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user:yedong [2018/06/15 01:59] 동영은 |
user:yedong [2021/03/01 19:25] (현재) 동영은 |
||
---|---|---|---|
줄 4: | 줄 4: | ||
- [[doc:enets:enets]] | - [[doc:enets:enets]] | ||
+ | - [[doc:mari:mari]] | ||
- [[doc:udmurt:udmurt]] | - [[doc:udmurt:udmurt]] | ||
- [[doc:ingr:ingr]] | - [[doc:ingr:ingr]] | ||
- [[doc:nogai:nogai]] | - [[doc:nogai:nogai]] | ||
- | - [[doc:nogai:andi]] | + | - [[doc:avar:avar]] |
+ | - [[doc:andi:andi]] | ||
+ | - [[doc:hinuq:hinuq]] | ||
+ | - [[doc:dargwa:dargwa]] | ||
+ | - [[doc:ket:ket]] | ||
+ | - [[doc:aghul:aghul]] | ||
+ | - [[doc:itelmen:itelmen]] | ||
+ | - [[doc:aleut:aleut]] | ||
+ | - [[doc:oroch:oroch]] | ||
+ | - [[doc:ossetic:ossetic]] | ||
## 자료 | ## 자료 | ||
+ | |||
## 개인메모 | ## 개인메모 | ||
- | ## 질문(3/30 회의용) | + | #### 주석약호 문제 |
- | + | ||
- | + | ||
- | ##### 질문 1(번역관련) | + | |
- | + | ||
- | - "weak expiratory stress(слабое экспиратороное ударение)를 갖는다"에서 expiratory stress를 어떻게 번역할까요? | + | |
- | + | ||
- | - productive suffix / non-productive suffix | + | |
- | 활용도가 높은/낮은 접사라는 의미로 쓰일 때 각각의 적절한 번역? | + | |
- | + | ||
- | 예시) 능격에서 non-productive suffix(-и, -ду, -да, -зу)를 취하는 명사들은 주로 3클래스에 속한다 | + | |
- | + | ||
- | + | ||
- | ##### 질문 2 | + | |
- | 모음자질에 대해 high/low, front/back 구분만 있고 IPA가 아닌 알파벳으로 표기된 아래와 같은 표에서 "а"의 원순자질을 무조건 round로 간주해도 되나요? | + | |
- | + | ||
- | (러시아어 원본표) | + | |
- | | подъем | передние | средние | задние | | + | |
- | | верхний | и | | у | | + | |
- | | средний | е(э) | | о | | + | |
- | | нижний | | а | | | + | |
- | + | ||
- | + | ||
- | ##### 질문 3 | + | |
- | ###### 작성내용 | + | |
- | + | ||
- | - 구강음 앞에서 м > н (m > n) | + | |
- | + | ||
- | {{{eg>avar1256 (Alekseev2001:28) | + | |
- | гъамас̄ | + | |
- | box | + | |
- | }}} | + | |
- | + | ||
- | {{{eg>avar1256 (Alekseev2001:28) | + | |
- | гъанс̄и-л | + | |
- | box-GEN | + | |
- | }}} | + | |
- | + | ||
- | + | ||
- | ###### 질문내용 | + | |
- | + | ||
- | - 소유격 표지는 -л이고 그 앞의 и에 대한 설명은 따로 없는데 이 때 gloss? | + | |
- | + | ||
- | - 위 내용이 "동화"의 예로 나와있는데 위와 같은 변화를 동화라고 할 수 있나요(m과 n은 둘 다 비음인데)? 그리고 위와 같은 방식의 예를 보여줄 때 데이터 입력방식은 위 처럼 예문 두개로 하는게 좋을까요, 목록으로 나란히 한 줄에 적는게 좋을까요? 목록으로 적는다면 출처표기 방식은? | + | |
- | + | ||
- | ##### 질문 4 | + | |
- | ###### 작성내용(아래에는 질문을 위해 1~5시리즈의 내용의 일부만 참고로 적습니다.) | + | |
- | + | ||
- | #### 처소관련격 | + | |
- | + | ||
- | - 간접어간과 사용 | + | |
- | - 처소관련격의 시리즈(1~5시리즈)를 나타내는 표지와 함께 사용 | + | |
- | + | ||
