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yugur-east: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yugur-east: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6/24 20:43]
박은석 [(3)]
doc:yugur-east: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6 09:28] (현재)
박은석
줄 1: 줄 1:
-# 22_noun :  명사 (noun) +# 22_noun :  명사 (noun)  
- +부요고르어의 명사는 수, 격, 소유의 3가지 문법 범주가 있다. 만약 이 세 문법 범주가 동시에 출현한다면 그 부가성부의 순서는 ‘수-격-소유’이다. ​
-유구르어의 명사는 수, 격, 소유의 3가지 문법 범주가 있다. 만약 이 세 문법 범주가 동시에 출현한다면 그 부가성부의 순서는 ‘수-격-소유’이다. ​+
  
 ### 명사의 수 ### 명사의 수
줄 45: 줄 44:
 주격은 별다른 부가성분 없이 어간 형식으로 나타낸다. 주격은 별다른 부가성분 없이 어간 형식으로 나타낸다.
  
-#### (2) , 대상격+#### (2) 소유, 대상격
  
 사람 혹은 사물의 소유 관계 혹은 동작의 직접적인 대상을 나타낸다. ​ 사람 혹은 사물의 소유 관계 혹은 동작의 직접적인 대상을 나타낸다. ​
줄 72: 줄 71:
 부가성분 '​-də'​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 부가성분 '​-də'​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
  
 +{{{eg>​east2337 (zhaonasitu2006:​391)
 qəɢai-də jalaɢ oɡja qəɢai-də jalaɢ oɡja
-pig      eat   give+pig-DAT      ​eat ​  give
 돼지에게 밥을 준다. 돼지에게 밥을 준다.
 }}} }}}
 +
 +#### (4) 기원,​비교격
 +
 +기원, 원인, 성질 특징의 대비 등을 나타낸다.
 +
 +부가성분 -sa/-se/-so 를 어간 모음과의 조화 규칙에 의거하여 부가한다.
 +
 +{{{eg>​east2337 (zhaonasitu2006:​392)
 +bu baba-sa aŋlawa
 +1SG father-From ​ hear
 +나는 아버지에게서 들었다.
 +}}}
 +
 +#### (5) 도구격
 +
 +도구, 재료 등을 나타낸다. ​
 +
 +부가성분을 어간 모음과의 조화 규칙에 의거하여 부가한다. ​
 +
 +-aar/​-eer/​-oor 은 자음과 모음 ə로 끝난 어간 뒤에 부가한다. (ə는 부가할 때 탈락함)
 +
 +-ʁaar/​-ɤeer/​-ʁoor 은 ə 외의 기타 모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 부가한다. ​
 +
 +{{{eg>​east2337 (zhaonasitu2006:​392)
 +bii-ɤeer pədʒə
 +writing.brush-INS ​ write
 +붓으로 쓰다
 +}}}
 +
 +#### (6) 공동격
 +
 +동반의 대상을 나타낸다. ​
 +
 +부가성분 -la/-le/-lo 를 어간 모음과의 조화 규칙에 의거하여 각각 구별하여 부가한다. ​
 +
 +{{{eg>​east2337 (zhaonasitu2006:​392)
 +tʃə mula-la pudə hoɡəldə
 +2SG child-COM ​  ​PROH ​ hit
 +너는 아이와 싸우지 말아라
 +}}}
 +
 +#### (7) 수반격
 +
 +수반하는 대상을 나타낸다.
 +
 +부가성분 -di 로 나타낸다. ​
 +
 +{{{eg>​east2337 (zhaonasitu2006:​392)
 +talʁanə ​ tuusə-di aba jawə
 +fried.noodles oil-COM take go
 +볶음 면과 기름을 같이 가지고 가다
 +}}}
 +
  
doc/yugur-east/2_wordclass/22_noun/22_noun.152984059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4 20:43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