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unu
»
2_wordclass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추적:
doc:bunu:2_wordclass:28_clf:28_clf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분류 부누어의 양사는 명양사(名量词)와 동양사(动量词)로 나누어진다. #### 명양사(名量词) {{{lex>buna1273 (mengchaoji2006:302) - [luŋ1] : 개 (ch. 个) - [kuŋ3] : 그루 (ch. 棵) - [tuŋ4] : 마리 (ch. 只) - [ka7] : 갈래 (ch. 条) - [tɕa2] : 갈래 (ch. 条) - [pjɔ7] : 가닥 (ch. 根) - [ŋku6] : 켤레 (ch. 双) - [hu5] : 쌍 (ch. 对) - [kjɔŋ5] : 떼 (ch. 群) - [ŋa3] : 무리 (ch. 帮) }}} {{{eg>buna1273 (mengchaoji2006:302) [au1 luŋ1 sɔŋ2] two CL table 책상 두 개 }}} {{{eg>buna1273 (mengchaoji2006:302) [pe1 kuŋ3 ntaŋ5] [three CL tree] 나무 세 그루 }}} #### 동양사(动量词) {{{eg>buna1273 (mengchaoji2006:302) [vaŋ6 i1′ he3] say one word 한 마디 하다. }}} {{{eg>buna1273 (mengchaoji2006:302) [muŋ4 tɬa1 pɔ3] go four time 네 번 가다. }}} ### 기능 * 1′ - 4′ 성조로 구성된 명사가 분류사로 쓰일 때는 성조를 통해 명사인지 분류사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4조는 1, 2조와 1′, 2′조 뒤에 성조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문장에서 명사인지 분류사인지를 구분하기 어렵고 문맥에 따라 알 수 있다. ^ NOUN ^ CL ^ ^ | [phju1′] | [pjau1] | 주머니/포켓 (ch. 口袋) | | [tɕaŋ2′] | [tɕaŋ2] | 장/조롱 (ch. 笼) | | [tɔŋ3′] | [tɔŋ3] | 통 (ch. 桶) | | [viŋ4′] | [viŋ4′] | 냄비 (ch. 锅) | * 명양사와 수사가 결합한 수량사구는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앞에 놓인다. 명양사와 명사가 결합한 양명사구는 지시대명사의 수식을 받을 때 지시대명사 앞에 놓인다. {{{eg>buna1273 (mengchaoji2006:303) [au1 tuŋ4 tɬe3] two CL dog 개 두 마리 }}} {{{eg>buna1273 (mengchaoji2006:303) [luŋ1 pje3 uŋ1] CL house that 저 집 }}}
doc/bunu/2_wordclass/28_clf/28_cl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0/21 15:52 저자
kalina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