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guide:xsampa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guide:xsampa [2017/06/22 17:41]
유현조 [TXS 간략 목록]
guide:xsampa [2019/06/24 12:03] (현재)
박성하 [표]
줄 1: 줄 1:
-====== XSAMPA ======+# 음성기호
  
-===== TXS 간략 목록 ​=====+## 이임계의 남도어 표기부호 
 + 
 +- 예제 입력틀, 어휘 목록틀에서는 그냥 부호만 이용해서 입력하면 된다. 
 +- 본문의 설명 중에 단어를 입력할 때에는 중괄호로 둘러싼다. 예) {i:​ma'​}는 손이라는 뜻이다. 
 + 
 + 
 + 
 +### 모음 대조표 
 + 
 +| 부호 ​  | IPA  | 
 +|  i   ​| ​ i   | 
 +|  ʉ   ​| ​ ʉ   | 
 +|  e   ​| ​ e   | 
 +|  oe  |  œ   | 
 +|  e   ​| ​ ə   | 
 +|  o   ​| ​ o   | 
 +|  ae  |  æ   | 
 +|  a   ​| ​ a   | 
 + 
 +### 자음 대조표 
 + 
 +|  부호 ​  ​| ​ IPA  | 
 +|  p    |  p    | 
 +|  t    |  t    | 
 +|  c    |  ts   | 
 +|  T    |  ʈ    | 
 +|  t́   ​| ​ c    | 
 +|  tj   ​| ​ :::  | 
 +|  k    |  k    | 
 +|  q    |  q    | 
 +|  ' ​   |  ʔ    | 
 +|  b    |  b    | 
 +|  :::  |  ɓ    | 
 +|  d    |  d    | 
 +|  :::  |  d    | 
 +|  D    |  d    | 
 +|  d    |  ɟ    | 
 +|  dj   ​| ​ :::  | 
 +|  g    |  g    | 
 +|  f    |  f    | 
 +|  th   ​| ​ θ    | 
 +|  s    |  s    | 
 +|  S    |  ʃ    | 
 +|  x    |  x    | 
 +|  h    |  χ    | 
 +|  :::  |  h    | 
 +|  b    |  β    | 
 +|  v    |  v    | 
 +|  z    |  ð    | 
 +|  :::  |  z    | 
 +|  g    |  ɣ    | 
 +|  R    |  ʁ    | 
 +|  m    |  m    | 
 +|  n    |  n    | 
 +|  ng   ​| ​ ŋ    | 
 +|  d    |  ɬ    | 
 +|  l    |  :::  | 
 +|  L    |  :::  | 
 +|  l    |  l    | 
 +|  L    |  ɭ    | 
 +|  ĺ   ​| ​ ʎ    | 
 +|  lj   ​| ​ :::  | 
 +|  r    |  r    | 
 +|  :::  |  ɾ    | 
 +|  w    |  w    | 
 +|  y    |  j    | 
 + 
 + 
 + 
 + 
 +## TXS 간략 목록
  
 - [a] [b] [b_<] [c] [d] [d`] [d_<] [e] [f] [g] [g_<] [h] [h\] [i] [j] [j\] [k] [l] [l`] [l\] [m] [n] [o] [p] [p\] [q] [r] [r`] [r\] [s] [s`] [s\] [t] [u] [v] [v\] [w] [x] [x\] [y] [z] [z`] [z\] - [a] [b] [b_<] [c] [d] [d`] [d_<] [e] [f] [g] [g_<] [h] [h\] [i] [j] [j\] [k] [l] [l`] [l\] [m] [n] [o] [p] [p\] [q] [r] [r`] [r\] [s] [s`] [s\] [t] [u] [v] [v\] [w] [x] [x\] [y] [z] [z`] [z\]
 - [A] [B] [B\] [C] [D] [E] [F] [G] [G\] [G\_<] [H] [H\] [I] [I\] [J] [J\] [J\_<] [K] [K\] [L] [L\] [M] [M\] [N] [N\] [O] [O\] [P] [Q] [R] [R\] [S] [T] [U] [U\] [V] [W] [X] [X\] [Y] [Z] - [A] [B] [B\] [C] [D] [E] [F] [G] [G\] [G\_<] [H] [H\] [I] [I\] [J] [J\] [J\_<] [K] [K\] [L] [L\] [M] [M\] [N] [N\] [O] [O\] [P] [Q] [R] [R\] [S] [T] [U] [U\] [V] [W] [X] [X\] [Y] [Z]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1\] [2\] [3\] [4\] [5\]
 - [!] [@] [#] [$] [%] [^] [&] - [!] [@] [#] [$] [%] [^] [&]
  
  
 ===== TXS 규약 ===== ===== TXS 규약 =====
-XSAMPA를 유형론 연구에 편리하게 일부 수정 및 보완한다. 
  
