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guide:xsampa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guide:xsampa [2017/08/24 21:54]
유현조 [Leipzig]
guide:xsampa [2019/06/24 12:03] (현재)
박성하 [표]
줄 1: 줄 1:
-====== ​음성 기호 ​======+음성기호
  
-===== TXS 간략 목록 ​=====+## 이임계의 남도어 표기부호 
 + 
 +- 예제 입력틀, 어휘 목록틀에서는 그냥 부호만 이용해서 입력하면 된다. 
 +- 본문의 설명 중에 단어를 입력할 때에는 중괄호로 둘러싼다. 예) {i:​ma'​}는 손이라는 뜻이다. 
 + 
 + 
 + 
 +### 모음 대조표 
 + 
 +| 부호 ​  | IPA  | 
 +|  i   ​| ​ i   | 
 +|  ʉ   ​| ​ ʉ   | 
 +|  e   ​| ​ e   | 
 +|  oe  |  œ   | 
 +|  e   ​| ​ ə   | 
 +|  o   ​| ​ o   | 
 +|  ae  |  æ   | 
 +|  a   ​| ​ a   | 
 + 
 +### 자음 대조표 
 + 
 +|  부호 ​  ​| ​ IPA  | 
 +|  p    |  p    | 
 +|  t    |  t    | 
 +|  c    |  ts   | 
 +|  T    |  ʈ    | 
 +|  t́   ​| ​ c    | 
 +|  tj   ​| ​ :::  | 
 +|  k    |  k    | 
 +|  q    |  q    | 
 +|  ' ​   |  ʔ    | 
 +|  b    |  b    | 
 +|  :::  |  ɓ    | 
 +|  d    |  d    | 
 +|  :::  |  d    | 
 +|  D    |  d    | 
 +|  d    |  ɟ    | 
 +|  dj   ​| ​ :::  | 
 +|  g    |  g    | 
 +|  f    |  f    | 
 +|  th   ​| ​ θ    | 
 +|  s    |  s    | 
 +|  S    |  ʃ    | 
 +|  x    |  x    | 
 +|  h    |  χ    | 
 +|  :::  |  h    | 
 +|  b    |  β    | 
 +|  v    |  v    | 
 +|  z    |  ð    | 
 +|  :::  |  z    | 
 +|  g    |  ɣ    | 
 +|  R    |  ʁ    | 
 +|  m    |  m    | 
 +|  n    |  n    | 
 +|  ng   ​| ​ ŋ    | 
 +|  d    |  ɬ    | 
 +|  l    |  :::  | 
 +|  L    |  :::  | 
 +|  l    |  l    | 
 +|  L    |  ɭ    | 
 +|  ĺ   ​| ​ ʎ    | 
 +|  lj   ​| ​ :::  | 
 +|  r    |  r    | 
 +|  :::  |  ɾ    | 
 +|  w    |  w    | 
 +|  y    |  j    | 
 + 
 + 
 + 
 + 
 +## TXS 간략 목록
  
 - [a] [b] [b_<] [c] [d] [d`] [d_<] [e] [f] [g] [g_<] [h] [h\] [i] [j] [j\] [k] [l] [l`] [l\] [m] [n] [o] [p] [p\] [q] [r] [r`] [r\] [s] [s`] [s\] [t] [u] [v] [v\] [w] [x] [x\] [y] [z] [z`] [z\] - [a] [b] [b_<] [c] [d] [d`] [d_<] [e] [f] [g] [g_<] [h] [h\] [i] [j] [j\] [k] [l] [l`] [l\] [m] [n] [o] [p] [p\] [q] [r] [r`] [r\] [s] [s`] [s\] [t] [u] [v] [v\] [w] [x] [x\] [y] [z] [z`] [z\]
 - [A] [B] [B\] [C] [D] [E] [F] [G] [G\] [G\_<] [H] [H\] [I] [I\] [J] [J\] [J\_<] [K] [K\] [L] [L\] [M] [M\] [N] [N\] [O] [O\] [P] [Q] [R] [R\] [S] [T] [U] [U\] [V] [W] [X] [X\] [Y] [Z] - [A] [B] [B\] [C] [D] [E] [F] [G] [G\] [G\_<] [H] [H\] [I] [I\] [J] [J\] [J\_<] [K] [K\] [L] [L\] [M] [M\] [N] [N\] [O] [O\] [P] [Q] [R] [R\] [S] [T] [U] [U\] [V] [W] [X] [X\] [Y] [Z]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1\] [2\] [3\] [4\] [5\]
 - [!] [@] [#] [$] [%] [^] [&] - [!] [@] [#] [$] [%] [^] [&]
  
