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late:1_phonology:12_vowel:12_vowe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template:1_phonology:12_vowel:12_vowel [2016/09/08 16:13]
127.0.0.1 바깥 편집
template:1_phonology:12_vowel:12_vowel [2018/06/25 08:56] (현재)
줄 1: 줄 1:
 # 12_vowel :  모음 (vowel) ​ # 12_vowel :  모음 (vowel) ​
- 
-한티어에서 모음 음소가 가장 분명하게 구별되는 위치는 단어의 첫 음절이다. ​ 
- 
-오비강 중류 방언에는 모음 음소가 8개 있다. (표) 
- 
-오비강 중류 방언과 그 친족 방언에서 모음은 장단모음이 음운론적으로 구분된다. 장모음에는 а, о, у, э가 있고, 단모음에는 а, о, у, и가 있다. 예를 들어 камын [а:] ‘밖에서’,​ камын [а] ‘몇’이다. () 
- 
-대부분의 장모음(а,​ о, у)은 후설모음이고,​ 대부분의 단모음(а,​ 원순 и, i)은 전설모음이다. 장모음 е 는 전설모음이고,​ 단모음 о는 후설모음이다. 장모음도 단모음도 원순모음일 수 있다. ​ 
- 
-현재 모음을 표현하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 
- 
-모든 모음(장모음,​ 단모음)은 약화모음 [ə]에 대립하며,​ 약화모음은 오비강 중류 방언에서는 1음절이 아닌 음절에서만 가능하다. 이 약화모음은 주로 어말 자음군의 자음들을 분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wersəm (wersm 대신) (나는 하였다). () 물론 이 기능만 한다면 음소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약화모음은 의미구별 기능도 한다. 예를 들어 ar ‘많이’,​ arə ‘노래’. () 
-이 모음은 문자로는 ы 와 и 로 나타낸다. ​ 
- 
----- 
- 
-- 다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할 것 
- - 단모음의 수와 목록 
- - 반모음의 수와 목록 
- - 이중모음의 수와 목록 
-- 이중모음의 유형: 이중모음의 결합 양상. 예) 반모음+단모음 또는 단모음+단모음 또는 단모음+반모음 등의 결합으로 된 이중모음 중에서 어느 것이 존재하는가의 여부 
-- 모음 목록에서 나타나는 유표적 모음의 수: a, e, i, o, u에 속하지 않는 모음의 수와 목록. 유표적 모음은 자연성의 측면에서 인간 언어의 모음 체계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모음 이외의 모음임. 
- 
-### 단모음 
- 
-- 총론에서 기술한 내용 이외에 단모음과 관련하여 추가로 기술할 내용이 있으면 기술할 것.  
- 
-### 반모음 
- 
-- 총론에서 기술한 내용 이외에 반모음과 관련하여 추가로 기술할 내용이 있으면 기술할 것. 
- 
-### 비모음 
- 
-- 해당 언어에 비모음이 존재하는 경우 수와 목록 및 특징을 기술할 것. 
- 
-### 이중모음 (diphthong) 
- 
-- 상향 이중모음의 수와 목록 
-- 하향 이중모음의 수와 목록 
-- 총론에서 기술한 내용 이외에 이중모음과 관련하여 추가로 기술할 내용이 있으면 기술할 것. 
  
  
template/1_phonology/12_vowel/12_vowel.147331880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9/08 16:18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