-- 1, 2, 3, 4, 5 성조를 ​나타내는 숫자로 ​사용. 윗첨자. +X-SAMPA를 기본적으로 수용하되 유형론 연구에 편리하게 일부 수정 및 확장하여 TXS를 정의한다. 
-XSAMPA의 1, 2, 3, 4, 5로 입력하던 기호: ​1\, i\를 사용, 2\ o\3\ E\ 4\5\ 으로 입력. 기의 3\은 3\으로?? ​는 운 부호 .+ 
 +###### TXS 표지 
 + 
 +- 대괄호 ```[]```로 둘러싸인 경우에만 TXS로 해석. 예: ```[A]``` -> [A], ```A[A]``` -> A[A] 
 +- 대괄호 자체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 \]```와 같이 입력. 예: ```\[[a]\]``` -> \[[a]\] 
 + 
 +###### Leipzig 주석 규칙과 TXS의 충돌 문제 
 + 
 +다음은 Leipzig 규약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기호들로 X-SAMPA와 충돌할 수 있다. 
 + 
 +- ```-``` : glossing rule에서 단어 내 형태소 경계. X-SAMPA에서 separator. 
 +- ```=``` : glossing rule에서 clitic 경계. X-SAMPA에서 syllabicity 기호로 사용됨. 
 +- ```<>​``` : glossing rule에서 infix. X-SAMPA에서 suprasegmental 정보. 
 +- ```~``` : glossing rule에서 reduplication. X-SAMPA에서 비음. 성조 사이에서 small tilde. 
 + 
 +이외에도 용례에서 쉼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등의 문장부호가 사용될 수 있고 X-SAMPA의 규약과 충돌한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X-SAMPA로 해석될 부분만 ```[]```로 둘러싸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sd2?​]?​``` -> [sd2?]? : 괄호 안에 있는 것은 음성기호,​ 괄호 밖에 있는 것은 물음표. 
 + 
 + 
 + 
 + 
 +### 숫자 
 + 
 +- 숫자 기호는 X-SAMPA와 다르다. TXS에서 숫자 ​1, 2, 3, 4, 5는 성조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윗첨자로 표시된다
 +XS의 ``` 3 ``` 대신에 TXS에서는 ``` E\ ```를 사용한다. 
 +- XS의 1, 2, 4, 5 대신에 TXS에서는 ``` 1\ `````` 2\ ```, ``` 4\ ```, ``` 5\ ``` 등을 사용한다. (제안: 문자의 모양을 고려하여 ​i\, o\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 XS의 6, 7, 8, 9는 TXS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6\ ```, ``` 7\ ```, ``` 8\ ```, ``` 9\ ```를 사용해도 동일하다. (제안: 추후에는 일관성과 성조 표기 확장을 위하여 67, 8, 9도 성조 표시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 
 + 
 +^ 입력 ​        ^ TXS  ^ XS  |   ^ 입력 ​         ^ TXS   ^ XS  |   ^ 입력 ​         ^ TXS   ^ XS  ^ 
 +| ``` 1 ```  | [1]  | ɨ   ​| ​  | ``` 1\ ```  | [1\]  |     ​| ​  ​| ​            ​| ​      ​| ​    | 
 +| ``` 2 ```  | [2]  | ø   ​| ​  | ``` 2\ ```  | [2\]  |     ​| ​  ​| ​            ​| ​      ​| ​    | 
 +| ``` 3 ```  | [3]  | ɜ   ​| ​  | ``` 3\ ```  | [3\]  | ɞ   ​| ​  | ``` E\ ```  | [E\]  |     | 
 +| ``` 4 ```  | [4]  | ɾ   ​| ​  | ``` 4\ ```  | [4\]  |     ​| ​  ​| ​            ​| ​      ​| ​    | 
 +| ``` 5 ```  | [5]  | ɫ   ​| ​  | ``` 5\ ```  | [5\]  |     ​| ​  ​| ​            ​| ​      ​| ​    | 
 +| ``` 6 ```  | [6]  | ɐ   ​| ​  | ``` 6\ ```  | [6\]  |     ​| ​  ​| ​            ​| ​      ​| ​    | 
 +| ``` 7 ```  | [7]  | ɤ   ​| ​  | ``` 7\ ```  | [7\]  |     ​| ​  ​| ​            ​| ​      ​| ​    | 
 +| ``` 8 ```  | [8]  | ɵ   ​| ​  | ``` 8\ ```  | [8\]  |     ​| ​  ​| ​            ​| ​      ​| ​    | 
 +| ``` 9 ```  | [9]  | œ   ​| ​  | ``` 9\ ```  | [9\]  |     ​| ​  ​| ​            ​| ​      ​| ​    | 
 +| ``` 0 ```  | [0]  |     ​| ​  | ``` 0\ ```  | [0\]  |     ​| ​  ​| ​            ​| ​      ​| ​    | 
 + 
 + 
 + 
 +## 성조 
 + 
 +- [a353] 성조 숫자가 연달아 3개까지 나올 수 있다. 
 +- [a33~35] : 원래 성조는 33인데 어떤 환경에서 35로 바뀌는 현상을 표현할 때. 또는 33과 35가 수의적으로 ​사용되는 때. 등에 사용. 
 + 
 +### 영문자 
 + 
 + 
 + 
 +- TXS는 XS를 포함한다. 
 + - 영소문자는 모두 변환없이 그대로 IPA 문자로 사용된다.  
 + - 영대문자에는 모두 XS가 정의되어 있다. TXS도 동일하다. 
 +- 역사선(```\```) 기호를 이용하여 확장 문자를 사용한다. 
 + - XS에서는 영문자 일부에만 확장 문자를 정의하고 있다. 
