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kyrgyz
»
1_phonology
»
11_cons : 자음 (consonant)
추적: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doc:kyrgyz:1_phonology:11_cons:11_cons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1_cons : 자음 (consonant) #### 키르기즈어 자음 - 현대 키르기즈어 문어에서 26개의 자음이 있다. 그 중에 6개 в, ф, ж, х, ц, щ 음운은 순 키르기즈어 어휘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이 자음 대부분은 러시아어에서 빌려온 차용어에서만 사용된다. - 음소: б, в, г, д, ж, з, й, к, л, м, н, ң п, р, с, т, ф, х, ц, ч, ш, щ - 음운 [ɣ], [ʒ], [q]는 독립 음소로 표시되지 않지만 특정한 음운적 환경과 위치에서 실현된다(아래 표에서 괄호 안에 표시됨). ^ ^양순음^순치음^치조음 ^치조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 |파열음 |p b | | t d | | k g | [(q)] | |파찰음 | | |ʦ č ʤ | | | | |마찰음 | | f v | s z | š [(ʒ)] | j ɕ |x [(ɣ)] | |비음 |m | | n | | |ŋ | |설측음 | | | l | | | | |전동음 | | | | r | | | #### 양순음 - 키르기즈어에서 3개 양순음이 있다. 유성파열음 [b], 무성파열음 [p], 비음 [m]. - [p]는 순 키르기즈어에서 어두 위치에서 나타나지 않으며 언제나 [b]만 나타난다. 사전에 [p]로 시작되는 어휘 목록 모두 이란어, 아랍어, 러시아어 차용어이다. [p]ul ‘돈’(이란어), [p]ijaz ‘양파’(이란어), [p]aviljon ‘전시관’(러시아어), paket ‘봉지’(러시아어), paida ‘이익’(아랍어). - 양순음은 음운환경에 따라 연자음과 경자음으로 실현되지만 음운론적 변별자질을 갖지 않는다. - [b]는 전설음 앞에서 구개음화된다. [b]ol ‘되다’(경자음), [b]øl ‘나누다’(연자음). - [b]는 무성음을 따르는 경우 무성음화된다. taš ‘돌’-> taš-[p]ɨ ‘돌인가?’, to:k ‘닭’ -> to:k-[p]u ‘닭인가?’, (비교: ša:r[b]ɨ ‘도시인가?’). 무성음화된 b는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 어말 위치의 p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사가 후행하는 경우 유성음화되어 유성파열음 [b]로 발음된다. kite[p] ‘책’ -> kite[b]i ‘그의 책’. 이때 표기도 유성음 [b]로 바꿔 쓴다. - 유성음화된 p는 후행 어휘가 모음으로 시작되는 경우 접근음 [ʋ]로 발음된다. kitep aldɨm ‘책을 가졌다.’ #### 순치음 - 순치음 f, v는 순 키르기즈어에 없으며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fabrika ‘공장’, facultet ‘과’. #### 치조음, 치조구개음 - 키르기즈어에 10개의 치조음과 치조구개음이 있다. - [d]와 [t]는 방언에 따라 어두 위치에서 쉽게 구별되지 않는다. [t]arbɨz/[d]arbɨz ‘수박’, [t]aam/[d]aam ‘맛’, [t]alaa/[da]laa ‘들판’. - 그러나 어중 위치에서 이들 음운을 구별하는데 별 문제가 없다. a[t]ɨr ‘향수’, a[d]ɨr ‘언덕’, qa[t]ɨr- ‘말린’, qa[d]ɨr ‘존엄’. - [d]와 [t]는 전설음 앞에서 연자음화가 되지만 그 정도는 미약하다. kel[d]i ‘그가 왔다’, ket[t]i ‘그가 갔다’. - [z], [s], [š]는 위치와 무관하게 원음대로 발음된다. [z]는 어말에서 무성음화되지 않는다(?) - [l], [n], [r]는 역사적으로 순 키르기즈어에서 어두 위치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 [n]는 이란어와 아랍어에서 들어온 차용어에서 사용하게 되었다. - [r]는 대부분 러시아어에서 들어온 차용어의 어두 위치에서 나타나지만 키르기즈어로 넘어오면서 r 앞에 모음이 삽입되었다. [r]ol’ (러시아어 ‘역할’) -> [ur]ol (키르기즈어 ‘역할’), [r]ajon (러시아어 ‘지역’) -> [ɨr]ajon (키르기즈어 ‘지역’) - 낱말 활용에서 l과 n은 유성음 후행하는 경우 이화가 일어나서 d 이음으로 실현된다. atalar ‘아버지들’ kɨzdar ‘아가씨들’. #### 연구개음 - g는 전설음 앞에서 /g/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egin ‘파종’, gyl ‘꽃’, - g는 후설음 앞에서 연구개 유성마찰음으로 발음된다. ʤɯɣač ‘제재목’, soɣuš ‘전쟁’ - g는 어두 위치에서 차용어 한해서만 실현된다. - k는 [k] 연구개음과 [q] 구개수음을 모두 표기한다. - k 연구개음은 전설음 앞에서 실현된다. kel ‘오다’, køl ‘호수’. - q 구개수음은 후설음 앞에서 실현된다. qal ‘남다’, qol ‘손’. - k는 모음 사이 유성음화된다. balɯk ‘물고기’, balɯgɯ ‘그의 물고기’, øtyk ‘신발’ -> øtygy ‘그의 신발’. - ŋ은 어두 위치에서 실현되지 않고 어중과 어말 위치에서만 실현된다.
doc/kyrgyz/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9 10:53 저자
안대섭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