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guide:wiki_syntax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guide:wiki_syntax [2016/12/10 15:38]
유현조
guide:wiki_syntax [2018/08/18 16:51] (현재)
유현조 [언어학적 목록]
줄 12: 줄 12:
 ## 제목2 ## 제목2
 ### (1) 제목3 ### (1) 제목3
-####  1)제목4+####  1) 제목4
 ##### ① 제목5 ##### ① 제목5
 ###### a. 제목6 ###### a. 제목6
 ``` ```
  
-- 제목 1단계와 2단계는 미리 정해진 ​인 유형 기술 주제의 제목에서만 사용합니다. 즉, 독립된 문서의 최상위 제목에만 해당합니다.+### 지정 제목: 1단계 및 2단계 
 + 
 +- 제목 1단계와 2단계는 미리 정해진 유형 기술 주제의 제목에서만 사용합니다. 즉, 독립된 문서의 최상위 제목에만 해당합니다. 
 +- 개인 작업자는 1단계와 2단계 제목을 임의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두자리 번호가 부여된 모든 유형 기술 문서는 1단계 제목으로 시작합니다. 일부 세분이 필요한 주제의 경우 2단계 제목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 두자리 번호가 부여된 모든 유형 기술 문서는 1단계 제목으로 시작합니다. 일부 세분이 필요한 주제의 경우 2단계 제목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 한 문서 내부에서 내용을 구분하기 위하여 3단계부터 6단계까지 제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번호를 부여한다면 위의 방식으로 하되 반드시 번호를 붙일 필요는 없습니다. 
  
  
-각 문서의 최상위 제목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각 문서의 최상위 제목은 ​1단계 또는 2단계 제목이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
 # 문서코드 : 한글 제목 (영문 제목) : 작업진행율 : 메모 ​ # 문서코드 : 한글 제목 (영문 제목) : 작업진행율 : 메모 ​
줄 32: 줄 33:
  
 ``` ```
 +
 +### 사용자 제목: 3단계 ~ 6단계
 +
 +- 작업자는 한 문서 내부에서 내용을 구분하기 위하여 3단계부터 6단계까지 제목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번호를 부여한다면 위의 방식으로 하되 반드시 번호를 붙일 필요는 없습니다.
 +- 3단계 제목과 4단계 제목은 절 단위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문서의 내용에 구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 5단계 제목과 6단계 제목은 표, 용례, 어휘 목록 등 단일한 항목을 구분하는 데에 사용합니다. ​
 +- 5단계 제목은 간결하고 명확한 제목을 붙일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주로 긴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인칭체계표,​ 격변화표 등과 같이 형식이 정해진 표가 전형적인 대상입니다.
 +- 6단계 제목은 간결한 제목을 붙이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주로 어떤 설명에 예시된 하나의 용례에 함축적으로 제목을 붙이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
  
