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dargwa
»
2_wordclass
»
23_verb : 동사 (verb)
추적:
doc:dargwa:2_wordclass:23_verb:23_verb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3_verb : 동사 (verb) - 다르구아어 전체 어휘의 2/3 정도가 동사에 해당한다 (최근 7.6만 단어가 수록된 사전 중에서 4.9만 단어가 동사였다; Abdullaevetal2014:256) - 다르구아어 동사에는 클래스, 수, 상, 서법, 시제, 인칭의 문법범주가 있다 - 용법상으로는 타동사와 자동사가 구분된다. 타동사와 자동사는 문장의 필수요소 외에 동사 활용의 형태에서도 차이가 난다. 예를 들어서 타동사의 미래시제는 -а, -у 표지가, 자동사 미래시제는 -н, -р이 쓰인다(48_TAME 문서 참고). 자동사와 타동사 모두 사동동사로 만들 수 있다 - 타동/자동성과 상 범주는 동사의 의미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어서 다른 범주(클래스, 수, 시제, 인칭, 서법)과 달리 모든 동사에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 - Abdullaev(1969:125)에 따르면 하나의 동사 어휘가 클래스, 수, 시제, 인칭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형태가 690개에 이른다(Abdullaevetal2014:256에서 재인용) - 동사의 부정형으로 부정사, 마스다르, 형동사, 부동사가 있다 - 다르구아어 동사의 부정사는 접미사 -ес/-эс 형태를 취한다. - 어간과 접미사로 이루어진 (합성, 파생 등이 일어나지 않은) 기본동사는 전체 동사의 8% 정도인 200여개로 많지 않다 - 기본동사의 어간은 보통 1음절이며 자음으로 끝나는데, 아래 4개 동사는 어간에 모음이 없이 자음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258) - х-ес : bring-INF - к-ес : lead-INF - г-ес : give-INF - эс ( <- ъ-эс) : speak.INF }}} - 동사의 어간 중 ъ는 접미사와 결합할 때 표준어에서는 형태가 사라지지만 ъ 철자가 남아있는 방언도 있다 - 기본동사 앞에 접두사나 다른 요소가 결합하여 복합동사를 만들 수 있다 - 200여개의 기본동사 중 112개 앞에 공명음 р, л, м 및 б, щ, ж, с가 함께 쓰일 수 있다 - 200여개의 기본동사 중 150개에는 클래스 표지가 함께 쓰일 수 있다 ##### 동사의 구조 - 동사의 부정은 хӀе-, ма-와 결합하여 나타낸다 (동사와만 결합하는 부정 접사) - 동사의 어근 앞에는 클래스 표지, thematic vowel, accompayning consonant가 올 수 있다 - accompanying consonant : р (60), л (25), м(15), б(7), ш(2), ж (2), с (1)가 올 수 있다. 200개의 단순형동사중112개 동사가 accompanying consonant와 결합한다(자음 뒤 숫자는 결합하는 동사의 수) - thematic vowel: 어간이 무음절인 위의 4개동사를 제외한 모든 기본동사 결합하며, 모든 모음(а, я, е, и, у)이 올 수 있다 ^ class marker + thematic vowel + accompanying consonant ^ root ^ INF ^ 동사의 뜻 ^ | ба- | -кӀ- | -ес | come | | би- | -кӀ- | -ес | 1)speak, 2) choose | | бер- | -кӀ- | -ес | drive an animal | | а- | -кӀ- | -ес | be born | | бел- | -кӀ- | -ес | write | | бал- | -кӀ- | -ес | twist | | рур- | -кӀ- | -ес | ooze | | бу- | -кӀ- | -ес | drip | ##### 동사의 클래스 표지 - 클래스 표지는 200여 개의 기본동사 중 150개 동사에 나타나며 기본동사 어간의 제일 앞에 온다.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1) дура-в-яхъ-ес out-G1-expell-INF 좇아내다 }}} - 기본동사에서 파생된 복합동사에는 클래스 표지가 단어의 중간에 올 수 있다. 이 때 복합동사의 G1 표지 в-는 음성적 요인으로 인해 탈락되기도 한다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261) - пикри-ухъес : to think (<- пикри-в-ухъес) - чедиикес : to conquer (<- чеди-в-икес ) - чевалкӀес : to get lost (<- чеввалкӀес <- чев-валкӀес) }}} - 명사의 클래스 표지와 마찬가지로 동사의 클래스 표지 역시 단수에서는 3가지, 복수에서는 2가지로 구분된다: 1클래스 -в, 2클래스: -р, 3클래스 -б, 4클래스 : -б, 5클래스 : д/р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Урши в-акӀ-иб boy G1-come-AOR 소년이 왔다 (G1: 단수 남성)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Рурси р-акӀ-иб girl G2-come-AOR 소녀가 왔다 (G2: 단수 여성)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Унц б-акӀ-иб bull G3-come-AOR 소가 왔다 (G3: 단수 그 외)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Урш-би б-акӀ-иб boy-PL G4-come-AOR 소년들이 왔다 (G4: 복수 유정)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Рурс-би б-акӀ-иб girl-PL G4-come-AOR 소녀들이 왔다 (G4: 복수 유정)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Унц-и д-акӀ-иб bull-PL G5-come-AOR 소들이 왔다 (G5: 사람 외 복수) }}} - 일반적으로 동사의 클래스는 주격 명사의 클래스와 일치한다. 