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uyi
»
8_lexicology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추적:
doc:buyi: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 부이어의 합성어 구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 ① 병렬식 - 병렬식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는 독자적인 의미를 가진 두 단어가 합쳐서 새로운 의미를 가진 합성어가 된다. [dM:n35] 달 + [Nuan11] 날 => [dM:n35 Nuan11] 생활 [tin35] 발 + [vMN11] 손 => [tin35 vMN11] 솜씨 #### ② 중심어와 수식어의 결합 방식 - 수식식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는 부이어 어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다. - 구성: 중심어 + 수식어 ##### Ⓐ 중심어 + 명사성 수식어 [na13] 얼굴 + [Ga:i11] 신발 => [na13 Ga:i11] 구두의 등 [zam31] 물 + [ta35] 눈 => [zam31 ta35] 눈물 ##### Ⓑ 중심어 + 형용사성 수식어 [tuN31] 배 + [un33] 부드럽다 => [tuN31un33] 아랫배 [piN53] 병 + [zo11] 메마르다 => [piN53 zo11] 폐병 ##### Ⓒ 중심어 + 동사성 수식어 [zin35] 돌 + [pan11] 갈다 => [zin35 pan11] 숫돌 [zum11] 바람 + [ʨiau13] 회전하다 => [zum11 ʨiau13] 회오리바람 #### ③ ‘동사+목적어’의 결합 방식 - 동사와 목적어는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지만 둘이 결합되면 의미상의 확장이 생기게 된다. [zo31] 알다 + [na13] 얼굴 => [zo31 na13] 알다 [GMn13] 오르다 + [tu35] 문 => [GMn13 tu35] 데릴사위가 되다 #### ④ 보충식 - 세를 나타내는 동사나 일반 명사가 보충 성분이 될 수 있다. [kwa33] 지내다 + [pai35] 가다 => [kwa33 pai35] 과거 [jian13] 노랗다 + [ʨim35] 금 => [jian13 ʨim35] 금황색 #### ⑤ 주어와 술어의 결합 방식 [pa:?33] 입 + [na?35] 무겁다 => [pa:?33 na?35] 과묵하다 [Go22] 목 + [da:t33] 뜨겁다 => [Go22 da:t33] 화가 나다 #### ⑥ 통칭+특칭 - 부이어에서 보통 사물 특유의 명칭은 단독적으로 쓰이지 않다. [lM?11] 아들 + [va35] => [lM?11 va35] 쌍둥이 [pi35] 해 + [tau35] => [pi35 tau35] 재작년
doc/buyi/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