 + - TXS에는 일부 추가된 규약이 있다. 
 + 
 + 
 +입력 ​^ XS  ^ TXS | ^ 입력 ^ XS  ^ TXS | ^ 입력 ^ XS  ^ TXS | ^ 입력 ^ XS  ^ TXS   ^ 
 +| ```a``` | a | [a] | | ```a\``` | | [a\] | | ```A``` | ɑ | [A] | | ```A\``` | | [A\] | 
 +| ```b``` | b | [b] | | ```b\``` | | [b\] | | ```B``` | β | [B] | | ```B\``` | ʙ | [B\] | 
 +| ```c``` | c | [c] | | ```c\``` | | [c\] | | ```C``` | ç | [C] | | ```C\``` | | [C\] | 
 +| ```d``` | d | [d] | | ```d\``` | | [d\] | | ```D``` | ð | [D] | | ```D\``` | | [D\] | 
 +| ```e``` | e | [e] | | ```e\``` | | [e\] | | ```E``` | ɛ | [E] | | ```E\``` | | [E\] | 
 +| ```f``` | f | [f] | | ```f\``` | | [f\] | | ```F``` | ɱ | [F] | | ```F\``` | | [F\] | 
 +| ```g``` | g | [g] | | ```g\``` | | [g\] | | ```G``` | ɣ | [G] | | ```G\``` | ɢ | [G\] | 
 +| ```h``` | h | [h] | | ```h\``` | ɦ | [h\] | | ```H``` | ɥ | [H] | | ```H\``` | ʜ | [H\] | 
 +| ```i``` | i | [i] | | ```i\``` | | [i\] | | ```I``` | ɪ | [I] | | ```I\``` | ᵻ | [I\] | 
 +| ```j``` | j | [j] | | ```j\``` | ʝ | [j\] | | ```J``` | ɲ | [J] | | ```J\``` | ɟ | [J\] | 
 +| ```k``` | k | [k] | | ```k\``` | | [k\] | | ```K``` | ɬ | [K] | | ```K\``` | ɮ | [K\] | 
 +| ```l``` | l | [l] | | ```l\``` | ɺ | [l\] | | ```L``` | λ | [L] | | ```L\``` | ʟ | [L\] | 
 +| ```m``` | m | [m] | | ```m\``` | | [m\] | | ```M``` | ɯ | [M] | | ```M\``` | ɰ | [M\] | 
 +| ```n``` | n | [n] | | ```n\``` | | [n\] | | ```N``` | ŋ | [N] | | ```N\``` | ɴ | [N\] | 
 +| ```o``` | o | [o] | | ```o\``` | | [o\] | | ```O``` | ɔ | [O] | | ```O\``` | ʘ | [O\] | 
 +| ```p``` | p | [p] | | ```p\``` | ɸ | [p\] | | ```P``` | P | [P] | | ```P\``` | | [P\] | 
 +| ```q``` | q | [q] | | ```q\``` | | [q\] | | ```Q``` | ɒ | [Q] | | ```Q\``` | | [Q\] | 
 +| ```r``` | r | [r] | | ```r\``` | ɹ | [r\] | | ```R``` | ʁ | [R] | | ```R\``` | ʀ | [R\] | 
 +| ```s``` | s | [s] | | ```s\``` | ɕ | [s\] | | ```S``` | ʃ | [S] | | ```S\``` | | [S\] | 
 +| ```t``` | t | [t] | | ```t\``` | | [t\] | | ```T``` | θ | [T] | | ```T\``` | | [T\] | 
 +| ```u``` | u | [u] | | ```u\``` | | [u\] | | ```U``` | ʊ | [U] | | ```U\``` | ᵿ | [U\] | 
 +| ```v``` | v | [v] | | ```v\``` | ʋ | [v\] | | ```V``` | ʌ | [V] | | ```V\``` | | [V\] | 
 +| ```w``` | w | [w] | | ```w\``` | | [w\] | | ```W``` | ʍ | [W] | | ```W\``` | | [W\] | 
 +| ```x``` | x | [x] | | ```x\``` | ɧ | [x\] | | ```X``` | χ | [X] | | ```X\``` | ħ | [X\] | 
 +| ```y``` | y | [y] | | ```y\``` | | [y\] | | ```Y``` | ʏ | [Y] | | ```Y\``` | | [Y\] | 
 +| ```z``` | z | [z] | | ```z\``` | ʑ | [z\] | | ```Z``` | ʒ | [Z] | | ```Z\``` | | [Z\] | 
 + 
 + 
 +##### 기타 확장 문자 
 + 
 +권설음(retroflex)와 내파음(implosive)의 경우 IPA에서 구분기호(diacritic)를 사용하는 대신에 별도의 문자를 정의하고 있다. 
 +이 호들을 입력하기 위하여 권설음은 ``` ` ```, 내파음은 ```_<​```를 이용한다. 
 + 
 +|          | ``` ` ``` | ```_<​``` ​ | 
 +| ```b``` ​ |           | [b_<​] ​     | 
 +| ```d``` ​ | [d`]      | [d_<​] ​     | 
 +| ```g``` ​ |           | [g_<​] ​     | 
 +| ```l``` ​ | [l`]      |            | 
 +| ```n``` ​ | [n`]      |            | 
 +| ```r``` ​ | [r`]      |            | 
 +| ```r\``` | [r\`]     ​| ​           | 
 +| ```s``` ​ | [s`]      |            | 
 +| ```t``` ​ | [t`]      |            | 
 +| ```z``` ​ | [z`]      |            | 
 +| ```G\``` |           | [G\_<​] ​     | 
