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kumyk
»
0_general
»
02_dialect : 방언 (dialect)
추적:
•
61_clink : 접속 (clause linking)
•
subr_rel : 관계화 (relativization) / 관계절 (relative clause)
•
11_cons : 자음 (consonant)
doc:kumyk: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02_dialect : 방언 (dialect) - 현대 쿠미크어는 5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1) кайтагский 2) подгорный 3) буйнакский 4)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5) терский - кайтагский 와 подгорный 방언은 쿠미키야의 남부지방에서 사용한다. - буйнакский 와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 терский 는 북부 방언이다. - 남부방언과 북부방언의 차이는 모음조화의 유무 이다. - 남부 방언은 에는 없지만 북부 방언에 있는 음성 법칙이 있다. - 남부 방언과 북부방언의 차이는 남부방언은 음성학적 영향력을 다르구아어에 끼쳤다. - 쿠미크어 문학은 10월 혁명 이후로 буйнакский 와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방언 중심에서 문학은 발전하게 되었다. - кайтагский 방언으로 쓰인 문학작품들과 차이점을 보인다. 1) 모음의 구개음조화가 파괴됨. {{{eg>kumy1244 (Gadzieva2001:184) алтмиш sixty 숫자 60 }}} {{{eg>kumy1244 (Gadzieva2001:184) жиймах collet 모으다(собирать) }}} 2) 자음의 후두폐쇄음의 존재 3) '–ып+ 인칭접사' 형태 존재 4) плюсквамперфект –ып+ эди 등의 형태 존재. - 쿠미크어의 발전은 N.K. Dmitryev 의 책 «쿠미크어의 문법» -1936년 손으로 쓴 책 발간으로 시작되었으며 Dmitryev는 쿠미크어의 방어을 세분류로 나누었다.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буйнакский| |кайтагский | - 이외에도 R.G.Shakhmanova(1954), I.A.Kerimova(1952) 가 방언에 대해 기술하였다.
doc/kumyk/0_general/02_dialect/02_dialec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5 18:38 저자
김희연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