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iao
»
4_ss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100%
추적:
•
supra_stress : 강세 (stress)
•
tame_mir : 의외성 (mirativity)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doc:biao:4_ss:45_wo:45_wo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100% - 술어 뒤에 목적어와 보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에, 목적어가 보어의 앞이나 뒤에 모두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목적어가 처소와 관련된 명사인 경우에 보통 보어의 앞에 위치한다. {{{eg>biao1257 (liangmin2002:124) [man214 kut55 θa55 lɛu214 lɔ214 tsu214 lak12nu132] he beat die PST two CL mouse 그는 쥐 두 마리를 때려 죽였다. }}} {{{eg>biao1257 (liangmin2002:124) [man214 kut55 lɔ214 tsu214 ak12nu132 θa55 lɛu214] he beat two CL mouse die PST 그는 쥐 두 마리를 때려 죽였다. }}} {{{eg>biao1257 (liangmin2002:124) [man214 hɔ132 mui55 løk22 poi55] he get.into that house go 그는 방에 들어간다. }}} - 사람과 물체를 가리키는 목적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에 두 목적어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으면 사람을 가리키는 목적어 앞에 ‘[pan54](给)’을 추가한다. {{{eg>biao1257 (liangmin2002:124) [man214 pha55 θa:m54 pa:k35 kan55 ma:k22 tsuŋ55 pan54 løŋ214] he sell three hundred CL corn seed give us 그는 우리에게 옥수수 종자 300근을 팔았다. }}} {{{eg>biao1257 (liangmin2002:124) [man214 pha55 pan54 løŋ214 θa:m54 pa:k35 kan55 ma:k22 tsuŋ55] he sell give us three hundred CL corn seed 그는 우리에게 옥수수 종자 300근을 팔았다. }}} - 부사어는 보통 수식을 받는 술어의 앞에 나타난다. {{{eg>biao1257 (liangmin2002:125) [man214 luk55jan214 pa:t35 tɛm55 tsuŋ54 naŋ55 na:i55] he tomorrow eight dot clock come here 그는 내일 8시에 여기에 올 것이다. }}}
doc/biao/4_ss/45_wo/45_w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24 00:25 저자
김혜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