 +| ```J\``` |           | [J\_<​] ​     | 
 + 
 + 
 + 
 +### 기호 
 + 
 +특별한 기호들 
 + 
 +- ```[]``` : TXS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TXS 내부에서 사용할 수 없다. 
 +- ```\``` : 새로운 문자의 도입에 사용한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예: ```x```와 ```x\```는 다른 문자. 
 +- ```~``` : (nasalization) 비음을 표시하는 데에 사용한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 ``` : (retroflexion,​ rhotacization) 권설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_``` : diacritic 기호들은 ```_```로 시작한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 (현재 TXS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임의의 초분절음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괄호이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 (현재 TXS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백슬래시 ```\```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SAMPROSA에서는 conjunctor로 정의되어 있다. 
 +- ```/``` : (현재 TXS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SAMPA에서 불어의 모음의 indeterminancy 표기로 사용된다. (제안: ```/```와 더불어 일종의 확장 기호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X-SAMPA에 정의되지 않은 기호 
 + 
 +- ```()``` : TXS에서도 따로 정의하지 않고 필요하다면 변환하지 않고 괄호 그 자체로 사용한다. 수의적 요소를 표시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  
 +- ```$```  
 +- ```;```  
 +- ```,```  
 + 
 + 
 +^ ASCII  ^ 입력 ​        ^ XS       ^ TXS  | 비고 ​                       |   ^ 입력 ​       ^ XS  ^ TXS   ^ 비고 ​ ^ 
 +| 33     | ``` ! ```  | ꜜ        | [!]  |                           ​| ​  | ```!\``` ​ | ǃ   | [!\]  |     | 
 +| 34     | ``` " ```  | ˈ        | ["​] ​ |                           ​| ​  | ```"​\``` ​ |     | ["​\] ​ |     | 
 +| 35     | ``` # ```  |          | [#]  |                           ​| ​  | ```#​\``` ​ |     | [#\]  |     | 
 +| 36     | ``` $ ```  |          | [$]  |                           ​| ​  | ```$\``` ​ |     | [$\]  |     | 
 +| 37     | ``` % ```  | ˌ        | [%]  |                           ​| ​  | ```%\``` ​ |     | [%\]  |     | 
 +| 38     | ``` & ```  | ɶ        | [&​] ​ |                           ​| ​  | ```&​\``` ​ |     | [&​\] ​ |     | 
 +| 39     | ``` ' ```  | ʲ        | ['​] ​ |                           ​| ​  | ```'​\``` ​ |     | ['​\] ​ |     | 
 +| 40     | ``` ( ```  |          | [(]  |                           ​| ​  | ```(\``` ​ |     | [(\]  |     | 
 +| 41     | ``` ) ```  |          | [)]  |                           ​| ​  | ```)\``` ​ |     | [)\]  |     | 
 +| 42     | ``` * ```  |          | [*]  | ESC                       ​| ​  ​| ​          ​| ​    ​| ​      ​| ​    | 
 +| 43     | ``` + ```  |          | [+]  |                           ​| ​  | ```+\``` ​ |     | [+\]  |     | 
 +| 44     | ``` , ```  |          | [,]  |                           ​| ​  | ```,​\``` ​ |     | [,\]  |     | 
 +| 45     | ``` - ```  |          | [-]  | separator ​                ​| ​  | ```-\``` ​ | ‿   | [-\]  |     | 
 +| 46     | ``` . ```  | .        | [.]  |                           ​| ​  | ```.\``` ​ |     | [.\]  |     | 
 +| 47     | ``` / ```  |          |      | indeterminancy in vowels ​ |   ​| ​          ​| ​    ​| ​      ​| ​    | 
 +| 58     | ``` : ```  | ː        | [:]  |                           ​| ​  | ```:​\``` ​ | ˑ   | [:\]  |     | 
