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enets
»
2_wordclass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pro_pers :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추적:
doc:enets:2_wordclass:31_pro:pro_pers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pro_pers :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인칭대명사의 활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각 인칭과 수에 따른 주격 대명사이고 이어서 이어지는 두 번째 부분은 독립 어간 si- 또는 접미사 어간 no-중의 하나이다. 인칭대명사를 활용할 때 첫 번째 부분은 생략 가능하다. (아래 예시 참고) ###### 1인칭 대명사 (마이방언) ^ 격 ^ 단수 ^ 쌍수 ^ 복수 ^ |주격 | modi, mod' | modini' | modina'| |속격| mod' sin | modin' sizin' | modina' sizna'| |대격| mod' si' | modin' sizin' | modina' sizna'| |여-방향격| mod' non | modin' non' | modina' nona'| |처-도구격| mod' nonen | modin' nonen' | modina' nonna'| |탈격| mod' nozon| modin' nozon'| modina' nozna'| |연격| mod' noonen| modin' noonen'| modina' noonena'| ###### 2인칭 대명사 (마이방언) ^ 격 ^ 단수 ^ 쌍수 ^ 복수 ^ |주격| u | udi'| uda'| |속격| u sit| udi' sizti'| uda' sizta'| |대격| u sit| udi' sizzi'| uda' sizza'| |여-방향격| u nod| udi' nodi'| uda' noda'| |처-도구격| u noned| udi' nondi'| uda' nonda'| |탈격| u nozod |udi' nozdi'| uda' nozda'| |연격| u nooned| udi' noonedi'| uda' nooneda'| ###### 3인칭 대명사 (마이방언) ^ 격 ^ 단수 ^ 쌍수 ^ 복수 ^ |주격| bu| budi'| budu'| |속격| bu sita| budi' siti'| budu' siztu'| |대격| bu sita| budi' sizzi'| budu' sizzu'| |여-방향격| bu noda |budi' nodi' |budu' nodu'| |처-도구격| bu nonda| budi' nondi'| budu' nondu'| |탈격| bu nozda| budi' nozdi'| budu' nozdu'| |연격| bu nooneda| budi' noonedi'| budu' noonedu'| {{{eg>fore1265 (Kunnap1999:22) modʼ kamzju dʼohoʼ barhon ŋa I.GEN house.POSS.1SG river.GEN bank.LOC BE.PST.3SG 내 집은 강둑에 있다 }}} {{{eg>fore1265 (Kunnap1999:22) cetaʼ sizzaʼ moditazʼ tomorrow you.2PL.ACC see.FUT.1SG 내일 만나요(나는 내일 여러분 볼 것이다) }}} 인칭대명사는 사실상 활용형이 없는 대신 2가지 어간을 지닌다: 직접격 어간(модь (modʹ) '나', у (u) '너', бу (bu) '그')과 사격어간(си (si)). 사격 어간은 속격(사격) 및 대격 접사와 결합하는데, 1인칭 인칭대명사의 경우에만 대격과 기타 사격의 형태가 다르다. 인칭대명사의 직접격 어간 및 사격 어간(Sorokina2005:476) |1인칭 | модь (modʹ) '나' | си-нь (si-nʹ)'나의' | си-й (si-j) '나를'| |2인칭 | у (u) '너' | си-т (si-t)'너의, 너를'|си-т (si-t)'너의, 너를'| |3인칭 | бу(bu) '그(녀)' |си-та (si-ta)'그(녀)의, 그(녀)를'| си-та (si-ta)'그(녀)의, 그(녀)를'| 처소와 관련한 격에서 인칭대명사는 후치사 нэ /но (ne, no))와 함께 쓰인다. {{{eg>fore1265 (Sorokina2005:476) модь нонэнь I.GEN POST '나에게(속격= 러시아어의 у меня)' }}} 한편, 마두방언에서는 인칭대명사의 형태가 바이방언과 다르다. 1인칭 인칭대명사가 공통사모예드어 어원을 따른다면; 바이방언의 2, 3인칭 인칭대명사는 케트어로부터 차용, 마두방언 2인칭은 응가나산, 셀쿱어와 일치(즉, 공통 사모예드); 마두어 3인칭은 다른 사모예드어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형태이다. {{{lex>tund1254 (Sorokina2005:475) - моди : I - тоди : you - иноро нитоду : he/she }}}
doc/enets/2_wordclass/31_pro/pro_per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5 20:10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