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chukchi
»
2_wordclass
»
22_noun : 명사 (noun)
추적:
•
22_noun : 명사 (noun)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100%
doc:chukchi:2_wordclass:22_noun:22_noun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2_noun : 명사 (noun) - 명사의 문법 범주: 격, 인칭, 소유에 따라 분류한다. - 모든 명사가 인간(человек-личность)/비인간 범주로 나눈다. - 인간범주는 'мэӈин'(누구?) 질문에 답한다. - 비인간 범주는 'ръэнут?' (무엇/누구) 질문에 답하고, '비인간' 명사는 의인화로 쓰일때(예:애완동물) 인간의 범주의 'мэӈин'(누구?) 질문에 답한다. 'ръэнут?(무엇/누구)'는 명사 대신이 모르는 경우에 쓰일 수도 있다. ### 명사의 격변화 명사의 격어미 활용법은 3가지가 있다. ### I 격변화 - I 격변화 9격을 가진다(사람 제외하고 '물건'을 뜻하는 모든 명사를 포함한다). - I 격변화의 특징은 명사의 '수'는 주격에만 있고 다른 격에서는 분류하지 않는다. #### 명사 'милгэр'(총)의 격변화 패러다임 | 격 | 격어미/단수 | 복수 | | 주격 | милгэр| милгэр-ти | | 조격 | милгэр-э | милгэр-э | | 처격 | милгэр-ык | | 탈격 | милгар-гыпы | | 여-향격 | милгар-эты | | 향격 | милгэр-ыгйит | | 동반격 | гэ-милгэр-э | | 공동격 | га-мэлгар-ма | | 방향격 | милгэр-у | ### II 격변화 - II 격변화는 7격밖에 없다(가족(어머니, 아버지 등), 애완동물 별명 그리고 모든 고유 명사가 포함) #### 명사 'Рултын' (사람 이름), 'атэ'(아버지)의 격변화 패러다임 | 격 | 격어미 | | NOM | 단수 | Рулт-ын | атэ | | | 복수 | Рулт-ынти | атэ-нтэ | | ERG-INST | 단수 | Рулт-ынэ | атэ-на | | | 복수 | Рулт-ырык | атэ-рык | | LOC | 단수 | Рулт-ынэ | атэ-на | | | 복수 | Рулт-ырык | атэ-рык | | ALB | 단수 | Ролт-эпы | атэ-йпы | | | 복수 | Ролт-ыргыпы | атэ-ргыпы | | ALL | 단수 | Ролт-ына | атэ-на | | | 복수 | Ролт-ырыкы | атэ-рыкы | | ORI | 단수 | Рулт-ыгйит | атэ-гъет | | | 복수 | Рулт-ырыгйит | атэ-рыгъет | | ASS | 단수/ 복수 | Рулт-ыну | атэ-но | ### III 격변화 - III 격변화는 I 격변화와 격체계와 격어가 일치하고 II 격변화처럼 복수형이 있다. 다만, III 격변화는 II 격변화처럼 특수 / 단수 형태가 없고, II 격변화에 없는 수반격(복수형) 형태가 있다. - III 격변화를 보통명사가 가진다 (사람 가족 제외) ### 명사의 수 - 명사는 단수, 복수 형태가 있다. - 명사의 복수 표지는 접사 -лар, 그리고 접두사 –т-로 만든다. ### 명사의 인칭변화 - 명사의 인칭변화는 2 유형으로 나눈다. 하나는 사람만 제시하는 명사, 하나는 어떤 물건을 소유하는 사람을 가르킨다(꼭 사람이 아니어도 됨). #### (1) 유형 | | SG | | 1 | мик-игым? | ынпыначг-эгым | эккэ-йгым | | 2 | мик-игыт? | ынпыначг-эгыт | эккэ-йгыт| | 3 | мэӈин? | ынпынычг-ын | экык | | | PL | | 1 | мик-ымури? | ынпыначг-ыморэ | эккэ-мури| | 2 | мик-ытури? | ынпыначг-ыторэ | эккэ-тури| | 3 | мик-ынти? | ынпынычг-ыт | эккэ-т | ####(2) 유형 | | SG | | 1 | гэ-мик-игым? | гэ-ӈинӄэй-игым| гэ-рэӄ-игым? |гэ-купрэ-йгым| | 2 | гэ-мик-игыт? | гэ-ӈинӄэй-игыт | гэ-рэӄ-игыт?| гэ-купрэ-йгыт| | 3 | гэ-миг-лин? | гэ-ӈинӄэг-лин | гэ-ръэ-лин? |гэ-купрэ-лин| | | PL | | 1 | гэ-мик-игым? | гэ-ӈинӄэй-игым| гэ-рэӄ-игым? |гэ-купрэ-йгым| | 2 | гэ-мик-игыт? | гэ-ӈинӄэй-игыт | гэ-рэӄ-игыт?| гэ-купрэ-йгыт| | 3 | гэ-миг-лин? | гэ-ӈинӄэг-лин | гэ-ръэ-лин? |гэ-купрэ-лин| ### 소유 명사 - 소유 범주는 접미사 -ин(э)/-эн(а)과 결합해서 만든다. {{{eg>chuk1273 (skorik1997:29) ытлыгы-ин валы father-POSS.GEN3SG knife 아버지의 칼 }}} ### 명사의 단수 접사 ^접사^예문^ | -(ы)н(ы) | о'равэтԓьан-н(사람), кэйӈ-ын(곰), ӈэг-ны(산) | | -ӈы | ӄора-ӈы(사슴) | | -ԓгын | мэԓёта-ԓгын(토끼) | | -ԓыӈын | аӈат-ԓыӈын(별) | | -ытԓыӈын | а'р-ытԓыӈын(손가락) | | -ӈэ(выт)/ -ӈа(выт) | Руԓты-ӈэ(выт) | | -вйи/ -въе | Кэԓьэ-вйи | ### 명사의 복수 접사 ^ 접사 ^ 명사 ^ | -т | ӄора-т(사슴들) | | -ыт | тумг-ыт(친구들) | | -ти/-ты | ӄлявыԓ-тэ(남자들) | | -нти/ -нтэ | Руԓты-нти, ыммэмэ-нти(엄마들) | ### 관계 명사 (относительная форма) - 명사가 어떤 물건, 장소나 시간과 관계가 있을 때 쓰인다. - 접사 '-кин(э)/-кэн(а)'을 가진다. {{{lex>chuk1273 (skorik1997:30) - эмнуӈ-кин гынник : 툰드라에서 온 동물 - мычыквы-кэн мумкыл : 셔츠의 단추 }}} ### 부정 명사 {{{lex>chuk1273 (skorik1968:256) - э-ӈилг-ыкэ : 벨트 없이 (ӈилг-ын - 벨트) - а-ӄора-ка : 사슴 없이 (ӄора-ӈы - 사슴) }}} ### 한정 명사 {{{lex>chuk1273 (skorik1966:256) - эм-милютэт : 토끼만 - ам-валят : 칼만 }}} ### 호격 명사 -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lex>chuk1273 (skorik1968:257) - ӈэвысӄэт! : 여자 - чавчыват!: 집시 }}}
doc/chukchi/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5 20:48 저자
lisa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