어간 뒤에 모음이 있는 부가성분이 부가된다면 그 강세는 단어의 변화를 따라 더 뒤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ɡəʼləd 자물쇠 ɡəʼləd 자물쇠
줄 11: 줄 11:
  
  
-유구르어의 강세는 단어의 의미를 변별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단어의 음성 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요고르어의 강세는 단어의 의미를 변별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단어의 음성 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즉, 비강세 음절의 모음이 약화되는 현상, 어두 이중 자음의 발생, 어말 모음의 보존 등은 모두 강세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즉, 비강세 음절의 모음이 약화되는 현상, 어두 이중 자음의 발생, 어말 모음의 보존 등은 모두 강세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
doc/yugur-east/1_phonology/13_supra/supra_stress.152861694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10 16:49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