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guide:glossing_rules [2019/05/24 17:25] 유현조 [9. 접요사] |
guide:glossing_rules [2019/05/24 19:45] (현재) 유현조 [성조] |
||
---|---|---|---|
줄 289: | 줄 289: | ||
``` | ``` | ||
- | ## 추가 | + | ## 추가 규칙 |
+ | |||
+ | 다음은 라이프치히 규약 이외에 추가로 우리 프로젝트에서 도입한 규칙이다. | ||
### 성조 | ### 성조 | ||
- | - 성조는 1, 2, 3, 4, 5 다섯 개의 숫자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 + | - 성조는 1, 2, 3, 4, 5 다섯 개의 숫자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키보드에 있는 숫자를 그대로 입력한다. |
- | - 이외에 6등이 사용된 경우 오류일 수 있음에 주의 | + | - 이외에 6등이 사용된 경우 오류일 수 있음에 주의 |
- | - 일반적으로 2개의 숫자가 연달아 사용된다. 3개인 경우도 흔하다. 숫자 1개로 성조가 표현된 경우에는 확인할 필요가 있다. | + | - 일반적으로 2개의 숫자가 연달아 사용된다. 3개인 경우도 흔하다. 숫자 1개로 성조가 표현된 경우에는 확인할 필요가 있다. |
+ | - 현재 일부 경우에는 유니코드 윗첨자를 이용하여 입력된 경우가 있다. -> 기본 1, 2, 3, 4, 5로 통일 | ||
+ | - XSAMPA 안에 입력할 경우 윗첨자로 변환하여 나타난다. 원래 입력한 내용은 그대로 유지된다. | ||
+ | - 나중에 윗첨자로 일괄변환이 가능하다. 문제) 예제 틀에 입력한 것은 가능하지만 본문 중에 섞여 있는 예제의 성조 번호는 변환하기 어렵다. | ||
- 음절 뒤에 바로 이어서 성조를 입력한다. 예) pa33ku35 | - 음절 뒤에 바로 이어서 성조를 입력한다. 예) pa33ku35 | ||
- 성조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물결 기호를 이용한다. 예) pa33~35 | - 성조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물결 기호를 이용한다. 예) pa33~35 | ||
- 숫자 사이에 사용된 기호는 항상 성조 변화를 의미한다. | - 숫자 사이에 사용된 기호는 항상 성조 변화를 의미한다. | ||
- | - XSAMPA에서 모음 뒤에 물결 기호가 비음을 뜻하는 것과 다르다는 점에 주의. | + | - XSAMPA에서 모음 뒤에 물결 기호가 비음을 뜻하는 것과 다르다는 점에 주의. 예) `[pa~33~35]` [pa~33~35] 앞의 물결은 비음, 뒤의 물결은 성조 변화 표시. |
- 성조의 여러 가지 가능성 중 선택을 표현할 때에는 사선을 이용한다. 예) pa33/35 | - 성조의 여러 가지 가능성 중 선택을 표현할 때에는 사선을 이용한다. 예) pa33/35 | ||
- 성조가 수의적인 요소임을 나타날 때는 괄호를 이용한다. 예) pa(13) | - 성조가 수의적인 요소임을 나타날 때는 괄호를 이용한다. 예) pa(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