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dargwa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tame_tense : 시제 (tense)
추적:
doc:dargwa:4_ss:48_tame:tame_tense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tame_tense : 시제 (tense) ##### 시제 및 시제-상(서법) 활용예시 ^ 시제 ^ write의 활용형태 ^ 의미 ^ | 아오리스트 (과거-완망 직설) | белкӀун | 다썼다 (написал) | | 임퍼펙트 (과거-비완망 직설) | лукӀи | 썼다 (писал) | | 퍼펙트 (과거-결과) | белкӀира | 다 쓰였다 (написано есть) | | 대과거 (플루퍼펙트) | белкӀири | 이미 다 쓰였다 (было написано к тому времени) | | 과거-가정 | белкӀиши | 썼을텐데 (может быть, написал бы) | | 현재-직설 | лукӀулра | 쓴다 (пишу) | | 미래-가정 | белкӀиша | 아마 쓸 것이다 (может быть, напишу) | | 미래-직설 | лукӀас | 쓸 것이다 (напишу) | - 위에 예시로 사용된 '쓰다' 동사의 부정사 형태는 лукӀес (비완망상) ~ белкӀес (완망상) 이다. ### 과거시제 #### 1) 아오리스트 (과거-완망 직설) - 화자가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한 과거의 사실 - 직접 보지 못했더라도 믿을 수 있고 확실히 일어난 과거의 사실 - 완망상 어간 + -иб, -уб, -ун, -ур (-иб가 50% 이상, -уб가 가장 적게 사용됨) - 동사의 타동성 및 어간의 음성적 특성에 따른 접미사 선택 (기준이 명확하지는 않음) - -иб : 타동사 - -ур : 자동사, 어간에 -м-이 있는 동사 - -ун : 어간에 -л-이 있는 동사 #### 2) 임퍼펙트 (과거-비완망 직설) - 발화시점까지 완료된 사건, 오랫동안 지속된 사건, 과거에 반복된 사건 - 비완망상 어간 + 접미사 -и {{{eg>darg1241 (Abdullaevetal2014:301) ДурхӀя вахъхӀи вис-и child for.long cry.IPFV-IMPERF 아이는 오래 울었다 }}} #### 3) 퍼펙트 (과거-결과) - 과거에 일어난 사건의 결과가 발화시점까지 유지되어 과거와 현재가 복합되어있는 시제 - 동사의 부동사형 + 조동사 сай - 1, 2인칭에서는 부동사와 조동사가 축약된 형태로 쓰일 수 있다 ^ 인칭 ^ 분석적 방식 ^ 통사적 방식 ^ 의미 ^ | 1 | багьурли сайра | багьурлира | 나는 알아냈다 | | 2 | багьурли сайри | бугьурлири | 너는 알아냈다 | | 3 | багьурли сай | 없음 | 그는 알아냈다 | #### 4) 대과거 (플루퍼펙트) - 완망상 대과거: 완망상 부동사 + 조동사 과거 {{{eg>darg1241 (Abdullaevetal2014:305) бат-урли сай-ри -> бат-урли-ри leave.PFV-CVB COP-2 -> leave.PFV-PST.REM-2 너는 이미 떠났다 }}} - 비완망상 대과거: 비완망상 부동사 + 조동사 과거 {{{eg>darg1241 (Abdullaevetal2014:305) балт-ули сай-ри -> балт-ули-ри leave.IPFV-CVB COP-2 -> leave.IPFV-PST.REM-2 너는 이미 떠났다 }}} ####5) 과거-가정 특정 조건이 맞으면 일어났을 수 있는 사건 (~했을텐데) ### 현재시제 - 비완망상 동사의 부동사 + 조동사 сай (сари, саби) - 3인칭 현재시제는 동사의 비완망상 부동사 형태를 조동사 сай (G1), сари (G2), саби (G3), ахӀен (NEG)와 결합하여 표현한다. {{{eg>darg1241 (Abdullaevetal2014:307) ит учӀ-ули сай 3SG read.IPFV-CVB COP.G1 그는 읽고있다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120) бир-ули сай do.IPFV-CVB COP.G1 (그는) 하고 있다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120) бир-ули ахӀен do.IPFV-CVB NEG.COP (그는) 하고 있지않다 }}} - 1, 2인칭의 현재시제는 위와 같은 분석적인 형태가 축소되어 좀 더 통사적으로 굳어졌다. 1, 2인칭에서는 분석적 현재, 통사적 현재 둘 다 가능한데, 통사적 방식이 좀 더 많이 사용된다(Abdullaevetal2014:308) ^ 인칭 ^ 분석적 현재 ^ 통사적 현재 ^ | 1SG | ну учӀули сайра | ну учӀулра | | 2SG | хӀу учӀули сайри | хӀу учӀулри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308) ну учӀ-ули сай-ра 1SG read.IPFV-CVB COP-1 나는 읽고 있다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308) ну учӀ-ул-ра 1SG read.IPFV-PRS-1 나는 읽고 있다 }}} {{{eg>darg1241 (Musaev2001:341) балт-ул-ра leave.IPFV-PRS-1 나는 떠난다 }}} #### 미래시제 ^ 인칭 ^ 미래-직설 어미 ^ 미래-가정 어미 ^ | 1 | -с | -а/-ра | | 2 | -д | -и/-ри | | 3 | -∅ | -∅ | {{{eg>darg1241 (Musaev2001:341) балт-а-с leave.IPFV-FUT-1 나는 떠날 것이다 }}} {{{eg>darg1241 (Musaev2001:341) балт-а-д leave.IPFV-FUT-2 너는 떠날 것이다 }}} {{{eg>darg1241 (Musaev2001:341) балт-а-∅ leave.IPFV-FUT-3 그는 떠날 것이다 }}} {{{eg>darg1241 (Musaev2001:341) бат-иш-а leave.PFV-FUT.ASSUM-1 나는 아마 떠날 것이다 }}} {{{eg>darg1241 (Musaev2001:341) бат-иш-и leave.PFV-FUT.ASSUM-2 너는 아마 떠날 것이다 }}}
doc/dargwa/4_ss/48_tame/tame_tens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3/16 03:07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