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enets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추적:
•
val_recp : 상호태 (reciprocal voice)
•
val_pass : 피동 (passive)
doc:enets:4_ss:48_tame:tame_mod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 시제-서법 - 3개의 시제와 6개의 서법을 지닌다(Kunnap1999). - 과거, 현재, 미래시제의 구분은 직설법에서만 대조된다. 시제는 일반적인 동사의 상으로 표현 가능하나 과거나 미래 시제에서는 별도의 접미사도 사용 가능하다. - 직설법, 가정법(conjunctive), 명령법, 기원법(optative, 1인칭 명령법 대신 사용), 인용법(quotative), 의문법. - 시제와 서법이 단일 카테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형태소가 함께 쓰여서(환치사, разрывные аффиксы) 아래와 같은 시제-서법의 의미를 나타낸다(Sorokina2005:476). ###### 시제-서법 환치사 - ∅ …- ∅ : 현재시제 - ∅ …-сь(sʹ): 과거시제 - Би(bi)-…- ∅: 대과거 - Да(da)-… ∅: 미래 - Да(da)-…-сь(sʹ): 당위법(долженствоват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 Ни(ni)-…- ∅: 원망법(жалет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 Ни(ni)-…-сь(sʹ): 가정법(сослагательное) - Би(bi)-…-сь(sʹ): 불명료법(неочевидное) - Раа(raa)-…- ∅: 조건법(условное) - СА(sa)-…-о: 의문법(вопросительное) - Чу(ču)-…- ∅: 양보법(уступительное) - Хочу(xoču)-…-∅ : 청유법(побудительное) ###### 가정법 - 가정법(conjunctive)표지는 -ni-이며 과거시제 활용과 동일한 표지가 따라온다. {{{eg>fore1265 (Kunnap1999:27) kani-ni-zodʹ drive-ASSUM-1SG.PST 내가 운전했더라면 }}} {{{eg>fore1265 (Kunnap1999:27) kani-ni-do-š drive-ASSUM-UNK-2SG.PST 네가 운전했더라면 }}}
doc/enets/4_ss/48_tame/tame_mod.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2/01 15:09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