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japhug
»
2_wordclass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100%:
추적:
•
최문정
doc:japhug:2_wordclass:31_pro:31_pro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100%: - 갸롱어의 대명사는 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의문 대명사와 재귀 대명사로 나눌 수 있다. ##(1)인칭대명사 - 인칭 대명사는 독립 형식과 교착 형식 두 가지 형식으로 표현된다. |인칭와수|독립 형|교착 형|草登 방언|四土 방언|日部 방언| |1인칭 단수|a-ʑo|a-|ɐ-ɟjiʔ|ŋɑ|ŋəʔ| |2인칭 단수|nɤ-ʑo|nɤ-|nɐ-ɟjiʔ|no|nəjeʔ| |3인칭 단수|ɯ-ʑo|ɯ-|o-ɟjiʔ|wə-jo|apheʔ| |1인칭 쌍수, 포괄적 용법|tɕi-ʑo|tɕi-|tsə-ɟjə-niʔ|ndʒo|tɕɐ-ɲi| |1인칭 쌍수, 배타적 용법|tɕi-ʑo|tɕi-|tsə-ɟjə|ŋə-ndʒe|tɕɐ-ɲi| |2인칭 쌍수|ndʑi-ʑo|ndʑi-|ndʑə-ɟjə-niʔ|ndʒo|ndʑɐ-ɲi| |3인칭 쌍수|ʑɤ-ni|ndʑi-|ɟjɐ-niʔ|wə-jo-ndʒəs|apheʔɲi| |1인칭 복수 포괄적 용법|ji-ʑo|ji-|jə-ɟjə-rɐʔ|jo|ŋgɐreʔ| |1인칭 복수 배타적 용법|ji-ʑo|ji-|jə-ɟjə|ŋə-ɲe|ŋgɐreʔ| |2인칭 복수|nɯ-ʑo|nɯ-|nə-ɟjə-rɐʔ|ɲo|ɲɐreʔ| |3인칭 복수|ʑa-ra|nɯ-|ɟjɐ-rɐʔ|wə-jo-ɲe|aphereʔ| - 교착 형식은 명사 앞에 붙어 종속 표지의 기능을 한다. - 인칭 대명사는 단수, 쌍수, 복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 쓰투 방언과 차어덩 방언의 인칭은 대명사는 ‘포괄’과 ‘배타’의 개념이 형태적으로 구별되지 만 다른 방언은 이러한 포괄과 배타를 형태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 자푹갸롱어의 2인칭, 3인칭의 단수 표지와 복수 표지가 같기 때문에 의미적으로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데, 그 혼란을 없애기 위해 ‘교착 형태+ʑo’의 구조를 2인칭에만 쓰인다. 예: ndʑiʑo와 nɯʑo는 그 예이다. - 3인칭은 ‘ʑo의 약화형인 ʑɤ-’ + ‘쌍수 표지 ni/복수 표지 ra’ 식으로 표현된다. - 자푹갸롱어의 1인칭과 2인칭단수는 줄임형 ɤj ‘1SG’와 nɤj ‘2SG’가 있다. 이들 줄임형은 ‘aʑo’와 ‘nɤʑo’ 중의 ‘ʑo’가 -j로 약화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 술어부에 주어와 목적어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발화에서 인칭대명사가 생략해도 된다. ###1) 소유 접사, 소유 관계, 소유격 - 대 명사의 교착형은 소유 표지이다. 재귀 소유 접두사 ‘tɯ-/tɤ-’ 혹은 접두사 ‘tɯ-’를 가진 대명사 앞에 대명사의 교착형이 올 경우, 명사가 원래 가진 접두사들은 탈락된다. 예: tɯ-jaʁ ‘손’ -> a-jaʁ‘나의 손’. - 자푹갸롱어 인칭 대명사의 소유격 형태 |인칭과 수|독립 형|소유격| |1인칭 단수|aʑo|ɑʑɯɣ| |2인칭 단수|nɤʑo|nɤʑɯɣ| |3인칭 단수|ɯʑo|ɯʑɤɣ| |1인칭 쌍수|tɕiʑo|tɕiʑɤɣ| |2인칭 쌍수|ndʑiʑo|ndʑiʑɤɣ| |3인칭 쌍수|ʑɤni|ndʑiʑɤɣ| |1인칭 복수|jiʑo|ji-|jiʑɤɣ| |2인칭 복수|nɯʑo|nɯʑɤɣ/nɯʑɤɣɯ| |3인칭 복수|ʑara|ʑaraɣ/ʑaraɣɯ| - 두 명사가 만약에 소유와 피소유의 관계이면 소유 접두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소유자가 앞에 놓이고 피소유자는 뒤에 놓이며 소유자와 일치 표지를 갖는다. 