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dai
»
2_wordclass
»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추적:
doc:dai:2_wordclass:33_adp:33_adp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다이어의 부치사 중에는 동사로부터 전화된 것들이 있다. 그 중 현재도 여전히 동사로서 서술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부치사구는 일반적으로 동사 혹은 형용사를 수식하거나 보충하는데 쓰이는데, 수식할 경우는 동사와 형용사 앞에 놓이고 보충할 경우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놓인다. 부치사구는 시간, 장소, 방향, 목적, 비교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 1) 장소, 시간, 방향을 나타내는 부치사 장소, 시간, 방향을 나타내는 시수앙반나 방언의 부치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nai2 혹은 ju5 nai2 : - 안에 - taŋ3 tɛ5… thɯŋ1… : -로부터 –까지 - luk8 : -로부터 - hɯ3 : -에게 - tɔ5 : -에 대하여, -를 향하여 - sai5 : -에게 (베풀다) 이 중에서 ‘luk8 : -로부터’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5) To1xa3 luk8 p4tsin6 ma2 1SG PREP.from Peking come 나는 북경에서 왔다. }}} ‘hɯ3 : -에게’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5) Xau1 bɔk9 hɯ3 to1xa3 3SG tell PREP 1SG 그는 나에게 말했다. }}} 장소, 시간, 방향을 나타내는 더홍 방언의 부치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ti6 : -에 - ju5 : -에 - luk8 : -로부터 - tsem6 : -로부터, -부터 시작 - to5 : -에 대하여, -를 향하여 이 중에서 ‘ti6 : -에’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5) kau6 het9 la3xɔŋ1 ti6 pə3tsin6 1SG do work PREP.at Peking 나는 북경에서 일한다. }}} ‘to5 : -에 대하여, -를 향하여’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Maɯ2 taːn3 to5 phaɯ1 2SG speak PREP.toward WHQ 너는 누구에게 말하니? }}} ### 2) 원인, 목적을 나타내는 부치사 시수앙반나 방언에서 원인, 목적을 나타내는 상용 부치사로는 ‘pə6 : -을 위하여, -때문에’ 가 있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thaːm2 kaːn1 pə6 phai6məŋ2 take.responsibility work PREP.for people 대중을 위해서 복무하다 }}} 더홍 방언에서 원인, 목적을 나타내는 사용 부치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kɔp8 : -을 위하여, - 때문에 - kɔp8lai3 : -을 위하여, - 때문에 - kɔp8an6 : -을 위하여, - 때문에 - haɯ3 : -을 위하여 이 중에서 ‘haɯ3 : -을 위하여’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kau6 sɔm3 phak7 haɯ3 taŋ2laːi1 1SG sow vegetable PREP.for everybody 나는 모두를 위해서 채소를 심는다. }}} ### 3)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부치사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부치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tsɔm2 : -와, -를 따라서 - naŋ3 (tə4) : -와 - hum6 (hom6) : -와 이 중에서 ‘naŋ3 : -와’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Pai1 naŋ3 phai1 go RECP.and WHQ 누구와 가니? }}} ### 4) 피동을 나타내는 부치사 피동을 나타내는 부치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tso3 - se1 (시수앙반나 방언에서만 쓰인다) ‘tso3’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Xau3 tso3 kai5 sak7 kin1 sam4 hən3 grain PASS chicken peck eat finish PFV 곡식이 닭에 의해서 모두 쪼아 먹혔다. }}} ‘se1’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se1 nam4 thom3 PASS water sink 물에 의해서 잠기다 }}} ### 5) 비교를 나타내는 부치사 시수앙반나 방언에서는 비교를 나타내는 부치사로 다음을 사용한다. - lə1 : -보다 - mən1 : 마치—와 같다 - mən1daŋ5 : 마치 –와 같다, –와 같다 ‘lə1’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Xau1tsau3 pi1 lə1 to1xa3 sɔŋ1 pi1 3SG brother COMPAR 1SG two year.old 그는 나보다 두 살이 많다. }}} ‘mən1’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mə4 mai3 mən1 fai2 meat hot COMPAR fire 온 몸이 불처럼 뜨겁다. }}} 더홍 방언에서는 비교를 나타내는 부치사로 다음을 사용한다. - si1 : -보다 - taːn5 : 마치 –와 같다 - mən1 : 마치—와 같다 ‘si1’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man2 kai4xak7 si1 kau6 3SG diligent COMPAR 1SG 그는 나보다 부지런하다. }}} ‘mən1’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Man2 jɔm1 mən1 kau6 3SG skinny COMPAR 1SG 그는 나처럼 말랐다. }}} ‘taːn5’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luuu1242 (yucuirong2009:336) tɔŋ4 kɛn2 taːn5 mit8 tɛŋ2 stomach very.painful COMPAR knife stab 배가 칼로 찌르는 것처럼 아프다. }}}
doc/dai/2_wordclass/33_adp/33_ad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5:16 저자
박성하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