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karachay
»
4_ss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추적:
•
val_refl : 재귀태 (reflexive voice)
•
52_poss : 소유 (possession)
•
tame_evid : 증거성 (evidentiality)
•
val_caus : 사동 (causative)
doc:karachay:4_ss:42_np:42_np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카라차이-발카르어는 문장이나 절, 명사구조에서 핵이 언제나 문말(final position)에 실현된다. - 수식을 받는 명사는 수식어에 따른다. - 기본 순서는 Modifier – Complement – Head이다. - 문장을 초점이나 문체론적인 목표로 달리 표현하는 경우 기본 어순이 지켜지지 않을 수 있다. - 어형변화가 발달한 기타 언어들에 비해서 카라차이-발카르어에서 형용사, 수사, 지시대명사는 명사의 격과 수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 수와 인칭에 따른 유일한 일치 관계는 주어와 술어 사이의 일치관계이다. - 명사의 소유 관계에서는 소유 표지인 속격접사(GEN)는 소유자(possessor)에 나타나고 소유재귀표지는 소유물(noun possessed)에 나타난다. ##### 명사 구조 - 명사 구조에서는 핵(head) 자리에 형용사, 명사, 지시대명사, 수사, 한정사가 올 수 있다. - bir kitap ‘책 한 권’, ‘한 책’ - bir kök kitap ‘어떠한 파란 책’ - bazï kök kitapla ‘몇 권의 파란 책들’ - 그러나 이러한 순서는 필수적이지 않다. 아래 예문에서 보듯이 수식어인 ariw는 수사 bir를 선행한다. {{{eg>kara1465 Ol arïw bir zat-mï-dï? that pretty one thing-Q-COP ‘Is that a pretty thing?’ }}} ##### 관계사절 + 명사 - 관계사절은 수식하는 명사를 선행한다. - 관계사절 안에는 해당 명사를 꾸미는 분사와 이 분사에 따르는 보어(complement)와 한정사(mod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Seegmiller1996:31) {{{eg>kara1465 Alla-ha iynan-ma-gan adam. god-DAT believe-NEG-PART person ‘신을 믿지 않는 사람.’ }}} {{{eg>kara1465 narat terek-le-dan ak-gan čayïr. pine tree-PL-ABL flow-PART pitch-GEN ‘소나무들에서 흐르는 진액.’ }}} {{{eg>kara1465 bulut-dan čïk-gan kün cloud-ABL come_out-PART sun ‘구름에서 나온 태양.’ }}} ##### 활용접사 + 명사 - 활용 접사에 의해서 명사를 꾸미는 경우도 있다 {{{eg>kara1465 bol-luk zaman. become-AFF time ‘있을 시간(미래 시간)’ }}} {{{eg>kara1465 Ič-er zat drink-AFF thing ‘마실 것’ }}} {{{eg>kara1465 kïr-da buw steppe-LOC deer ‘초원에서의 사슴’ }}}
doc/karachay/4_ss/42_np/42_n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31 10:28 저자
유현조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