  
 ## 용례 ## 용례
 +
 +용례 주석에 관한 상세 지침은 [[guide:​glossing_rules]] 참조.
  
 라이프치히 스타일로 주석을 단 용례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라이프치히 스타일로 주석을 단 용례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
 ``` ```
 {{{eg>​언어코드 (참고문헌코드:​페이지) {{{eg>​언어코드 (참고문헌코드:​페이지)
줄 65: 줄 79:
 ## 목록 ## 목록
  
-어떤 ​항목들을 나열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이용합니다.+### 단순 목록 
 + 
 +어떤 ​내용을 나열하여 개조식으로 정리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이용합니다.
  
 ``` ```
줄 73: 줄 89:
 ``` ```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기 표시됩니다.+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 하나 - 하나
줄 79: 줄 95:
 - 셋 - 셋
  
 +### 언어학적 목록
 +
 +어휘 또는 기능어의 목록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열합니다. 콜론(`:`) 기호 뒤에 뜻을 명시합니다.
 +뜻을 한국어 이외에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괄호 안에 언어명을
 +명시하는 형식을 취합니다.
 +
 +```
 +{{{lex>​pumi1234 (author2000:​213)
 +
 +- [ti13] : (en. one) (ko. 하나) (zh. 一)
 +- [ni13] : 둘
 +- [sAu~13] : 셋
 +
 +}}}
 +```
 +
 +{{{lex>​pumi1234 (author2000:​213)
 +
 +- [ti13] : 하나 (en. one) (zh. 一)
 +- [ni13] : 둘
 +- [sAu~13] : 셋
 +
 +}}}
 +
 +쌍으로 이루어진 항목을 나열할 때는 다음과 같이 `&` 기호를 이용합니다. ​
 +
 +```
 +{{{lex>​glottocode (author2000:​123)
 +
 +- [bA55bA55] :  아빠(일반 호칭) ​   &   ​[a55bA55] :  아버지(존칭 혹은 인용의 경우)
 +
 +}}}
 +```
 +
 +방언을 비교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양식을 이용한다.
 +
 +```
 +{{{lex>​glottocode (author2000:​123)
 +
 +- /bam/ : '​뺨'​(북부 방언) ​ &  /baŋ/ : '​뺨'​(남부 변방 방언)
 +
 +}}}
 +```
 +
 +
 +합성, 파생 등 조어법 또는 접사, 어미가 결합하는 다양한 현상을 설명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 기호와 `->` 기호를 이용합니다.
 +
 +```
 +{{{lex>​glottocode (author2000:​123)
 +
 +- pa¹³ : 형 + kyə̃¹³ : 남동생 -> pa¹³kyə̃¹³ : 형제
 +- dzə⁵⁵ : 먹다 + tʰiɛ̃⁵⁵ : 마시다 -> dzə⁵⁵tʰiɛ̃⁵⁵ : 음식
 +
 +}}}
 +```
 +
 +문법 및 기능 요소인 경우에는 주석 약호를 이용하여 의미를 표시한다.
 +
 +```
 +{{{
 +
 +- mat- : cut + -a : 1SG>3SG -> mata : I cut something (sg)
 +
 +}}}
 +```
 +
 +파생 접미사, 접두사 등 어휘론적 요소이나 그 의미를 명시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의미란을 비워두어도 좋다. 다만 해당 형태소가 구체적인 의미는 없더라도 어느 정도 의미의 제약이 있을 때에는 관련 정보를 괄호 안에 명시한다.
 +
 +```
 +{{{
 +
 +- dimur : 철 + -idʒ : (사람) -> dimuridʒ : 대장장이
 +- duz : 소금 + ləχ : (사물) -> duzləχ : 소금 단지
 +- dʒoŋge : 농작물 + li  -> dʒoŋgeli : 농업
 +
 +}}}
 +```
  
 ## 표 ## 표
  
-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셀 병합과 같은 기능은 없습니다.+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 ```
-    ​1.SG    ​1.PL.EXCL ​1.PL.INCL ​|+    ​1.SG    ​1.PL.EXCL ​1.PL.INCL ​^
 | NOM | bi      | be        | muse      | | NOM | bi      | be        | muse      |
 | GEN | mini    | meni      | musei     | | GEN | mini    | meni      | musei     |
줄 92: 줄 185:
 | ABL | minci   | menci     | museci ​   | | ABL | minci   | menci     | museci ​   |
 ``` ```
 +
 +- 컬럼은 ```|```를 이용하여 구분하고 각 칸의 내용과 ```|```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공백을 넣습니다.
 +- 표의 각 컬럼의 제목 행은 ```^``` 기호를 이용하여 구분합니다.
 +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    ​1.SG    ​1.PL.EXCL ​1.PL.INCL ​|+    ​1.SG    ​1.PL.EXCL ​1.PL.INCL ​^
 | NOM | bi      | be        | muse      | | NOM | bi      | be        | muse      |
 | GEN | mini    | meni      | musei     | | GEN | mini    | meni      | musei     |
줄 102: 줄 199:
 | ABL | minci   | menci     | museci ​   | | ABL | minci   | menci     | museci ​   |
  
-## 모음과 자음 
  
-음성 기호는 XSAMPA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자음은 조음위치,​ 조음방법,​ 음소의 세 컬럼으로 입력한다. 
  