 +| 59     | ``` ; ```  |          | [;]  |                           ​| ​  | ```;​\``` ​ |     | [;\]  |     | 
 +| 60     | ``` < ```  |          | [<​] ​ | begin nonsegmental ​       |   | ```<​\``` ​ | ʢ   | [<​\] ​ |     | 
 +| 61     | ``` = ```  |          | [=]  |                           ​| ​  | ```=\``` ​ | ǂ   | [=\]  |     | 
 +| 62     | ``` > ```  |          | [>​] ​ | end nonsegmental ​         |   | ```>​\``` ​ | ʡ   | [>​\] ​ |     | 
 +| 63     | ``` ```  | ʔ        | [?]  |                           ​| ​  | ```?​\``` ​ | ʕ   | [?\]  |     | 
 +| 64     | ``` @ ```  | ə        | [@]  |                           ​| ​  | ```@\``` ​ | ɘ   | [@\]  |     | 
 +| 91     | ``` [ ```  |          |      | begin TXS                 ​| ​  ​| ​          ​| ​    ​| ​      ​| ​    | 
 +| 92     | ``` \ ```  |          |      | create new symbols ​       |   ​| ​          ​| ​    ​| ​      ​| ​    | 
 +| 93     | ``` ] ```  |          |      | end TXS                   ​| ​  ​| ​          ​| ​    ​| ​      ​| ​    | 
 +| 94     | ``` ^ ```  | ꜛ        | [^]  |                           ​| ​  | ```^\``` ​ |     | [^\]  |     | 
 +| 95     | ``` _ ```  |          |      | diacritic ​                ​| ​  | ```_\``` ​ |     | [_\]  |     | 
 +| 96     | ``` ` ```  |          |      | retroflexion ​             |   ​| ​          ​| ​    ​| ​      ​| ​    | 
 +| 123    | ``` { ```  | æ        | [{]  |                           ​| ​  | ```{\``` ​ | ʉ   | [{\]  |     | 
 +| 124    | ``` | ```  | ```|``` ​ | [|]  |                           ​| ​  | ```|\``` ​ | ǀ   | [|\]  |     | 
 +| 125    | ``` } ```  | ʉ        | [}]  |                           ​| ​  | ```}\``` ​ |     | [}\]  |     | 
 +| 126    | ``` ~ ```  |          |      | nasalization ​             |   ​| ​          ​| ​    ​| ​      ​| ​    | 
 + 
 + 
 +##### 기타 보충 기호 
 + 
 +^ 입력 ​      ^ XS  ^ TXS ^ 
 +| ```||``` ​  | ‖   ​| ​ [||]      | 
 +| ```|\|\``` | ǁ   ​| ​ [|\|\] ​   | 
 + 
 + 
 + 
 + 
 +### Modifier 
 + 
 +- 앞의 음을 꾸며주는 분음기호(diacritic)과 초분절기호 등은 ```_```로 시작한다. 
 + 
 + 
 +#### 소문자 
 + 
 +^ 입력 ​         ^ TXS   ^ XS  ^ 예      ^ 설명 ​                          ^ 
 +| ``` _a ```  | [_a]  | ̺   ​| ​       | apical ​                      | 
 +| ``` _b ```  | [_b]  |     ​| ​       |                              | 
 +| ``` _c ```  | [_c]  | ̜   ​| ​       | less rounded ​                | 
 +| ``` _d ```  | [_d]  | ̪   | [t_d]  | dental ​                      | 
 +| ``` _e ```  | [_e]  | ̴   ​| ​       | velarized or pharyngealized ​ | 
 +| ``` _f ```  | [_f]  |     ​| ​       |                              | 
 +| ``` _g ```  | [_g]  |     ​| ​       |                              | 
 +| ``` _h ```  | [_h]  | ʰ   | [t_h]  | aspirated ​                   | 
 +| ``` _i ```  | [_i]  |     ​| ​       |                              | 
 +| ``` _j ```  | [_j]  | ʲ   ​| ​       | palatalized ​                 | 
 +| ``` _k ```  | [_k]  | ̰   ​| ​       | creaky voice                 | 
 +| ``` _l ```  | [_l]  | ˡ   ​| ​       | lateral release ​             | 
 +| ``` _m ```  | [_m]  | ̻   ​| ​       | laminal ​                     | 
 +| ``` _n ```  | [_n]  | ⁿ   ​| ​       | nasal release ​               | 
