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iao
»
1_phonology
»
12_vowel : 모음 (vowel)
추적:
•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doc:biao:1_phonology:12_vowel:12_vowel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2_vowel : 모음 (vowel) #### 모음 - 뱌오어의 시동방언에서 [a], [e], [ɛ], [i], [o], [ɔ], [œ], [ø], [u], [y]와 같은 10개의 주요 모음이 있다. #### 모음의 특징 - e가 단모음으로 사용되지 않고 e 뒤에 운미를 붙여서 사용된다. [ek], [ep], [et]의 성조는 단지 7, 8조로 되어 있다. - 단모음이 보통 길게 발음되고 운미가 붙어 있는 운모 중에 [a]만 장단음의 대립을 가지고 있다. - [ɛ-], [ɔ-], [o-], [œ-], [ø-], [y-], [ia-]도 길게 발음되지만 뒤에 [–p], [-t], [-k]가 붙어 있는 경우에 보통 9, 10조로 발음된다. - [iŋ], [ik], [uŋ], [uk]의 발음이 보통 짧고 [ik], [uk]는 단지 7, 8조로 발음된다. - [it], [ut]는 9, 10조로 발음된다. - [a]를 포함한 어휘를 가장 많이 찾을 수 있고 [e]를 포함한 어휘수가 가장 적다. 단모음 [a]가 장모음 [a:]보다는 저모음이다. - [a-] 혹은 [ia-]가 성모 [j], [ȵ]와 결합될 수 있다. {{{lex>biao1257 (liangmin2002:39) - [jia132]: 야수 - [ja22]: 끈 - [ȵiak35]: 멍에 - [ȵak55]: 메뚜기 }}} - 시동방언에서 저모음화와 원순음화 현상을 흔히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어와 동어에서 장모음 [a:]가 시동방언에서 원순모음 [u], [o], [ɔ], [ø], [y] 등으로 변했다. ^ ^욕하다 ^새싹 ^뚜껍다 ^눈 ^천동 ^얼굴 ^ |시동방언 |[ly35] |[sø54] |[tsho55] |[θo1] |[pho54] |[nu54] | |장어 |[da5] |[kja3] |[na1] |[ta1] |[pla3] |[na3] | |동어 |[kwa5] |[ka3] |[na1] |[ta1] |[pja1] |[na3] |
doc/biao/1_phonology/12_vowel/12_vowe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27 14:33 저자
유현조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