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kam
»
4_ss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추적:
•
tame_evid : 증거성 (evidentiality)
doc:kam:4_ss:45_wo:45_wo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동어는 SVO 어순을 가지고 있다. - 그러나 목적어를 강조할 때 별도의 조사 təi²를 추가하여 목적어를 동사 앞으로 옮길 수 있다. - 이때 이 조사는 중국어의 처치(處置) 표지 ‘把’에 해당한다. - təi²는 ‘가지다’에서 유래된 것이다. {{{eg>kami1255 (liangmin2006:204) maːu⁶ təi² jaːu² kaːi² laːu³ jaːn² ma¹′. 3SG PTCL SG pull in room come 그는 나를 방으로 끌고 왔다. }}} ##### 명사구의 특징 - 양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보통 중심어인 명사가 뒤에 출현한다. {{{eg>kami1255 (liangmin2006:209) ja² tu² sən² two CL cattle 두 마리의 황소 }}} - 소유를 나타낼 때 중심어가 되는 피소유자는 앞에, 소유자는 뒤에 출현한다. {{{eg>kami1255 (liangmin2006:209) məi⁴ uk⁹ məi⁵′ ȶaːi⁴ tiu¹ naːi⁶. CL clothes new elder.brother 1PL this 우리 오빠의 이 새 옷 }}} -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중심어인 명사가 앞에, 형용사가 뒤에 출현한다. {{{eg>kami1255 (liangmin2006:209) ja² tu² sən² maːn³′ naːi⁶. two CL cattle yellow this 이 두 마리의 노란 황소 }}} ##### 동사구의 특징 - 부사가 동사를 수식할 때 부사가 앞에, 동사가 뒤에 출현한다. {{{eg>kami1255 (liangmin2006:214) ȵa² boi⁵′ paːi¹ ma⁴! 2SG hurry go PTCL 너는 빨리 가라! }}} ##### 형용사구의 특징 - 부사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 앞에 온다. {{{eg>kami1255 (liangmin2006:200) hən⁴ kaːi¹ very far 매우 멀다. }}}
doc/kam/4_ss/45_wo/45_w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