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uyi
»
4_ss
»
41_cl : 절(clause)
»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추적:
•
tame_mir : 의외성 (mirativity)
doc:buyi:4_ss:41_cl:cl_grole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 부이어의 문장 성분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 등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① 명사, 수사, 대명사 그리고 구 등이 주어가 될 수 있으며 특정 환경에는 형용사 등도 주어 역할을 할 수 있다. ② 술어는 동사, 형용사, 명사가 담당한다. ‘주어+술어’나 ‘수사+분류사’의 구도 술어 역할을 할 수 있다. ③ 목적어는 주로 명사, 대명사, 구, ‘的’구문 등이 담당하여 동사 뒤에 붙는다. 필요성이나 강조를 나타내기 위해 전치사나 부사를 쓰임으로 목적어를 동사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④ 동사와 형용사가 부어가 될 수 있고 보어는 중심어 뒤에 붙는다. ⑤ 명사, 대명사, 형용사, ‘수사+분류사’ 구, 동사 등이 관형어가 될 수 있고 주로 중심어 뒤에 붙는다. ⑥ 부사, 형용사, 시간명사, 조동사(능원동사), 방향이나 처소를 나타태는 합성어 혹은 전치사구 등이 부사어가 될 수 있고 주로 중심어 앞에 붙는다. - 이 외에 부이어 문장에는 동격어(同位語)과 독립어(外位語) 구성도 있다. ⑦ 동격어는 서로 대등한 두 구성이 한 문장에서 같은 일을 지시하거나 같은 역할을 한다. 부이어에서 동격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대명사, 수사 혹은 분류사를 중심으로 하는 구이다. {{{eg>qian1266 (yucuirong2009:133) [ti35 pu31laːu31 Nuan11Nuan11 suan35 tu35]. 3SG senior everyday teach 1PL 그 어르신이 맨날 우리를 가르치신다. }}} ⑧ 독립어는 문두에 놓인다. 문장 사이에 발음 휴지가 있고 뒤 문장에는 대명사가 있다. {{{eg>qian1266 (yucuirong2009:133) [lM?11sai33 ni31], [me53 ti35 si35 pu31laM11]? child DEM mother 3SG COP Q 이 아이, 그의 어머님이 누구입니까? }}}
doc/buyi/4_ss/41_cl/cl_grol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