일치 표지는 반드시 3인칭 단수 혹은 복수 형태이어야 한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1) rɟɤlpu ɯ-tɕɯ chieftain 3SG-son 土司의 아들 }}} - 소유격 표지는 소유 관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생략될 수 있다. - 소유격이 인칭 대명사의 뒤에 올 경우 ‘-ʑo’의 모음이 ‘ɤ/ɯ’로 변한다. - 자푹갸롱어에는 영어 ‘have’에 해당하는 소유 동사가 없기 때문에 존재 동사 ‘tu(否定형 me)’로 표현한다. 만약에 소유자가 인칭 대명사인 경우, 반드시 인칭 대명사의 소유격 형태를 사용해야 한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3) aʑɯɣ rŋɯl tu. 1SG.POSS money have 나는 돈이 있다. }}} - 소유격의 특수 용법 - 소유격은 양태 동사 ra ‘필요하다’와 결합하여 쓰일 수 있다. 이 때 소유격 표지를 갖는 논항은 동작주가 ‘(어떤 것을)필요한 사람’이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3) aʑɯɣ ɯ-ku nɯ ma mɤ-ra. 1SG.POSS 2SG-head that except NEG-need 나는 (소의) 머리만 필요하다. }}} - 소유격 표지는 자동사 mda ‘시간이 다 됐다’와 결합하여 쓸 수 있다. 의미: ‘~의 차례이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3) ɯʑɤɣ tɤ-mda tɕe 3SG.FEM.POSS PFV-come COP 그녀의 차례이다. }}} ###2)여격 - 자푹갸롱어의 여격 표지: ‘-ɕki’, ‘-pʰe’ - 명사와 직접 결합할 수 없고 그들 앞에 반드시 소유 접두사 와야 한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4) nɤ-ɕki sɲɯɣjɯ nɯ-rŋó-t-a 2SG.POSS-DAT pen PFV-borrow-PST-1SG 나는 너한테 펜을 빌렸다. }}} - 여격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수여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자푹갸롱어의 수여자는 동사의 목적어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 때 여격 표지가 사용되지 않지만 동사의 인칭 표지가 수여자와 일치하여야 한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4) aʑo rcánɯ taqaβ ntsɯ tʰɯ-ɣ-mbi-a-nɯ́ 1SG CONJ needle always PFV-INV-give-1SG-PL 그들은 항상 나에게 바늘을 먹여준다. }}} - 수여자를 나타내는 다른 한 가지 방법: - 목적어 혹은 다른 명사 앞에 소유 접두사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 때 수여자가 더 이상 동사의 논항이 아니기 때문에, 동사가 수여자 일치 표지를 가지지 않는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5) nɤ-χpi pɯ-fɕát-a 2SG-story PFV-tell-1SG 내가 너한테 어떤 이야기를 했다. }}} ##(2)지시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 근칭 대명사 - ki ‘이’. ki는 ‘kɯ’로도 쓰임. - 원칭 대명사는 nɯ ‘그/저’가 있다. - 복수 표지 ‘ra’는 지시 ‘ki’, ‘nɯ’와 결합하여 ‘kira’, ‘nɯra’를 형성. - 지시 대명사는 한정 대명사로도 쓰인다. 이 때 수식을 받는 명사의 앞과 뒤에 동시에 출현한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6) ki sɯjno ki tɤɕqhe smɤn ŋu. this grass this cough medicine COP. 