-| bilabial | plosive | [p_h], [b], [p_j], [p_h_j] ​ | +### 정렬
-| bilabial | nasal   | [m], [m_j], [m_0], [m_0_j] ​ | +
-| coronal ​ | plosive | [t_h], [d]      | +
-| coronal ​ | nasal   | [n]            |+
  
 +각 칸의 내용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 정렬을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입력이라는 관점에서는
 +큰 의미가 없으므로 항상 왼쪽 정렬만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모음 ​+``` 
 +| left  |  center ​ |  right | 
 +| 왼쪽 ​ |  가운데 ​ |  오른쪽 | 
 +```
  
 +- 공백을 두 개 이상 넣어서 정렬의 형태를 바꿀 수 있습니다.
 +- 가운데 정렬: 양쪽 모두 공백이 두 개 이상
 +- 왼쪽 정렬: 왼쪽에는 공백 하나, 오른쪽에는 공백 하나 이상. (왼쪽 정렬이 기본 형태)
 +- 오른쪽 정렬: 오른쪽에는 공백 하나, 왼쪽에는 공백 둘 이상
  
-| 고저 | 전후 ​  | 원순 ​      ​| ​소  |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과 같이 표시됩니다.
-| high | front | unrounded ​ | [i]  |+
  
 +| left  |  center ​ |  right |
 +| 왼쪽 ​ |  가운데 ​ |  오른쪽 |
  
 +
 +### 칸 합치기
 +
 +칸 합치기는 경우에 따라 보기 좋을 수는 있으나 표의 내용을 분해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려고 할 때에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미리 합의된 경우에만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
 +여러 개의 칸을 합쳐서 하나의 칸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열을 구분하는 세로막대 ```|```를 공백없이 연달아 사용하면 됩니다.
 +
 +```
 +| merged ​  |||||
 +| a | 합치기 || 합치기 ||
 +| 가 | 나 | 다 | A | B |
 +```
 +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
 +| merged ​  |||||
 +| a | 합치기 || 합치기 ||
 +| 가 | 나 | 다 | A | B |
 +
 +
 +## 메모 및 논의
 +
 +본문 중에 메모를 달거나 어떤 문제에 관해서 논의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note 기능을 이용한다.
 +시작의 `<​note>​`와 끝의 `</​note>​` 사이에 내용을 작성하면 된다.
 +
 +```
 +<​note>​
 +여기에 메모 또는 논의할 내용 작성
 +</​note>​
 +```
 +
 +이때 나중에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빠르게 찾아볼 수 있도록 `#`으로 시작하는 주제어 표시를 반드시 한다.
 +다음과 같은 주제어 중 하나를 선택한다
 +
 +- `#​error` ​ : 위키 사용 상의 오류를 포함하여 기술적인 문제와 관련된 내용 ​
 +- `#disqus` : 집필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모든 문제의 논의할 내용 ​
 +- `#reply` : 답변을 달때 ​
 +
 +관련자를 `@`를 붙여 명시하여 나중에 찾아보기 쉽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작업을 하다가 나중에 회의 때 
 +kkk 선생님께 질문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면 `@kkk`를 붙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note>​
 +#disqus #kkk 여기서 사용된 격이 무엇에 해당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reply #yyy 소유격입니다.
 +</​note>​
 +```
 +<​note>​
 +#disqus #kkk 여기서 사용된 격이 무엇에 해당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reply #yyy 소유격입니다.
 +</​note>​
 +
 +문서를 검토하다가 다른 작업자가 작성한 부분에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FIXME를 덧붙여 주세요. 편집창 위의 스마일리 아이콘을 눌러서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
 +<​note>​
 +#disqus #kkk 위의 예에서 1.INCL이 아니라 1.EXCL입니다. FIXME
 +</​note>​
 +```
 +<​note>​
 +#disqus #kkk 위의 예에서 1.INCL이 아니라 1.EXCL입니다. FIXME
 +</​note>​
  
  
guide/wiki_syntax.148135189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12/10 15:38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