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topic:4_ss:46_val:val_appl [2016/01/25 21:20] 유현조 |
topic:4_ss:46_val:val_appl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 ## voice_appl : 추가태 (applicative) | + | ## val_appl : 추가태 (applicative) |
| + | |||
| + | 추가태(applicative voice)는 동사의 사격 논항(oblique argument)을 핵심 논항으로 승격하는 격을 말한다. | ||
| + | 동사에 표지가 붙어 사격 성분의 존재를 표시하기도 한다. | ||
| + | 추가태가 됨으로써 동사의 결합가는 하나 증가하게 된다. | ||
| + | |||
| + |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술한다. | ||
| + | |||
| + | - 추가태를 위해 동사에 어떤 표지가 결합하는가? | ||
| + | - 승격되는 성분의 의미 역할 | ||
| + | |||
| + | |||
| + | 추가태는 전형적으로 자동사에 적용되어 부가적인 성분을 목적어로 만든다. | ||
| + | 영어에는 추가태를 위한 문법적 장치가 없으나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Jack ran faster than the giant | ||
| + | |||
| + | 위 문장에서 'ran'은 자동사이고 'the giant'는 부가적인 성분이다. 위와 유사한 | ||
| + | 의미를 다음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Jack outran the giant. | ||
| + | |||
| + | 이 문장에서 'outran'은 'the giant'를 목적어로 취하고 있다. 어떤 언어에 이와 같은 | ||
| + | 문법적 장치가 있다면 'outran'을 'ran'의 추가태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지 | ||
| - | - 승격성분의미역할 | ||
| - | 논항이 아닌 것, 사격 성분을 동사의 목적어로 승격시키고 동사에 표지를 붙이기도 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