- | ##### 1시리즈 | + | |
- | + | ||
- | - -да (л̄ъ̄ > л) | + | |
- | - '-에', 사물의 전형적인 위치 | + | |
- | + | ||
- | + | ||
- | ##### 2시리즈 | + | |
- | + | ||
- | - (у)хъ | + | |
- | - 근처에 | + | |
- | + | ||
- | ##### 3시리즈 | + | |
- | + | ||
- | - -(у)лI | + | |
- | - 연속체나 집합체의 내부 | + | |
- | + | ||
- | ##### 4시리즈 | + | |
- | + | ||
- | -(у)кь | + | |
- | -아래 | + | |
- | + | ||
- | ##### 5시리즈 | + | |
- | + | ||
- | - -(ни) + 명사의 클래스 표지 | + | |
- | - 그릇이나 빈 공간 내부 | + | |
- | + | ||
- | + | ||
- | + | ||
- | ###### 질문내용 | + | |
- | + | ||
- | 위 문서에서 “시리즈”는 처소격의 의미에 따른 구분이고 “클래스”는 명사의 구분(1:남성, 2:여성, 3:중성)입니다. 마지막 “시리즈”와 “클래스”의 gloss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클래스”는 형용사 등 다른 항목에도 등장합니다. 아래 형용사 예시도 있음) | + | |
- | + | ||
- | 예시) | + | |
- | + | ||
- | - 1시리즈(-да) 예시 | + | |
- | + | ||
- | {{{eg>avar1256 (Alekseev2001:30) | + | |
- | Рагъи-да | + | |
- | balcony-LOC.1 | + | |
- | 발코니에 | + | |
- | }}} | + | |
- | + | ||
- | 그냥 LOC로 적으면 위의 5가지 시리즈의 구분이 어렵습니다. 이 때 gloss는 SERIES1? LOC.1? | + | |
- | + | ||
- | + | ||
- | - 5시리즈(-б) 예시 | + | |
- | + | ||
- | {{{eg>avar1256 (Alekseev2001:30) | + | |
- | чванти-ни-б | + | |
- | bag-LOC.5-CLASS.3 | + | |
- | 가방 안에 | + | |
- | }}} | + | |
- | + | ||
- | {{{eg>avar1256 (Alekseev2001:30) | + | |
- | хури-∅-б | + | |
- | field-(LOC.5)-CLASS.3 | + | |
- | 들판에 | + | |
- | }}} | + | |
+ | ###### 기누흐어 GEN1,2 | ||
+ | http://www.typologydb.org/wiki/doku.php?id=doc:hinuq:2_wordclass:22_noun:22_noun | ||
- | 위에서 -ни는 5시리즈를 나타내는 접사이고(생략되는 경우도 있음: 생략되는 환경은 모름: 생략된 경우에는 아래 예처럼 ∅표기?) 그 뒤에 클래스 3을 나타내는 -б가 첨가되는데 이 때의 gloss는 CLASS로? NEUT로? | + | ###### 안디어 VC1,2 |
+ | http://www.typologydb.org/wiki/doku.php?id=doc:andi:2_wordclass:23_verb:23_verb | ||
+ | http://www.typologydb.org/wiki/doku.php?id=doc:andi:4_ss:46_val:val_caus | ||
- | (“클래스”가 쓰인 다른 항목) | + | ###### 오로치어 FUT1~3 |
+ | http://www.typologydb.org/wiki/doku.php?id=doc:oroch:4_ss:48_tame:tame_tense | ||
- | - 장어미형용사는 단어미형용사에 접미사 -а-와 피수식어의 클래스 표지를 덧붙임 | + | ###### 이텔멘어 INF1~6, COM1,2 |
- | {{{eg>avar1256 (Alekseevetal2012:89) | + | http://www.typologydb.org/wiki/doku.php?id=doc:itelmen:2_wordclass:23_verb:23_verb |
- | л̄ъ̄икI-а-в вас | + | |
- | good-А-CLASS.1 boy | + | |
- | 착한 소년 | + | |
- | }}} | + | |
- | 위에서 -а-와 클래스 접미사의 gloss는? | + | http://www.typologydb.org/wiki/doku.php?id=doc:itelmen:2_wordclass:22_noun:22_nou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