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jinuo
»
4_ss
»
41_cl : 절(clause)
추적: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doc:jinuo:4_ss:41_cl:41_cl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41_cl : 절(clause) ### 핵심 논항 구별 방법 지눠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는 어순을 통해 구별한다. 그렇지만 목적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목적격 조사 'va44'를 부가하여 구별하며(flagging) 만약에 의미가 명확한 경우에는 목적격 조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지눠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다음 예문에서 주어는 “a44mɔ33”인데 주격 조사 등의 표지 없이 문두에 맨명사로 출현하였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목적어는 “zɔ44ku44”인데 목적격조사 “va44”를 대동하고 출현하였음을 볼 수 있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52) a44mɔ33 zɔ44ku44 va44 tʃhi44/33 mjʌ33/53 thi44la54 po54 nɛ33 mother child ACC embrace after once(一下) kiss DEC 엄마가 아이를 안고 한번 뽀뽀했다. }}} ### 정렬(alignment) 지눠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사용한다. 아래의 예문들에서 자동문의 주어와 타동문의 행위자 주어가 모두 어떤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두에 출현하였으며, 타동문의 피행위자 목적어는 목적격조사 'va44'를 취했음을 볼 수 있다. {{{eg>youl1235 (gaixingzhi2007:961) xo42 tɕhi442 phjə33 red flag flutter 붉은 기가 나부끼다.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52) a44mɔ33 zɔ44ku44 va44 tʃhi44/33 mjʌ33/53 thi44la54 po54 nɛ33 mother child ACC embrace after once(一下) kiss DEC 엄마가 아이를 안고 한번 뽀뽀했다. }}}
doc/jinuo/4_ss/41_cl/41_c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20:39 저자
박은석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