이 풀은 기침을 치료하는 약이다. }}} - 지시 대명사의 중첩형: ‘kɯki’, ‘nɯnɯ’ - 기능은 ‘kɯ’와 ‘nɯ’와 같다. - ‘nɯki’는 ki와 nɯ의 결합형. 대명사 혹은 한정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말을 더듬어 할 때도 종종 ‘nɯki’로 공백을 채운다. 의미는 한국어이 ‘그...’와 비슷하다. - 자푹갸롱어에는 ‘이렇게/그렇게’에 해당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다. 반드시 ‘지시 대명사+fse/stu’ 같은 명사화형을 통해서 표현. {{{eg>japh1234 (xiangbolin2008:158) ɯ-pi nɯra nɯ kɯ-fse jo-mɯɫóʁ-nɯ. 3SG-sister those that SBJ.NMLZ-like.this IDIREVID-leave-PL 그녀의 언니들은 그냥 그렇게 떠났다. }}} - 지시대명사 stʰɯci ‘이렇게 많다’는 無定대명사 thɯci ‘아무거나’에서 파생해 온 것이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8) kɯ stʰɯci a-zrɯɣ a-ndʑirɯ ɲɯ-dɤn this this.much 1SG-louse 1SG-nit EVID-much 나(의 몸에) 이와 서캐가 이렇게 많구나! }}} ###2) 의문 대명사 - 자푹갸롱어 龍而甲鄕 干木鸟村 방언에 다음과 같은 6 개의 의문 대명사가 있다. 예; ɕu‘누구’, tɕʰi ‘무슨’, ŋotɕu ‘어디’, tʰɤjtɕu ‘언제’, tɕʰindʐa ‘왜’, tʰɤstɯɣ ‘얼마’ - 의문 대명사는 주어, 목적어, 부사어로 사용될 수 있고 뒤에 격 표지가 올 수 있다. 그리고 의문 대명사는 간접 의문문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59) ki ɕu ɣɯ ku-nɯ-ŋu kɯɣe. this who POSS PRS-REFL.BEN-COP PTCL 이것 누구 것이야? }}} {{{eg>japh1234 (xiangbolin2008:159) ŋotɕu ku-tɯ-rɤʑi? where PRS-2SG-exist 너 지금 어디야? }}} ###3) 재귀 대명사와 기타 - 자푹갸롱어의 재귀 대명사 tɯʑo ‘자기 자신’의 사용 범위가 넓지 않다. tɯʑo는 동사가 비인칭 접두사 kɯ/ɣɯ를 갖는 문장에서만 출현. - ‘자기 자신’의 의미를 나타내는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은 동사에 붙는 재귀 표지인 -ʑɣɤ- 혹은 재귀 수혜 표지 -nɯ-를 사용하는 것이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60) tɯ-zda pjɯ-ɣ-z-ɣɤtɕa tɯʑo ntsɯ pjɯ-kɯ-ʑɣɤ-ɣɤŋgi. REFL-friend IPFV-IMPS-CAUS-wrong self always IPFV-IMPS-REFL-right 항상 자기 친구가 틀리고 자기가 맞는다고 한다. }}} - 만약에 주동사 뒤에 무인칭 표지가 붙지 않는다면 tɯʑo -> ‘raŋ’ ‘자기 자신’로 바꿈. - 영어의 ‘other’와 ‘all’의 의미를 가진 단어는 인도-유럽 언어에서 대명사로 인정되지만 자푹갸롱어에서는 그렇지 않다. kɯ-maʁ ‘other’는 maʁ ‘아니다’의 주어명사화 형식(‘아닌 것’)이고 ‘all’의 의미를 나타내는 lonba와 tʰɤmtɕɤt는 부사로서 반드시 지시 대명사와 복수 표지 뒤에서만 놓여야 한다. {{{eg>japh1234 (xiangbolin2008:161) ɯ-ʁi ɣɯ ɯ-ku ɯ-rɟɤntɕa nɯra ɯ-ŋga nɯra lonba ʑo ɯʑo kɯ to-ŋga. 3SG-sister GEN 3SG-head 3SG-accessory those 3SG-clothe that all PTCL 3SG ERG INDIREVID-wear 그녀는 여동생의 모든 옷을 입었고 모든 액세서리를 착용하였다. }}}
doc/japhug/2_wordclass/31_pro/31_pr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2:18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