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ingr
»
2_wordclass
»
27_num : 수사 (numeral)
추적:
•
25_adv : 부사 (adverb)
doc:ingr:2_wordclass:27_num:27_num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7_num : 수사 (numeral) ### 기수 - 주격 기수 다음의 명사는 부분격 - 기타의 격에서는 수사와 명사가 동일한 격을 취한다(명사는 단수형으로 남아있음) | 기수 | 주격 | 속격 | 부분격 | 내향격 | 재내격 | 재격 | | 1 | üks | hen | htä | htee | heez | hteen | | 2 | kaks | hen | hta | htee | heez | hteen | | 3 | kolt | men | mea | mee | meez | meen | | 4 | neljä | n | ä | ä | äz | än | | 5 | viiz | jjen | ttä | ttee | jjeez | tteen | | 6 | kuuz | vven | tta | ttee | vveez | tteen | | 7 | seitsen | tsemän | seent | tsemää | tsemääz | tsemään | | 8 | kaheksan | n | a | a | az | an | | 9 | üheksän | n | ä | ä | äz | än | | 10 | kümmen | än | t | ää | ääz | ään | - 11~19는 1~9에 -toist를 덧붙인다. 11~19를 격변화할 때에도 앞의 1~9만 격변화하고 -toist는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덧붙인다. - 20~90은 2~9와 10의 결합 형태이며 각 부분이 격변화 한다 | 기수 | 주격 | 속격 | 부분격 | 내향격 | 재내격 | 재격 | | 20 | kakskümment | kahenkümmenän | kahtakümment | kahttekümmenää | kaheezkümmenääz | kahteenkümmenään | - 100: sata - 200: kakssatta - 300: koltsattaa - 400: neljäsattaa - 500: viizsattaa - 600: kuuzsatta - 700: seitsensattaa - 800: kaheksansattaa - 900: üheksänsatta ### 서수 - -n이나 -z로 끝난다 | 서수 | 주격 | 속격 | 부분격 | 내향격 | 재내격 | 재격 | | 1 | enzimäin | zen | st | see | zeez | seen | | 2 | toin | zen | sta | see | zeez | seen | | 3 | kolmaaz | nnen | tta | ntee | nneez | nteen | | 4 | neljääz | nnen | ttä | ntee | nneez | nteen | | 5 | viijjeez | nnen | ttä | ntee | nneez | nteen | | 6 | kuuvveez | nnen | tta | ntee | nneez | nteen | | 7 | seittsemääz | nnen | ttä | ntee | nneez | nteen | | 8 | kaheksaaz | nnen | tta | ntee | nneez | nteen | | 9 | üheksääz | nnen | ttä | ntee | nneez | nteen | | 10 | kümmenääz | nnen | ttä | ntee | nneez | nteen | - 11~19번째는 기수 11~19에 -kümmenääz를 덧붙인다 - 20~90번째는 20번째의 불규칙한 형태를 제외하고는 3~9과 10을 각각 서수로 이어서 쓴다 | 서수 | 주격 | 속격 | 부분격 | 내향격 | 재내격 | 재격 | | 20 | kaheezkümmenääz | kahennekümmenännen | kahettakümmenättä | kahenteekümmenäntee | kahenneezkümmenänneez | kahenteenkümmenänteen | | 30 | kolmaazkümmenääz | | | | | | - 100~900번째는 서수 뒤에 -iz를 붙인다 - 복합적인 서수가 격변화할 때 1의 자리만 변화한다. ### 집합수사 #### 비한정 집합수사 moni 'some, many' - многие, некоторые의 의미로는 주격 단수 사용 {{{eg>ingr1248 (Chernjavskij2005:41) Mon-i ihmiin läkäj-ää some-NOM.SG person.NOM.SG speak-PRS.3SG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한다 }}} - много의 의미로는 부분격 복수 사용(동사 활용은 단수로!) {{{eg>ingr1248 (Chernjavskij2005:41) Kul-ui mon-niia voos-siiä pass-IMPERF.3SG many-PART.PL year-PART.PL 여러 해가 지나갔다 }}} - несколько의 의미로는 부분격 단수 사용 {{{eg>ingr1248 (Chernjavskij2005:41) Mon-t kertaa some-PART.SG time 몇 차례 }}} #### 그 외 - Vähä 'little'; paljo 'much'; äijää 'very much’ 뒤에는 부분격 사용
doc/ingr/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15:02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