즉, 능격문장에서는 목적어와 클래스 일치한다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Неш-ли кагъар б-е-л-кӀ-ун mom-ERG letter(G3) G3-TV-CONN-write-AOR 엄마는 편지를 썼다 }}} - 한편, 형동사/부동사 형태로 쓰이는 타동사는 능격문장에서 함께 쓰는 조동사가 주어(능격) 또는 목적어(주격)과 클래스 일치를 보일 수 있다. 묘사되는 행위가 주어로부터 기인하여 주어를 향하는 것으로 묘사될 때는 주어와 클래스를 일치시키고 (목적어의 의미를 약화시킨다), 반대로 목적어의 위치가 통사적으로나 의미적으로도 강할 때는 조동사를 목적어(주격)와 클래스 일치시킨다.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Неш-ли дурхӀя валху-ли сари mom(G2)-ERG baby feed-CVB COP.G2 엄마가 아기에게 밥을 준다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0) Неш-ли дурхӀя валху-ли сай mom-ERG baby(G1) feed-CVB COP.G1 엄마가 아기에게 밥을 준다 }}} - EXIST의 클래스 표지는 아래와 같다 ^ EXIST ^ G1 ^ G2 ^ G3 ^ | 여기(1인칭)에 있다 | лев | лер | леб | | 멀리 위에 있다 | кӀев | кӀер | кӀеб | | 멀리 아래에 있다 | хев | хер | хеб | | 멀리 옆에 있다 | тев | тер | теб | ##### 동사의 수 표지 - 자동사는 항상 주어와 수 일치한다 - 타동사의 경우, - 1) 동사의 클래스 표지는 목적어와 수 일치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4) Хӏу-ни къараул в-алт-а-д 2SG-ERG watchman(G1) G1.OBJ.AGR-leave-FUT-2 너는 파수꾼을 두고 떠날 것이다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4) Хӏу-ни къараул-ти б-алт-а-д 2SG-ERG watchman-PL G4.OBJ.AGR-leave-FUT-2 너는 파수꾼들을 두고 떠날 것이다 (G4: 복수 유정) }}} - 2) 동사의 어미는 주어와 수 일치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4) Хӏу-ни къараул в-алт-а-д 2SG-ERG watchman(G1) G1.OBJ.AGR-leave-FUT-2 너는 파수꾼을 두고 떠날 것이다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4) Хӏуша-ни къараул в-алт-а-д-а 2PL-ERG watchman(G1) G1.OBJ.AGR-leave-FUT-2-PL 너희는 파수꾼을 두고 떠날것이다 }}} ###### 복수를 나타내는 동사 어미 - 복수를 나타내는 동사 어미로는 -а, -ая, -я, -рая, -е가 있다 - 동사의 복수어미가 모든 동사의 활용형에 쓰이는 것은 아니다 - 복수표지 -а는 오늘날 1, 2인칭 대명사의 복수형에 흔적만 남았다고 볼 수 있다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266) - ну : 1SG - нуша : 1PL - хӏу : 2SG - хӏуша : 2PL }}} - 동사 수를 표현하는 두가지 방식이 함께 쓰여서 수 일치가 이중으로 보이는 경우도 가능한데 이것은 본래 다르구아어에서는 동사의 수 일치를 클래스 표지로 표현하다가 나중에 동사의 인칭 어미 문법이 발달하면서 두 시스템이 혼재된 결과로 보인다 - (타동사는 클래스 표지로 목적어의 수, 동사어미로 주어와 수일치를 동시에 보인다) {{{eg>darg1241 (Abdullaevetal2014:267) Хӏуша-ни дила узи в-алад-ая 2PL-ERG my brother(G1).SG G1.OBJ.AGR-know-PL 너희들은 내 형제를 안다 }}} ##### 동사의 상 -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 동사는 완망상과 비완망상의 짝을 이룬다 - 다르구아어의 상 대립은 일회성/ 완료성 vs. 다회성, 지속성, 미완료성의 대립이다 ###### 상의 쌍 - 1) 어근 앞 모음교체: (완망상) mid/low vowel (е, а) -> (비완망상 high vowel (и, у) {{{lex>darg1241 (Musaev2001:342) - барес : do.PFV & бирес : do.IPFV - батес : leave.PFV & балтес : leave.IPFV }}} {{{lex>darg1241 (Musaev2001a:363) - бебкӀес : die.PFV & бубкӀес : die.IPFV - белкӀес : write.PFV & лукӀес : write.IPFV }}}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120) - бакес : anoint.PFV & бикес : anoint.IPFV - аргъес : understand.PFV & иргъес : understand.IPFV - балгьес : melt.PFV & булгьес : melt.IPFV - бемжес : get.warm.PFV & бумжес : get.warm.IPFV }}}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273) - базес : swim.PFV & бизес : swim.IPFV - баргес : find.PFV & бургес : find.IPFV - арцес : fly.PFV & урцес : fly.IPFV }}} 2) 비완망상 어간에 접요사 -р-, -л-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273) - бицес : sell.PFV & бирцес : sell.IPFV - батес : leave.PFV & балтес : leave.IPFV }}} 3) 완망상 동사의 클래스 표지 (때로는 어근 앞의 р도) 탈락. 그 걸과 어간이 л로 시작할 때는 TV у 삽입)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273) - белгӀес : count.PFV & лугӀес : count.IPFV }}}
doc/dargwa/2_wordclass/23_verb/23_verb.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3/16 03:16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