 +| ``` _o ```  | [_o]  | ̞   ​| ​       | lowered ​                     | 
 +| ``` _q ```  | [_q]  | ̙   ​| ​       | retracted tongue root        | 
 +| ``` _r ```  | [_r]  | ̝   ​| ​       | raised ​                      | 
 +| ``` _s ```  | [_s]  |     ​| ​       |                              | 
 +| ``` _t ```  | [_t]  | ̤   ​| ​       | breathy voice                | 
 +| ``` _u ```  | [_u]  |     ​| ​       |                              | 
 +| ``` _v ```  | [_v]  | ̬   ​| ​       | voiced ​                      | 
 +| ``` _w ```  | [_w]  | ʷ   ​| ​       | labialized ​                  | 
 +| ``` _x ```  | [_x]  | ̽   ​| ​       | mid-centralized ​             | 
 +| ``` _y ```  | [_y]  |     ​| ​       |                              | 
 +| ``` _z ```  | [_z]  |     ​| ​       |                              | 
 + 
 +#### 대문자 
 + 
 +^ 입력 ​         ^ TXS   ^ XS  ^ 예 ^ 설명 ​                     |   ^ 입력 ​           ^ TXS     ^ XS  ^ 예 ^ 설명 ​                  ^ 
 +| ``` _A ```  | [_A]  |   ̘ |   | advanced tongue root  |   ​| ​              ​| ​        ​| ​    ​| ​  ​| ​                     | 
 +| ``` _B ```  | [_B]  |   ̏ |   | extra low tone        |   | ``` _B_L ```  | [_B_L] ​ | ᷅   ​| ​  | low rising tone      | 
 +| ``` _F ```  | [_F]  |   ̂ |   | falling tone          |   ​| ​              ​| ​        ​| ​    ​| ​  ​| ​                     | 
 +| ``` _G ```  | [_G]  | ˠ   ​| ​  | velarized ​            ​| ​  ​| ​              ​| ​        ​| ​    ​| ​  ​| ​                     | 
 +| ``` _H ```  | [_H]  |   ́ |   | high tone             ​| ​  | ``` _H_T ```  | [_H_T] ​ | ᷄   ​| ​  | high rising tone     | 
 +| ``` _L ```  | [_L]  |   ̀ |   | low tone              |   ​| ​              ​| ​        ​| ​    ​| ​  ​| ​                     | 
 +| ``` _M ```  | [_M]  |   ̄ |   | mid tone              |   ​| ​              ​| ​        ​| ​    ​| ​  ​| ​                     | 
 +| ``` _N ```  | [_N]  |   ̼ |   | linguolabial ​         |   ​| ​              ​| ​        ​| ​    ​| ​  ​| ​                     | 
 +| ``` _O ```  | [_O]  |   ̹ |   | more rounded ​         |   ​| ​              ​| ​        ​| ​    ​| ​  ​| ​                     | 
 +| ``` _R ```  | [_R]  |   ̌ |   | rising tone           ​| ​  | ``` _R_F ```  | [_R_F] ​ | ᷈   ​| ​  | rising falling tone  | 
 +| ``` _T ```  | [_T]  |   ̋ |   | extra high tone       ​| ​  ​| ​              ​| ​        ​| ​    ​| ​  ​| ​                     | 
 +| ``` _X ```  | [_X]  |   ̆ |   | extra-short ​          ​| ​  ​| ​              ​| ​        ​| ​    ​| ​  ​| ​                     | 
 + 
 +#### 기와 숫자 
 + 
 +력 ^ TXS ^ XS ^ 예 ^ 설명 ^ 
 +| ``` _" ``` | [_"] | ̈ | | centralized |  
 +| ``` _+ ``` | [_+] | ̟ | | advanced |  
 +| ``` _- ``` | [_-] | ̠ | | retracted |  
 +| ``` _0 ``` | [_0] | ̥ | [d_0] | voiceless |  
 +| ``` _< ``` | [_<] |   | | [b_<] [d_<] [g_<] [G\_<] [J\_<] implosive (IPA uses separate symbols for implosives) |  
 +| ``` _> ``` | [_>] | ʼ | | ejective |  
 +| ``` _?\ ``` | [_?\] | ˤ | | pharyngealized |  
 +| ``` _\ ``` | [_\] | ̂ | | falling tone |  
 +| ``` _^ ``` | [_^] | ̯ | | non-syllabic |  
 +| ``` _} ``` | [_}] | ̚ | | no audible release |
  
