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onan
»
2_wordclass
»
39_func : 기타 기능어 (function word)
추적:
•
25_adv : 부사 (adverb)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doc:bonan:2_wordclass:39_func:39_func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39_func : 기타 기능어 (function word) ###(1) 조동사 - 조동사는 동사의 분사형과 연결어미 그리고 일부 동사의 어간과 결합하여 시제나 상을 나타낼 수 있다. - 구체적인 결합 양상의 시제-상-서법 부분을 참고할 수 있다. - 일부 조동사가 일반 동사처럼 굴절 변화가 있지만 일부 조동사는 굴절 변화가 없다. - 체언이 문장의 술어 자리에 오게 되면 판당 동사가 쓰인다. - 존재 동사와 판단 동사는 직접증거성과 간접증거성을 구분하는 두 가지 체계가 있다. - 화자가 직접적으로 경험한 것이나 확실하게 아는 사실인 경우 i계 조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 직접적으로 경험한 것이 아닌 것이나 확실하게 아는 사실이 아닌 경우 a/o계 조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1) 판단 조동사와 존재 조동사 - 판단조동사와 존대조동사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 | 직접증거성 |간접증거성| |판단 조동사의 긍정형|i-, mbi- | o, mba| |판단 조동사의 부정형|ɕi- | ɕo | |존재 조동사의 긍정형|wi- | wa | |존재 조동사의 부정형|ɡi- | ɡinə | - i-와 o는 ‘이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 mbi-와 mba는 ‘바로 ~이다’정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 ‘i-’계에 i-, mbi-, ɕi-, wi-, ɡi-가 있다. - ‘a/o’계에 o, mba, ɕo, wa, ɡinə가 있다. - ‘i-’계의 조동사는 굴절 변화가 가능하지만 a/o계는 굴절 변화를 취할 수 없다. - 조동사가 동사 어간과 결합하는 양상의 시제-상-서법 부분을 참고할 수 있고 여기서는 체언과 결합하는 양상을 기술한다. {{{eg>bona1250 (buhe2008:356) bŭ baonaŋ kuŋ i. 1SG.NOM baoan people COP.DIREVID 나는 보난족 사람이다. }}} -‘i-’는 단독적으로 대답으로 쓰일 수 없다. 그러나 mbi와 mba는 가능하다. {{{eg>bona1250 (buhe2008:357) mənə ɡaɡə-də uerə wi. 1SG.GEN brother-DAT.LOC wife EXIST.DIREVID 우리 오빠(형)는 아내가 있다. }}} - 비직접적인 경험이나 확실한 사실이 아닌 경우 {{{eg>bona1250 (buhe2008:357) ndʑaŋ baonaŋ kuŋ o. 3SG.NOM baoan people COP.INDIREVID 그는 보난족이다. }}} - i계 조동사의 활용 양상 {{{eg>bona1250 (buhe2008:357) tɕĭ uar(ə)-dʑi i-ɡu taɕiə i. 2SG.NOM take-CVB COP.DIREVID-FUT.PTCP stone COP.DIREVID 네가 가지고 있는 것은 돌이다. }}} ####2) 능원(能願)조동사 - 능원동사는 da-‘ㄹ 수 있다’와 edə-‘ㄹ 수 없다’ 두 개가 있다. - 능원(能願)조동사는 주로 동사 어간 뒤에 출현한다. - 능원 동사는 굴절 변화가 있다. {{{eg>bona1250 (buhe2008:357) bŭ putɕĭ da-m. 1SG.NOM write can-PRS.DIREVID 나는 쓸 수 없다. (쓰다:写) }}} {{{eg>bona1250 (buhe2008:358) ndʑaŋ rə da-ɡu ɕo. 3SG.NOM come can-FUT.PTCP COP.NEG.INDIREVID 그는 올 수가 없다. }}} ####3) 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 - uărə-'완성하다'와 sou-'앉다'가 문법화되어 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가 된다. {{{eg>bona1250 (buhe2008:358) dʑi andər uăr(ə)-o. market disperse finish-PST.DIREVID 시장이 흩어져(파해) 버렸다. }}} {{{eg>bona1250 (buhe2008:358) moruŋdə minɕiu uar sou-dʑi-o. Huang.river ice be.iced sit-CVB-COP.INDIREVID 황하가 아직 얼어 있다. }}} ####4) 인용 표지 - ɡə-'하다'가 'ɡəsə'로 문법화되어 가정 부동사로 쓰일뿐 아니라 그의 앞에 오는 문장이 인용문임을 나타낸다. {{{eg>bona1250 (buhe2008:358) ʂədʑaŋ maχɕiə rə-ɡ(u) i ɡəsə manŋə kaiχuiɡ(ə)-e! boss tomorrow come-FUT.PTCP COP.DIREVID ASSUM.QUOT 1PL.INCL have.meeting-HORT 만약에 사장님이 내일에야 올 것이라고 하면 우리가 회의를 합시다. }}} ###(2) 어기 조사 ####1) 바람을 나타내는 어기 조사 - ju와 da는 명령/권유/경계 등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 뒤에 와 화자의 어떤 바람을 나타낸다. {{{eg>bona1250 (buhe2008:360) tɕĭ bəda-nə kətə nəɡə rə ju! 2SG.NOM 1PL.EXCL-GEN home one come PTCL 당신은 우리 집에 꼭 오세요~! }}} {{{eg>bona1250 (buhe2008:360) tɕĭ dʑiɡaŋχaŋ-ɡədʑi kal da! 2SG.NOM a.bit.low-ADVZ say PTCL 좀 작게 말해주세요! }}} ####2)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 의문문 조사 u, ʂa, ba는 의문 대명사가 없는 의문문 문말에 쓰인다. - u는 일반 의문문을 형성한다. - ʂa와 ba는 확인 의문문을 형성한다. {{{eg>bona1250 (buhe2008:360) ndʑaŋ kal dan(ə) u? 3SG.NOM speak dare Q 그는 감히 말할 수 있어? }}} {{{eg>bona1250 (buhe2008:360) tɕĭ mənə ɡatɕĭ-nə samo-ɡədʑi ɡoɡo ʂa?! 2SG.NOM 1SG.GEN word-GEN.ACC clear-ADVZ listen Q 너 내 말 똑똑히 들었지? }}} ####3) 재촉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 - se와 məse는 재촉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그들의 의미는 대체로 같지만, məse의 강도가 조금 더 높다. - 적용 범위: 명령문, 청유문, ‘일반 서술문+ u(의문조사)’ 구조 뒤에 쓰여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하도록 재촉하는 의미를 나타낸다. {{{eg>bona1250 (buhe2008:361) tɕĭ mənə kətə rə sə. 2SG.NOM 1SG.GEN home come PTCL 너는 (어쨌든) 우리 집에 와야돼! }}} {{{eg>bona1250 (buhe2008:361) awu, tɕĭ ɢatɕir-nə ɕir məse! kid 2SG.NOM ground-GEN.ACC clean PTCL 얘야, 네가 바닥을 청소해라! }}} {{{eg>bona1250 (buhe2008:359) aɡu, tχa nəɢadə ndəɡil(o) u se? girl, chicken few.days.ago produce.egg Q PTCL 딸아, 몇 일전에 닭이 알을 낳았어? 안 낳았어? }}}
doc/bonan/2_wordclass/39_func/39_fun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5 17:06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