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ai
»
2_wordclass
»
23_verb : 동사 (verb) 100%
추적:
doc:bai:2_wordclass:23_verb:23_verb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3_verb : 동사 (verb) 100% ### (1) 자오좡바이어 동사의 문법적 기능 - 동사가 문장의 술어 혹은 중심 술어이다. - 동사의 보어로 쓰일 수 있다. ###### 술어로 쓰이는 경우 {{{eg>baic1239 (zhaoyanzhen2012:120) xɔ³³ tv³⁵ tsɯ³³ kʰiɛ⁴⁴. home in have guest 집에 손님이 있다. }}} ###### 중심 술어로 쓰이는 경우 {{{eg>baic1239 (zhaoyanzhen2012:120) ŋɯ⁵⁵ kɔ⁵⁵kɔ⁴⁴ pa⁵⁵ mɛ⁴⁴ ʑa⁵⁵ ( ← ʑa⁴⁴ ɣɯ³⁵ ) ʑi⁴²? 1SG elder.brother 3PL buy come.back ( ← come back ) Q 우리 오빠(형)이 사온 것인가? }}} ####### 동사가 보어로 쓰이는 경우 {{{eg>baic1239 (zhaoyanzhen2012:121) pɔ³³ tɕy⁴² to⁴⁴fɛ³⁵ ( ← fɛ³³ xɯ⁵⁵ ) ɔ⁵⁵. 3SG slip fall ( ← turn.over PFV ) PFV 그는 넘어졌다. }}} ### (2) 자오좡바이어 동사의 문법화 #### 1) tsɔ⁴² ‘말하다’ ###### 본동사로 인용문에서 쓰이는 경우 - 문법화되기 전에 문장에서 단독적으로 술어로 쓰여 직접 인용문 혹은 간접 인용문을 이끈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6) ka⁵⁵ kʰui⁵⁵ sɯ⁴⁴ tsɔ⁴²: mɛ⁴⁴ ɣɯ⁴⁴ ɔ⁴⁴ ua⁵⁵ tɕi³⁵ ɣɯ³⁵ several CL right say buy eat 3SG.PAT several CL come 몇 사람이 말했다. “몇 근을 사라!” }}} ###### 인용문에서 인용 표지로 쓰이는 경우 - tsɔ⁴²가 다른 ‘말하다’의 의미를 가진 동사 뒤에 쓰일 때 의미가 약화되고 간접 인용문 혹은 직접 인용문을 이끄는 표지가 된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7) ŋɔ³³ tɕa³³ kɔ⁴⁴ ( ← kɯ⁴⁴ ɔ⁴⁴ ) tsɔ⁴² ŋɔ³³ ŋiɛ²¹ na⁵⁵ ȵi²¹ pa⁵⁵ mɯ⁵⁵ ɕa³⁵. 1SG speak to.3SG.PAT ( ← to 3SG.PAT ) say 1SG go that CL 3PL there play 나는 그한테 그 집에 놀러간다고 했다. }}} ###### 심리 활동을 나타내는 종속절을 이끄는 경우 - 인용 표지로 쓰인 tsɔ⁴²가 더 문법화되어 mi³³ '생각하다', 알다 ‘zɯ³³ki⁴⁴’, ʑi³³ui⁴² ‘~줄 알다’ 등 심리 동사 뒤에 쓰여 심리 활동을 나타내는 종속절을 이끈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7) pa⁵⁵ko³³ tsi³³tʰe⁴⁴ nɯ⁵⁵ zɯ⁴⁴ki⁴⁴ tsɔ⁴² pɯ⁵⁵ mɔ³³ piɔ³³. 3SG.two sister TOP know say 3SG mother not.be. 그 두 자매는 그 녀가 자신의 엄마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 ###### 심리 동사로 쓰이는 경우 - tsɔ⁴²가 더 단계더 문법화되어 ‘생각하다’, ‘~줄 알다’ 등 심리 활동을 나타내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 때 문장에서 심리 동사로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7) ŋɔ³³ lɯ⁴⁴ tsɔ⁴² se³³ ȵo³³tɕu³⁵ tsi⁴⁴ a⁴⁴. 1SG TOP think little pyrethrum DIM GENR 나는 작은 황국인 줄 알았다. }}} - 의문 대명사 tse⁵⁵ 뒤에 쓰여 의심한 내용을 이끄는 경우 {{{eg>baic1239 (zhaoyanzhen2012:98) tse⁵⁵ tsɔ⁴² ȵa⁵⁵ ko³³ tɯ²¹ ka⁴⁴ ʑa⁴⁴ tʰɯ⁵⁵ ( ← tʰɯ⁵⁵ xɯ⁵⁵ ) tuo³³ tsɔ⁴², nɯ³³ tɯ²¹ lɯ⁴⁴ tsɯ³³ ŋv²¹te³³pɔ³⁵ miɛ⁴⁴ lɯ⁴⁴. no.wonder say 1PL two CL CAUS squash down.PFV ( ← down PFV ) cannot say this CL TOP have emperor fate PTCL. 