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guide:glossing_rules [2016/02/28 21:15] 유현조 |
guide:glossing_rules [2019/05/24 19:45] (현재) 유현조 [성조] |
||
---|---|---|---|
줄 66: | 줄 66: | ||
또는 라틴 문자로 전사한 후 분석, 주석, 번역으로 총 4행으로 제시한다. 주로 | 또는 라틴 문자로 전사한 후 분석, 주석, 번역으로 총 4행으로 제시한다. 주로 | ||
러시아어로 된 참고 자료가 이에 해당한다. | 러시아어로 된 참고 자료가 이에 해당한다. | ||
- | - 언어명 자리에는 ISO 639-3 코드를 사용한다. 영문자 3글자로 이루어진 언어명 코드이다. | + | - 언어명 자리에는 glottolog 코드를 사용한다. 대개 영문 4글자와 숫자 4개로 구성되어 있다. http://glottolog.org/glottolog |
- | 참조: https://en.wikipedia.org/wiki/ISO_639-3 | + | |
- 자료의 출처를 `(author year:page)` 형식으로 기록한다. | - 자료의 출처를 `(author year:page)` 형식으로 기록한다. | ||
- 주석 행에서 어휘 요소의 주석을 위한 메타언어는 영어를 사용한다. 어휘 요소는 소문자로 주석한다. 고유명사의 경우에는 첫글자를 대문자로 쓴다. 문장의 첫 단어를 대문자로 쓰지 않는다. | - 주석 행에서 어휘 요소의 주석을 위한 메타언어는 영어를 사용한다. 어휘 요소는 소문자로 주석한다. 고유명사의 경우에는 첫글자를 대문자로 쓴다. 문장의 첫 단어를 대문자로 쓰지 않는다. | ||
줄 73: | 줄 72: | ||
{{{eg>nene1249 (Tereshchenko1966:382) | {{{eg>nene1249 (Tereshchenko1966:382) | ||
- | Небяв мякӑнанда яӈгу | + | Небя-в мя-кӑнанда яӈгу |
- | nʹebʹa-w mʹa-k°nanda jaŋgu | + | |
mother-1SG tent-LOC.3SG be.NEG | mother-1SG tent-LOC.3SG be.NEG | ||
- | 나의 어머니는 자신의 천막에 없다. (Моей матери нет дома.) | + | 나의 어머니는 자신의 천막에 없다. (ru. Моей матери нет дома.) |
}}} | }}} | ||
줄 103: | 줄 101: | ||
husband and wife | husband and wife | ||
'남편과 아내' | '남편과 아내' | ||
- | ``` | + | }}} |
단순하게 생각하면 공백으로 구분된 단위가 대응되도록 하면 된다. | 단순하게 생각하면 공백으로 구분된 단위가 대응되도록 하면 된다. | ||
줄 237: | 줄 235: | ||
'Because of the boy the tree bent.' (G4 = 4th gender, AD = adessive, PRET = preterite) | 'Because of the boy the tree bent.' (G4 = 4th gender, AD = adessive, PRET = preterite) | ||
``` | ``` | ||
+ | |||
+ | 주의! 내재 범주를 표시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 부연 설명, 선택적 요소 등을 괄호로 묶어 표시하려는 경우 괄호의 좌우에 공백 문자를 하나씩 추가한다. | ||
### 8. 두 부분으로 구성된 요소 | ### 8. 두 부분으로 구성된 요소 | ||
줄 253: | 줄 253: | ||
``` | ``` | ||
na-wíčha-wa-xʔu̧ | na-wíčha-wa-xʔu̧ | ||
- | hear-3PL.UND-1SG.ACT- STEM | + | hear-3PL.UND-1SG.ACT-STEM |
'I hear them' | 'I hear them' | ||
``` | ``` | ||
줄 260: | 줄 260: | ||
### 9. 접요사 | ### 9. 접요사 | ||
- | 우리 프로젝트에서는 접요사를 위한 별도의 도구를 제공하지 않는다. 두 부분으로 구성된 요소처럼 처리한다. | + | 접요사(infix)는 화살괄호로 묶어 표시한다. |
- |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Latin | Latin | ||
- | reli<n>qu-ere (stem: reliqu-) | + | reli<n>qu-ere |
- | leave-PRS-STEM-INF | + | |
- | 'to leave' | + | |
- | ``` | + | |
- | + | ||
