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hani
»
1_phonology
»
11_cons : 자음 (consonant)
추적:
doc:hani:1_phonology:11_cons:11_cons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1_cons : 자음 (consonant) ### 자음 개요 |bilabial|stop|[p] [pj] [p_h] [p_hj] [b] [bj]| |alveolar|stop |[t] [t_h] [d]| |velar|stop|[k] [k_h] [g]| |bilabial|nasal |[m] [mj] | |Labiodental|fricative|[f]| |alveolar|affricate|[ts] [ts_h] [dz] | |Alveolar|nasal|[n]| |alveolar|fricative|[s] [z]| |Alveolo- palatal|affricate|[ts\] [ts\_h] [dz\]| |Alveolo- palatal|fricative|[s\]| |palatal|approximant|[j]| |velar|stop|[k] [k_h][g]| |velar|nasal|[N]| |velar|fricative|[x][G] | |palatal|nasal|[J_+_0]| ###자음의 특징 자음설명 - (1) [f]는 중국어 차용어에서만 출현한다. - (2) 무기음인 [p] [pj] [t] [k] [ts] [ts\] 는 긴장모음앞에나 뒤에서 출현하며 이완모음 앞이나 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3)유기음 [p_h] [p_hj] [t_h] [k_h] [ts_h] [ts\_h]는 이완모음 앞뒤에 출현하며 긴장모음 앞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현대 중국어 차용어에서는 이러한 성, 운, 성조의 결합규칙을 파괴했다.
doc/hani/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