-주석 규칙과 XSAMPA의 충돌 문제 
  
-- - : glossing rule에서 단어 내 형태소 경계. X-SAMPA에서 separator. +## TXS와 IPA
-- = : glossing rule에서 clitic 경계. X-SAMPA에서 syllabicity 기호로 사용됨. +
-- <> : glossing rule에서 infix. X-SAMPA에서 suprasegmental 정보. +
-- ~ : glossing rule에서 reduplication. X-SAMPA에서 비음. 성조 사이에서 small tilde. +
-- glossing에서 쉼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등의 문장부호가 사용될 수 있음. 이것과 X-SAMPA의 충돌은 피하기 어려움. [] 바깥 쪽에 표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 예) [sd2?]? : 괄호 안에 있는 것은 음성기호,​ 괄호 밖에 있는 것은 물음표.+
  
 +### 모음
  
-X-SAMPA의 규칙+^            ^ front    ^ near-front ^ central ​  ^ near-back ^ back       ^ 
 +^ close      | ```[i]``` [i] ```[y]``` [y]  |            | ```[1\]``` [1\] ```[}]``` [}]   ​| ​          | ```[M]``` [M] ```[u]``` [u]    | 
 +^ near-close |          | ```[I]``` [I] ```[Y]``` [Y]    | ```[I\]``` [I\]      | ```[U\]``` [U\]  ```[U]``` [U] |            | 
 +^ close-mid ​ |          | ```[e]``` [e] ```[2\]``` [2\]   | ```[@\]``` [@\] ```[8\]``` [8\] | ```[7\]``` [7\]   ​```[o]``` [o] |           | 
 +^ mid        |          |            | ```[@]``` [@]       ​| ​          ​| ​           | 
 +^ open-mid ​  ​| ​         | ```[E]``` [E] ```[9\]``` [9\]   | ```[3\]``` [3\] ```[E\]``` [E\] | ```[V]``` [V] ```[O]``` [O]   ​| ​           | 
 +^ near-open ​ |          | ```[{]``` [{]        | ```[6\]``` [6\]      |           ​| ​           | 
 +^ open       ​| ​         | ```[a]``` [a] ```[&​]``` [&​] ​   |           | ```[A]``` [A] ```[Q]``` [Q]   ​| ​           |
  
-- \ : 새로운 문자의 도입. 예: x와 x\는 다른 문자. 
-- * : 정의되지 않음. 백슬래시 \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문자. 
-- ~ (nasalization),​ = (syllabicity),​ ` (retroflexion,​ rhotacization) 
-- _ : 위 세가지 의미를 제외한 diacritic 기호들은 _로 시작함. 
  