어쩐지 우리 둘이 그를 누르지 못했더라. 이 사람이 황제가 될 운명이구나! }}} - 문말에 쓰여 증거성 표지로 사용되는 경우 {{{eg>baic1239 (zhaoyanzhen2012:98) nɯ⁵⁵ mɔ³³ ʑa⁵⁵ ( ← ʑa⁴⁴ ɣɯ³⁵ ) lɔ⁴⁴ tsɔ⁴² 2SG mother come.back ( ← come back ) PFV say 너의 엄마가 돌아왔다고 들었다. }}} - tsɔ⁴²는 문장 맨 앞에 쓰여 담화 표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eg>baic1239 (zhaoyanzhen2012:99) tsɔ⁴² ɕy³³ u⁵⁵ nɔ⁴⁴ nɔ³³ ȵo⁴⁴ tɕʰo³³ a⁴⁴. DM water spot OBJ 2SG don't play PTCL 너 물놀이를 그만 해라! }}} - 즉 동사 tsɔ⁴² ‘말하다’는 문법화가 되어 인용 표지, 증거성 표지, 담화 표지로 사용될 수 있다. #### 2) 행위 동사 tsi⁵⁵ ‘하다’의 문법화 - tsi⁵⁵는 동사로 쓰일 때 ‘일하다’ 혹은 ‘만들다’의 의미가 있다. - ‘(일을)하다’의 의미로 쓸 때 목적어를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100) ȵi⁵⁵ ɕua⁵⁵ ȵi²¹ tsɯ³⁵ a⁵⁵ta⁴⁴ tsi⁵⁵ ʑi⁴²? 2SG grandson CL in here work Q 당신의 손자는 여기서 일해요? }}} - ‘만들다’의 의미로 쓰일 때 반드시 목적어를 가진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100) ŋɯ⁵⁵ mɔ³³ tsɯ³⁵ tɕuo⁴⁴fa³⁵ tsi⁵⁵ ɕy³³kɔ³⁵ 1SG mother in kitchen make cake 엄마가 부엌에서 케이크를 만들고 있다. }}} - tsi⁵⁵는 직업을 나타내는 명사와 결합하여 어떤 직업을 하고 있다는 의미로 쓰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101) tsi⁵⁵ sɔ⁵⁵kiɛ³⁵ lɯ⁴⁴ tsa³⁵fe³⁵ pɯ³³ tɯ²¹. do butcher COP tsa³⁵fe³⁵ that CL 백정을 하는 사람은 장비이다. }}} - 동사 tsi⁵⁵는 문법화되어 동사 뒤에 와서 연속 동사 구성을 형성하여 ‘동작’의 변화를 나타내고 그의 뒤에 변화의 결과가 뒤따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101) kʰua⁴⁴ ne²¹ mɛ⁵⁵ tsɔ⁴² tsa⁵⁵tiɛ⁴⁴ ki⁴⁴ ɔ⁴⁴ kiɛ³⁵ tsi⁵⁵ ȵa³³ ( ← nɯ³³ ʑa³³ ) kiɛ³⁵. dog CL PTCL say all see 3SG.PAT to.fear become this.like ( ← this like ) to.fear 한 마리의 강아지일 뿐인데, 모두들 이렇게 많이 놀랐다. }}} - 동사 tsi⁵⁵는 더 문법화되어 동작의 결과(상태 혹은 결과 보어)를 이끄는 보어 표지로 쓰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102) pɯ⁵⁵ vv³³ tɯ²¹ tɕi³⁵ka⁵⁵ tsi⁵⁵ ɕi³³. 3SG wife CL angry get die. 그의 와이프가 화나서 죽을 지경이다. }}} - 보어 표지로 쓰인 동사 tsi⁵⁵ 더 문법화되어 명사구나 대명사 뒤에 나타나 화제 표지로 쓰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102) ki³⁵ku³³lu³³ŋɯ²¹ tsi⁵⁵ kuɛ²¹ mɛ⁴⁴. crab TOP sideways walk 게가 옆으로 간다. }}}
doc/bai/2_wordclass/23_verb/23_verb.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0:39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