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choyo
»
2_wordclass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추적:
•
27_num : 수사 (numeral)
•
34_conj : 접속사 (conjunction)
doc:choyo:2_wordclass:28_clf:28_clf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취에위어는 비교적 다양한 양사를 가지고 있고 명량사(名量詞)와 동량사(動量詞)로 양분할 수 있다. 흔히 사용된 명량사는 다음과 같다. {{{lex>quey1238 (sunhongkai2007:1068) | 개체 명량사 | ‘zɿ⁵³ 개’, ‘bõ⁵³ 그루’, ‘mi⁵⁵ 칸(間)’, ‘re⁵⁵ 건(件)’, ‘se³⁵ 조(條)’ 등 | | 단체 명량사 | ‘lo⁵⁵ 무리, 군(群)’, ‘ʂɿ³⁵ 둥지, 움집, 와(窩)’, ‘si⁵³ 꼬치’, ‘pã⁵⁵ 무리, 패, 화(伙)’, ‘tã⁵⁵ 무리, 방(帮)’ 등 | | 짝수 명량사 | ‘tɕhi³⁵ 쌍, 짝’, ‘re³⁵ 벌, 세트’ 등 | | 길이 명량사 | ‘lõ⁵⁵ 발(庹, 두 팔을 벌린 길이, 약 5척(尺)에 해당함)’, ‘pɯ⁵³ 뼘(拃, 손가락을 벌린 거리)’ 등 | | 중량 명량사 | ‘dʑe⁵³ 근(斤)’, ‘sõ⁵⁵ 냥(兩)’ 등 | | 용량 명량사 | ‘thõ⁵⁵ 되(升)’, ‘sa⁵³ 말(斗)’ 등 | }}} - 명사에서 차용된 명량사도 있다. {{{lex>quey1238 (sunhongkai2007:1068) | dʑe³⁵ na³⁵ sa³⁵ 차 두 그릇 | ʑi³⁵ na³⁵ zõ³⁵ 물 두 통 | | 차 둘 그릇 | 물 둘 통 | }}} - 동량사는 주로 동작 또는 행위의 횟수를 나타낸다. {{{lex>quey1238 (sunhongkai2007:1068) | na³⁵ dʑe⁵³ kə⁵⁵tõ⁵³ 두 끼니 먹다 | na³⁵ kuɐ⁵³ lə⁵³ɕõ⁵³ 두 번 가다 | so³⁵ ti⁵³ lə⁵⁵rɐ⁵³ 세 번 때리다 | | 둘 끼니 먹다 | 둘 번 가다 | 셋 번 때리다 | }}}
doc/choyo/2_wordclass/28_clf/28_cl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7 22:37 저자
마영리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