- | 참고로 라이프치히 규약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접요사(infix)는 화살괄호로 묶어 표시한다. | + | |
- | + | ||
- | ``` | + | |
- | Latin | + | |
- | + | ||
- | reli<n>qu-ere (stem: reliqu-) | + | |
leave<PRS>-INF | leave<PRS>-INF | ||
'to leave' | 'to leave' | ||
줄 299: | 줄 288: | ||
[bi]~[bili] | [bi]~[bili] | ||
``` | ``` | ||
+ | |||
+ | ## 추가 규칙 | ||
+ | |||
+ | 다음은 라이프치히 규약 이외에 추가로 우리 프로젝트에서 도입한 규칙이다. | ||
+ | |||
+ | ### 성조 | ||
+ | |||
+ | |||
+ | - 성조는 1, 2, 3, 4, 5 다섯 개의 숫자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키보드에 있는 숫자를 그대로 입력한다. | ||
+ | - 이외에 6등이 사용된 경우 오류일 수 있음에 주의 | ||
+ | - 일반적으로 2개의 숫자가 연달아 사용된다. 3개인 경우도 흔하다. 숫자 1개로 성조가 표현된 경우에는 확인할 필요가 있다. | ||
+ | - 현재 일부 경우에는 유니코드 윗첨자를 이용하여 입력된 경우가 있다. -> 기본 1, 2, 3, 4, 5로 통일 | ||
+ | - XSAMPA 안에 입력할 경우 윗첨자로 변환하여 나타난다. 원래 입력한 내용은 그대로 유지된다. | ||
+ | - 나중에 윗첨자로 일괄변환이 가능하다. 문제) 예제 틀에 입력한 것은 가능하지만 본문 중에 섞여 있는 예제의 성조 번호는 변환하기 어렵다. | ||
+ | - 음절 뒤에 바로 이어서 성조를 입력한다. 예) pa33ku35 | ||
+ | - 성조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물결 기호를 이용한다. 예) pa33~35 | ||
+ | - 숫자 사이에 사용된 기호는 항상 성조 변화를 의미한다. | ||
+ | - XSAMPA에서 모음 뒤에 물결 기호가 비음을 뜻하는 것과 다르다는 점에 주의. 예) `[pa~33~35]` [pa~33~35] 앞의 물결은 비음, 뒤의 물결은 성조 변화 표시. | ||
+ | - 성조의 여러 가지 가능성 중 선택을 표현할 때에는 사선을 이용한다. 예) pa33/35 | ||
+ | - 성조가 수의적인 요소임을 나타날 때는 괄호를 이용한다. 예) pa(13) | ||
+ | - 문법적으로 수의적인 형태소를 표시할 때는 괄호 좌우에 공백을 넣는 것과는 다르다. | ||
+ | |||
+ | |||
+ | |||
+ | |||
+ | |||
+ | |||
+ | ### 구분자 | ||
+ | |||
+ | 몇 단어로 이루어진 덩어리들 사이의 경계를 표시해 주면 가독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 ||
+ | 이때에는 세로막대(`|`)를 사용한다. | ||
+ | 이것은 공식전인 주석이 아니며 정확한 통사 분석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 ||
+ | 가독성 향상을 위한 보조적인 도구로만 사용한다. | ||
+ |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95) | ||
+ | nɯ⁵⁵ ka⁵⁵ ȵi²¹ | a⁴⁴ ȵi²¹ pi³³ ȵi²¹ | sa³⁵. | ||
+ | this several CL | one CL than CL | thin | ||
+ | 이 몇 사람들이 모두 날씬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호 | ## 기호 | ||
줄 308: | 줄 343: | ||
|o|하이픈| ``-`` | 단어 내의 형태소 경계. | | |o|하이픈| ``-`` | 단어 내의 형태소 경계. | | ||
|x| 등호 | ``=`` | clitic 경계를 표시 | | |x| 등호 | ``=`` | clitic 경계를 표시 | | ||
- | |x| 화살괄호 | ``<>`` | infix | | + | |o| 화살괄호 | ``<>`` | infix | |
|o| 물결 | ``~`` | reduplication | | |o| 물결 | ``~`` | reduplication | | ||
줄 336: | 줄 371: | ||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glossing_abbreviations |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glossing_abbreviations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