줄 55: 줄 126:
 | ``` 0 ```  | [0]  |     ​| ​  | ``` 0\ ```  | [0\]  |     ​| ​  ​| ​            ​| ​      ​| ​    | | ``` 0 ```  | [0]  |     ​| ​  | ``` 0\ ```  | [0\]  |     ​| ​  ​| ​            ​| ​      ​| ​    |
  
 +
 +
 +## 성조
 +
 +- [a353] 성조 숫자가 연달아 3개까지 나올 수 있다.
 +- [a33~35] : 원래 성조는 33인데 어떤 환경에서 35로 바뀌는 현상을 표현할 때. 또는 33과 35가 수의적으로 사용되는 때. 등에 사용.
  
 ### 영문자 ### 영문자
 +
 +
  
 - TXS는 XS를 포함한다. - TXS는 XS를 포함한다.
줄 125: 줄 204:
 - ``` ` ``` : (retroflexion,​ rhotacization) 권설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 ``` : (retroflexion,​ rhotacization) 권설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_``` : diacritic 기호들은 ```_```로 시작한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_``` : diacritic 기호들은 ```_```로 시작한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 임의의 초분절음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괄호이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 (현재 TXS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임의의 초분절음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괄호이다.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 사용하지 않는다. 백슬래시 ```\```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SAMPROSA에서는 conjunctor로 정의되어 있다. +- ```*``` : (현재 TXS에서 지원하지 않는다.백슬래시 ```\```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SAMPROSA에서는 conjunctor로 정의되어 있다. 
-- ```/``` : 사용하지 않는다. SAMPA에서 불어의 모음의 indeterminancy 표기로 사용된다. (제안: ```/```와 더불어 일종의 확장 기호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현재 TXS에서 지원하지 않는다.SAMPA에서 불어의 모음의 indeterminancy 표기로 사용된다. (제안: ```/```와 더불어 일종의 확장 기호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X-SAMPA에 정의되지 않은 기호 X-SAMPA에 정의되지 않은 기호
줄 246: 줄 325:
 | ``` _} ``` | [_}] | ̚ | | no audible release | | ``` _} ``` | [_}] | ̚ | | no audible release |
  
-===== TXS 기호 ​전체 목록 ​=====+ 
 +## TXS와 IPA 
 + 
 +### 모음 
 + 
 +^            ^ front    ^ near-front ^ central ​  ^ near-back ^ back       ^ 
 +^ close      | ```[i]``` [i] ```[y]``` [y]  |            | ```[1\]``` [1\] ```[}]``` [}]   ​| ​          | ```[M]``` [M] ```[u]``` [u]    | 
 +^ near-close |          | ```[I]``` [I] ```[Y]``` [Y]    | ```[I\]``` [I\]      | ```[U\]``` [U\]  ```[U]``` [U] |            | 
 +^ close-mid ​ |          | ```[e]``` [e] ```[2\]``` [2\]   | ```[@\]``` [@\] ```[8\]``` [8\] | ```[7\]``` [7\]   ​```[o]``` [o] |           | 
 +^ mid        |          |            | ```[@]``` [@]       ​| ​          ​| ​           | 
 +^ open-mid ​  ​| ​         | ```[E]``` [E] ```[9\]``` [9\]   | ```[3\]``` [3\] ```[E\]``` [E\] | ```[V]``` [V] ```[O]``` [O]   ​| ​           | 
 +^ near-open ​ |          | ```[{]``` [{]        | ```[6\]``` [6\]      |           ​| ​           | 
 +^ open       ​| ​         | ```[a]``` [a] ```[&​]``` [&​] ​   |           | ```[A]``` [A] ```[Q]``` [Q]   ​| ​           | 
 + 
 + 
 +### TXS 전체 목록
  
 - 1 : TXS 코드 - 1 : TXS 코드
줄 494: 줄 588:
  
  
-==== 기타 ​====+##### 기타
  
 1.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함. 1.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함.
guide/xsampa.150357929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8/24 21:54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