-X-SAMPA에서 사용하지 않는 문자+### TXS 전체 목록
  
-[] 음성 전사를 나타내는 괄호이므로 X-SAMPA에 사용될 수 없음. +TXS 코드 
-SAMPA에서 불어의 모음이 불분명할 때 사용되는 기호이나 필요없을 듯 +TXS를 자동으로 변환한 결과마우스를 올리면 XSAMPA 코드가 팝업으로 뜬다
-- <> : 임의의 초분절음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장치임+3 : Unicode IPA 직접 입력
-#$;, +
-- ()+
  
  
 +참조: https://​en.wikipedia.org/​wiki/​X-SAMPA
  
-===== TXS 기호 전체 목록 =====+^ 1 ^ 2 ^ 3 ^ Description ^ Example ^
 |``` a ```|[a]|a|open front unrounded vowel|French dame [dam], Spanish padre ["​paD4e]| |``` a ```|[a]|a|open front unrounded vowel|French dame [dam], Spanish padre ["​paD4e]|
 |``` b ```|[b]|b|voiced bilabial plosive|English bed [bEd], French bon [bO~]| |``` b ```|[b]|b|voiced bilabial plosive|English bed [bEd], French bon [bO~]|
줄 243: 줄 551:
 ==== 예제2 ==== ==== 예제2 ====
  
 +##### 본문 중에 사용하는 경우
  
-입력 ​방법:+입력:
  
 ``` ```
-  -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함. +[z`E<​33>​]를 사용할 때는 동사의 바로 뒤에는 어기조사 [Ei?<​55>​]가 온다.
-    * [z`E<​33>​] 를 사용할 때는 동사의 바로 뒤에는 어기조사 [Ei?<​55>​] ​이 온다. +
 ``` ```
  
-출력 ​결과:+출력:
  
-  -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함. +[z`E<​33>​]를 사용할 때는 동사의 바로 뒤에는 어기조사 [Ei?<​55>​]이 온다.
-    * [z`E<​33>​] 를 사용할 때는 동사의 바로 뒤에는 어기조사 [Ei?<​55>​] 이 온다.+
  
  
-==== Leipzig ====+##### 라이프치히 주석 용례에서 사용하는 경우
  
-{{{eg>​yrk (Tereshchenko1966:382) +입력:
-Небя-в ​      ​мя-кӑнанда ​      ​яӈгу  +
-mother-1SG ​ tent-LOC.3SG ​   be.NEG +
-나의 어머니는 자신의 천막에 없다. (Моей матери нет дома.) +
-}}}+
  
-{{{eg>yrk +``` 
-nʹebʹa-w ​   mʹa-k°nanda ​    ​jaŋgu +{{{eg>acn (Author2015:​999) 
-mother-1SG ​ tent-LOC.3SG ​   be.NEG +[ts`MN31thA?​31 ​ Ei?55   ​s`Mk55 ​ ts\E~31 ​ kuAN33 ​     x@u33] 
-의 어머니는 자신의 천막에 ​없다. ​(Моей матери нет дома.)+mountaintop ​   POS     ​tree    cut      completely ​ PTCL 
 +산위의 나무가 (모두) 베어 없어졌다.
 }}} }}}
  
 +```
 +
 +출력:
  
 {{{eg>​acn (Author2015:​999) {{{eg>​acn (Author2015:​999)
줄 279: 줄 585:
 }}} }}}
  
-{{{eg>​acn (Author2015:​999) 
-[nAN33 ​ xA33  kAi33  Ei?55  ts`Au33 ​ p_jE~31 ​ nEi?55] 
-you    PREH  speak  POS    word     ​right ​   DUR 
-너가 한 말이 맞다. 
-}}} 
  
  
  
-==== 기타 ​====+##### 기타
  
 1.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함. 1.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함.
guide/xsampa.149812087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22 17:41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