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onan
»
1_phonology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추적: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53_comp : 비교 (comparison)
•
phonproc_vharmony: 모음조화(vowel harmony) : 0% :
•
menovshchikov1968
doc:bonan:1_phonology:13_supra:13_supra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강세 - 다음절 단어에서 강세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어근 뒤에 문법성분이 추가될 경우, 강세는 마지막 음절로 이동한다. 예: χar-: 돌아오다 -> χar-′ɢə: 가지고 돌아오다 -> χar-ɢə-′saŋ: 가지고 돌아오는 것 ##### 합성어의 강세 - 두 개의 단어가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단어를 구성할 때 단어의 강세는 다음과 같이 출현한다. ##### 하나 이상의 강세가 있는 경우 - 즉 합성어를 구성하는 어휘소들이 자신의 강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 이 분류의 합성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놓인 단일어와 마찬가지로 강세 표기를 따로 붙지 않는다. ##### 하나의 강세만 있는 경우 - 합성어를 구성하는 어휘소들의 관계가 긴밀할 경우 음절수가 줄어드는데, 이럴 때 합성어의 강세가 마지막 음절에 놓이게 되면 해당 합성어의 강세 표기도 생략된다. - 만약에 강세 표지 다른 음절에 놓이게 되면 강세 표기를 붙는다. - 티베트어와 투르크어로부터의 차용어와 중국어로부터의 대부분 차용어의 강세는 보난어 고유어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 그러나 일부 최근에 중국어로부터 차용된 단어의 강세가 안정적이지 않아 강세를 넣든 그렇지 않든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다.
doc/bonan/1_phonology/13_supra/13_supra.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5 14:33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