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dargwa
»
1_phonology
»
11_cons : 자음 (consonant)
추적:
•
23_verb : 동사 (verb)
•
41_cl : 절(clause)
doc:dargwa:1_phonology:11_cons:11_cons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1_cons : 자음 (consonant)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ipa ^ | labial | plosive | б, п | b, p | | labial | plosive-ejective | пӀ | [p_>] | | labial | fricative | в | v | | labial | sonorant | м | m | | dental | plosive | д, т | d, t | | dental | plosive-ejective | тӀ | [t_>] | | dental | affricate | дз, ц | [dz], [ts] | | dental | affricate-ejective | цӀ | [ts_>] | | dental | fricative | з, с | z, s | | dental | sonorant | н | n | | alveolar | affricate | дж, ч | [dZ], [tS] | | alveolar | affricate-ejective | чӀ | [tS_>] | | alveolar | fricative | ж, ш | [Z], [S] | | alveolar | sonorant | р, л | r, l | | palatal | fricative | й | [j\] | | velar | plosive | г, к | g, k | | velar | plosive-ejective | кӀ | [k_>] | | velar | fricative | г̌ , хь | [G], x | | uvular | plosive | къ, хъ | [G\], [q] | | uvular | plosive-ejective | кь | [G\_>] | | uvular | fricative | гъ, х | [R], [X] | | pharyngeal | fricative | гӀ, хӀ | [?\], [X\] | | laryngeal | plosive-ejective | ъ | [?_>] | | laryngeal | fricative | гь | [h\] | ###### Musaev(2001:339) - 기본자음 37개로 이루어진 위 자음음소표의 출처는 Musaev(2001:339)이며, 여기에는 ф (f)가 러시아어 등에서의 차용어에만 쓰인다고 보아서 포함되어있지 않다. 반면, Musaev(2001a:358)에는 ф (f)가 자음음소표에 포함되어 있다 - 다르구아어는 다른 다게스탄어군에 비해서는 음성적으로 비교적 단순하다고 볼 수 있다 - 다른 다게스탄어군에서 볼 수 있는 non-aspirate voiceless, 이중자음 (geminate/ геминированные согласные), labialized consonants 부재 - 그러나 자음 음소가 70개에 달하는 방언도 있다 - 방출음(ejective)이 특징적이다 - 다르구아어 자음에 연경(soft/hard) 대립은 없지만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연자음이나 щ와 같은 음운이 단어에 나타날 경우 철자에 반영되기도 한다
doc/dargwa/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3/16 02:53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